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조선 왕실의 다연(茶宴) 문화, 한 권의 책으로 재탄
이 책은 조선 왕실의 다연(茶宴) 문화에 대해 역사, 종교, 정치, 기후, 의례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살폈으며, 다연 문화의 사회적 기능, 문화적 의의, 의례적 형식 등을 검토하였습니다. 이 저술은 다연 문화의 가치를 확장하고, 향후 꾸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라는 저자의 뜻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 김상보 교수님께서는 평생을 한식 연구에 헌신하신 학자로서, 학문에 대한 열정과 깊은 지식, 그리고 사람에 대한 사랑이 깊고 넓은 분이셨습니다. 저는 제자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입장이지만, 2019년 가을 어느 날 교수님으로부터 다례(茶禮) 연구를 당부받았습니다. 이후에도 교수님께서는 다례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다도(茶道)와 다례(茶禮)의 차이점에 대해 여러 차례 설명해 주셨지만, 저는 정작 시작조차 하지 못한 채 시간이 흘렀습니다. 지난해 늦여름, 교수님께서 “다음에 윤문(潤文)할 일이 생기면 도와주세요.”라고 말씀하셨을 때도 형식적인 대답만 했을 뿐, 그 의미를 깊이 새기지 못했던 것이 아쉽고 송구스럽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책의 육필 원고를 마무리하신 후 갑작스럽게 별세하셨고, 저는 교수님께 학은을 입은 인연으로 교정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를 살피는 동안, 교수님께서 주신 당부의 말씀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불교·도교·유교가 다례 문화에 미친 영향을 다룬 부분에서 한참을 멈춰 생각했으며, 다과(茶果)와 소선(素膳)의 관계를 정리하며 수없이 고민했습니다. 조선 왕실 연향(宴享)에서 강조된 유교적 가치관에 대해 다연을 통해 바라보는 대목, 연향에서 사용된 그릇과 담음새, 그리고 상화(床花)를 통해 엿볼 수 있는 예식(藝食)의 의미를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교수님께서 생전에 한식의 맛(味)과 멋(美), 그리고 도(道)에 대해 들려주시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이처럼 한 권의 책을 통해 깊은 학문적 고민과 감동을 경험할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교수님의 통찰력과 애정이 담긴 연구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저자 김상보 교수님께서는 평생을 한식 연구에 헌신하신 학자로서, 학문에 대한 열정과 깊은 지식, 그리고 사람에 대한 사랑이 깊고 넓은 분이셨습니다. 저는 제자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입장이지만, 2019년 가을 어느 날 교수님으로부터 다례(茶禮) 연구를 당부받았습니다. 이후에도 교수님께서는 다례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다도(茶道)와 다례(茶禮)의 차이점에 대해 여러 차례 설명해 주셨지만, 저는 정작 시작조차 하지 못한 채 시간이 흘렀습니다. 지난해 늦여름, 교수님께서 “다음에 윤문(潤文)할 일이 생기면 도와주세요.”라고 말씀하셨을 때도 형식적인 대답만 했을 뿐, 그 의미를 깊이 새기지 못했던 것이 아쉽고 송구스럽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책의 육필 원고를 마무리하신 후 갑작스럽게 별세하셨고, 저는 교수님께 학은을 입은 인연으로 교정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를 살피는 동안, 교수님께서 주신 당부의 말씀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불교·도교·유교가 다례 문화에 미친 영향을 다룬 부분에서 한참을 멈춰 생각했으며, 다과(茶果)와 소선(素膳)의 관계를 정리하며 수없이 고민했습니다. 조선 왕실 연향(宴享)에서 강조된 유교적 가치관에 대해 다연을 통해 바라보는 대목, 연향에서 사용된 그릇과 담음새, 그리고 상화(床花)를 통해 엿볼 수 있는 예식(藝食)의 의미를 정리하는 과정에서는 교수님께서 생전에 한식의 맛(味)과 멋(美), 그리고 도(道)에 대해 들려주시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이처럼 한 권의 책을 통해 깊은 학문적 고민과 감동을 경험할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교수님의 통찰력과 애정이 담긴 연구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조선 왕실의 다연 문화론
$4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