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 - 포문동학당 동아시아의 문화권력 총서 5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 - 포문동학당 동아시아의 문화권력 총서 5

$35.00
Description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연구, 10권의 마지막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는 2008년부터 9년 동안 ‘제국일본의 문화권력-학지와 문화매체’라는 연구 아젠다로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을 수행했고, 바로 이어서 2017년부터 7년 동안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라는 연구 아젠다로 인문한국 플러스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그동안 ‘문화권력’ 관련해서 다수의 연구성과를 세상에 내놓았다. 이 책도 그중 하나이며, 일제강점기 일본의 동화정책을 다루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연구에 가까운 책으로 보이나, 그 내용을 살펴보면 동화정책이라는 식민정책이 작금의 한일 양국 관계에도 투영된다는 점에서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연구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총 16년 동안 국책사업으로 ‘문화권력’ 연구를 수행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가 인문한국 플러스 사업을 마무리하면서 마지막 해에 세상에 내놓은 10권 중 한 권이다.
이 책의 저자인 마크 카프리오 교수는 역자이자 연구소 서정완 소장과 연구자로서 개인적 교류가 있었으나, 2020년 세상이 COVID-19로 한창 시끄럽고 어려운 시기에 릿쿄대학 연구년을 이용해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에서 1년 동안 함께 연구를 한 일이 계기가 되어, 이번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 간행으로 이어졌다.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냉철하게 바라보려는 한 연구자의 시선과 균형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에서 공부하고 일본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는 학회에 왕성하게 활동하는 미국인 연구자가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동화정책을 연구해서 펴낸 책이라는 점에 있다. 때로는 국내 독자한테는 조금은 낯선 시선이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야말로 한국인도 아니고 일본인도 아닌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냉철하게 바라보려는 한 연구자의 시선임을 우리가 받아들일 때 우리 스스로 균형을 더 잘 잡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기본적인 동질성 속에 세부적인 이질성이 있는 차이를 서로 확인하고 공유할 때 그 공감대는 강해지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을 구성하는 네 개의 층위
여기서 이 책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네 개의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첫째 층위는 서장과 제1장이며, 주로 식민지 팽창과 서양의 동화정책을 다룬다. 여기서는 주로 영국, 프랑스를 비롯해 일본에 앞서 해외에 다수의 식민지 팽창을 거듭해 온 유럽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 동화정책을 개관하면서, 그러한 동화정책을 취한 이유와 구체적인 전개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유럽 각국을 개관함으로써 제국 일본이라는 맥락에서만 바라보기 일쑤인 일본의 식민지 동화정책의 특징을 보다 큰 틀에서 바라볼 때 훨씬 더 입체적이고 깊고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층위는 제2장으로, 식민지를 내국 식민지, 주변 식민지, 국외 식민지로 구분하면서 일본의 식민지 유형에 따른 동화정책의 양상을 밝히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에조의 아이누와 류큐, 대만인,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동화정책을 조감함으로써 일본제국이 취한 동화정책의 일반적 양상과 전체적 특징을 부조하고 있다. 셋째 층위는 제3·4·5장이며,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조선에서의 동화정책 구축, 1919년 3·1운동 이후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의 정책 개혁과 그 과정에서 집행된 동화정책, 전시 중의 급진적 동화정책을 각각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층위는 제6장과 종장이며, 일본의 동화정책에 대한 조선 및 조선인의 평가와 전반적인 식민지화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이처럼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을 첫째 다른 제국주의 국가의 동화정책, 둘째 일본의 다른 식민지에 대한 동화정책, 셋째 조선에 대한 제국 일본 동화정책의 시기별 특징 등을 순차적으로 배열, 정리함으로써 독자에게 조선에 대한 일본의 동화정책을 훨씬 큰 틀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께서는 보통 황민화 정책으로 언급되는 동화정책의 실상과 이를 둘러싼 평가를 염두에 두면서 읽으면 좋을 것이다.

저자

마크카프리오

저자:마크카프리오MarkE.Caprio
일본릿쿄대학(立敎大學)명예교수.UniversityofWashington에서한국·동아시아역사학을전공했고박사학위를받았다.하버드대학과UCLA,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연구원,릿쿄대학이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및대학원교수를역임했다.연구분야는일본의식민지지배정책,조선인귀환문제,한국과북한의통일문제,북한의핵문제와동북아시아외교문제,국제관계및평화학이다.주요저서로는DemocracyinOccupiedJapan:TheUSOccupationandJapanesePoliticsandSociety(Routledge,2007),JapanastheOccupierandtheOccupied(PalgraveMacmillan,2015)등이있다.현재JapanandKoreanContemporaryRelations(MHMLimitedandUniversityofAmsterdamPress)를집필중이다.

기획: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

역자:김현아
쓰쿠바대학(筑波大學)문학박사.역사학전공.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HK연구교수.

역자:서정완
도호쿠대학(東北大學)문학박사.일본근대사전공.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소장.

역자:송석원
교토대학(京都大學)법학박사.정치학전공.경희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

목차

한국어판저자서문
역자서문
감사의말

서장
1.식민지관리결정
2.이책의구성
3.내국,주변,국외로의식민지팽창
4.일본의팽창과동화同化

제1장서양의동화정책
1.식민지정책으로서의동화
2.동화의동기
3.동화의수단-‘미개인’을교육한다
4.주변영토의인민을상상하다
5.지배받는사람들의반응
6.결론

제2장일본에의한내적동화및주변적동화의발전
1.이와쿠라사절단과일본의내국적영토팽창
2.메이지초기의주변식민지팽창
3.에조의아이누동화정책
4.류큐왕국에서오키나와로
5.대만인동화-레토릭과실천
6.결론

제3장조선동화정책의구축
1.조선동화의정당화
2.조선의이미지를형성하다
3.군사통치하에서의일본의교육정책
4.사회교육과『매일신보』
5.결론

제4장3월1일이후의정책개혁과동화정책
1.동화정책에대한과제
2.조선에대한이미지의확정
3.하라다카시,사이토마코토,문화정치
4.일본인과조선인의공학으로의진행
5.사회적,정치적참가
6.결론

제5장전시중의급진적인동화정책
1.암운속에나타난낙관주의의조짐
2.내선일체를강화하는움직임
3.‘국민교육’과내선일체강화정책
4.일본인의관점에서본전시중의조선인의이미지
5.결론

제6장일본의동화정책에대한조선의비판
1.일본의동화정책에대한조선인의반응
2.문화적민족주의자의동화비판
3.조선인‘대일협력자’에대한비판
4.결론

종장주변식민지화를평가하다
1.동화를향한신중한걸음
2.일본동화정책에서의실책과과실
3.주변민족의동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중립적이고객관적인입장에서냉철하게바라보려는한연구자의시선과균형

이책의가장큰특징은미국에서공부하고일본에서교수로재직하면서세계각국에서개최되는학회에왕성하게활동하는미국인연구자가일제강점기식민권력의동화정책을연구해서펴낸책이라는점에있다.때로는국내독자한테는조금은낯선시선이느껴질수도있을것이다.그러나이것이야말로한국인도아니고일본인도아닌중립적이고객관적인입장에서냉철하게바라보려는한연구자의시선임을우리가받아들일때우리스스로균형을더잘잡을수있게되지않을까생각된다.기본적인동질성속에세부적인이질성이있는차이를서로확인하고공유할때그공감대는강해지기때문이다.

『식민지조선에대한일본의동화정책』을구성하는네개의층위

여기서이책의구성에대해서살펴보면,크게네개의층위로구성되어있다.
먼저첫째층위는서장과제1장이며,주로식민지팽창과서양의동화정책을다룬다.여기서는주로영국,프랑스를비롯해일본에앞서해외에다수의식민지팽창을거듭해온유럽제국주의국가의식민지동화정책을개관하면서,그러한동화정책을취한이유와구체적인전개과정과결과를정리하는것부터시작한다.유럽각국을개관함으로써제국일본이라는맥락에서만바라보기일쑤인일본의식민지동화정책의특징을보다큰틀에서바라볼때훨씬더입체적이고깊고세밀하게이해할수있음을시사하고있다.

둘째층위는제2장으로,식민지를내국식민지,주변식민지,국외식민지로구분하면서일본의식민지유형에따른동화정책의양상을밝히고있으며,이과정에서에조의아이누와류큐,대만인,조선인을대상으로한동화정책을조감함으로써일본제국이취한동화정책의일반적양상과전체적특징을부조하고있다.

셋째층위는제3·4·5장이며,식민지조선에대한일본의동화정책을시기별로나누어조선에서의동화정책구축,1919년3·1운동이후무단정치에서문화정치로의정책개혁과그과정에서집행된동화정책,전시중의급진적동화정책을각각분석한다.마지막으로,

넷째층위는제6장과종장이며,일본의동화정책에대한조선및조선인의평가와전반적인식민지화에대한평가를진행한다.이처럼식민지조선에대한일본의동화정책을첫째다른제국주의국가의동화정책,둘째일본의다른식민지에대한동화정책,셋째조선에대한제국일본동화정책의시기별특징등을순차적으로배열,정리함으로써독자에게조선에대한일본의동화정책을훨씬큰틀속에서이해할수있게하고있다.따라서독자께서는보통황민화정책으로언급되는동화정책의실상과이를둘러싼평가를염두에두면서읽으면좋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