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고

발해고

$15.00
Description
발해사 국내 최고 권위 송기호 교수(서울대 국사학과)
출간 20주년 기념 개정 특별판!
“왜 우리 땅을 돌려주지 않는가? 발해 땅은 바로 고구려 땅이다.”
《발해고》 출간 20년, 올해로 정년을 맞는 송기호 교수의 발해연구 40년을 총정리하는 개정판으로 출간의 의미가 크다. 이번 개정판에는 기존의 서해응, 박제가, 유득공의 서문에 이후 발견된 이규경 발문과 〈황성신문〉 1910년 4월 28일 2면에 실린 논설 〈발해고를 읽고〉를 추가했다.

잃어버린 영토 발해, 그 역사 찾기의 시작
유득공은 고려가 발해까지 우리 역사에 넣어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쓰지 않았던 점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그 결과 거란과 여진에 넘어가버린 발해 영토를 되찾으려 해도 이제는 아무런 근거가 없게 되었다고 통탄해 마지않았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발해사를 우리 역사 속에 넣을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역사상 최초로 발해사를 체계화했다.

유득공의 역사 인식의 업적, 《발해고》
역사가로서 유득공의 인식은 초기에는 삼국을 통일한 신라로 시작된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북방 중심의 역사 인식으로 변모해갔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발해고》는 그로 하여금 한국사학사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게 하였다. 그는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발해고》를 저술하였고,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사군지》를 저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발해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던 그의 노력은 더더욱 높이 평가받아야 마땅할 것이다.

고려가 마침내 약한 나라가 된 것은
발해 땅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크게 한탄할 일이다.
- 《발해고》 유득공의 서문 중에서

저자

유득공

저자:유득공
자는혜풍또는혜보이고,호는영재이다.1748년에서얼의신분으로태어나1807년세상을떠났다.정조때규장각검서관을시작으로20여년간의관직생활을거쳐만년에정3품까지올랐다.북학파의한사람으로박지원,이덕무,박제가등과교유하였고중국이외에많은나라에관심을기울이며폭넒은역사인식을가졌다.특히조선의현실을극복하고자북방의역사에많은관심을기울인끝에《발해고》와《사군지》를저술하였다.이외에도《영재집》,《이십일도회고시》,《동시맹》,《난양록》,《경도잡지》등의저술이있다.

역자:송기호
1956년대전출생으로서울대학교인문대학국사학과를졸업하고〈발해의다인장(多人葬)에대한연구〉로석사학위를,〈발해의역사적전개과정과국가위상〉으로박사학위를받았다.한림대학교사학과조교수를거쳐1988년8월부터서울대학교국사학과교수로재직하고있다.서울대학교기록관장(2001~2005,2012)과박물관장(2007~2011)을역임했고,미국하버드대학옌칭연구소(1997~1998),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2006),영국케임브리지대학(2013)에서연구년을보냈다.학부시절부터발해사를연구하여다수의논저를발표했고,근래에는생활사연구도진행하였다.지은책으로《발해정치사연구》,《발해를찾아서》,《발해사회문화사연구》등이있고,옮긴책으로는《러시아연해주와발해역사》(공역),《발해의역사》등이있다.생활사책으로는〈우리역사읽기〉시리즈와《한국온돌의역사》가있다.

목차

옮긴이의말
이책의번역에대하여
해제_유득공과《발해고》

발해국(왕계도)
성해응의서문
이규경발문
발해고를읽고〈황성신문〉1910년4월28일논설
박제가의서문
유득공의서문
목록(목차)
인용서적목록

1.왕에관한고찰[君考]
2.신하에관한고찰[臣考]
3.지리에관한고찰[地理考]
4.관청및관직에관한고찰[職官考]
5.의식및복장에관한고찰[儀章考]
6.물산에관한고찰[物産考]
7.국어에관한고찰[國語考]
8.국서에관한고찰[國書考]
9.후예국가에관한고찰[屬國考]

1권본《발해고》원문
[부록]1권본《발해고》(영인)

출판사 서평

잃어버린영토발해,그역사찾기의시작
유득공은고려가발해까지우리역사에넣어‘남북국사’(南北國史)를쓰지않았던점을통렬히비판하면서,그결과거란과여진에넘어가버린발해영토를되찾으려해도이제는아무런근거가없게되었다고통탄해마지않았다.그는여기서한걸음더나아가발해사를우리역사속에넣을것을적극적으로주장하고,이를뒷받침하기위해우리역사상최초로발해사를체계화했다.

유득공의역사인식의업적,《발해고》
역사가로서유득공의인식은초기에는삼국을통일한신라로시작된남방중심의역사인식에서시작하여나중에는북방중심의역사인식으로변모해갔는데,그결과로나타난《발해고》는그로하여금한국사학사에서뚜렷한족적을남기게하였다.그는발해의옛땅을회복하여야한다는생각을가지고《발해고》를저술하였고,북방역사의연원을밝혀보고자하는의도에서《사군지》를저술하였다.그리고이러한연구는나중에정약용(丁若鏞),한치윤(韓致奫)등의연구업적이나올수있는토대를마련하였던것으로평가할수있다.특히발해사를체계적으로정리하고자하였던그의노력은더더욱높이평가받아야마땅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