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비교민속학 : 한일의 세시민속비교 - 문화와 역사를 담다 60

시간의 비교민속학 : 한일의 세시민속비교 - 문화와 역사를 담다 60

$27.52
Description
일본의 세시민속을 지켜보면 볼수록 여러 가지 모습이 보여진다.
제일 먼저 일본인의 순수한 얼굴이 보인다고 하면, 그 다음은 우리의 모습이 보여진다. 그 이후에는 한국과 일 본이 아닌 다른 나라의 모습이 궁금해진다. 또 그다음에는 전 인류의 얼굴이 그려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타문화 이해는 결국 나의 문화 이해이며, 더 나아가 인류문화의 이해인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비교민속학〉은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주요한 세시민속을 대상으로 했다. 그리고 재일한국인들 의 세시민속과 대만의 중원제에 대한 조사 분석한 내용도 담았다. 이것은 〈비교민속〉이 한일을 넘어 동아시아 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해본 것이다.

저자

노성환

저자:노성환
울산대일본어일본학과명예교수.통도사차문화대학원교수.
일본오사카대학대학원졸업(문학박사),미국메릴랜드대학방문교수,중국절강공상대학객원교수,일본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외국인연구원역임,주된연구분야는신화,역사,민속을통한한일비교문화론이다.

저서
「일본속의한국」(울산대출판부,1994),「한일왕권신화」(울산대출판부,1995),「술과밥」(울산대출판부,1996),「젓가락사이로본일본문화」(교보문고,1997),「일본신화의연구」(보고사,2002),「동아시아의사후결혼」(울산대출판부,2007),「고사기」(민속원,2009),「일본의민속생활」(민속원,2009),「오동도토끼설화의세계성」(민속원,2010),「한일신화의비교연구」(민속원,2010),「일본신화와고대한국」(민속원,2010),「일본에남은임진왜란」(제이엔씨,2011),「일본신화에나타난신라인의전승」(민속원,2014),「임란포로,일본의신이되다」(민속원,2014),「임란포로,끌려간사람들의이야기」(박문사,2015),「조선피로인이일본시코쿠에전승한한국문화」(민속원,2018),「조선통신사가본일본의세시민속」(민속원,2019),「시간의민속학-세상을살아가는시간의문화,일본의세시풍속」(민속원,2020),「일본규슈의조선도공」(박문사,2020),「일본하기의조선도공」(민속원,2020),「한ㆍ중ㆍ일의고양이민속학」(민속원,2020),「일본에서신이된고대한국인」(박문사,2021),「할복-거짓을가르고진실을드러내다」(민속원,2022),「초암다실의기원」(효림,2022),「성파스님의다락방」(민속원,2023),「국경을넘는한일요괴」(민속원,2023)등

역서
「한일고대불교관계사」(학문사,1985),「일본의고사기(상)」(예전사,1987),「선조의이야기」(광일문화사,1981),「일본의고사기(중)」(예전사,1990),「조선의귀신」(민음사,1990),「고대한국과일본불교」(울산대출판부,1996),「佛敎の祈り」〈일본출판〉(法藏館,1997),「일본의고사기(하)」(예전사,1999),「조선의귀신」(민속원,2019)등

목차

머리말

1장일본을통하여들어온서양의세시민속
2장일본의하나미와한국의화전놀이
3장한일초파일민속의비교
4장칠석을통한한일기층문화
5장칠석걸교민속의수용과변용양상
6장한중일의칠석음식
7장고구려고분벽화와일본의칠석설화
8장한국의백중과일본의오봉
9장한국의추석과일본의쓰키미
10장재일한인의세시풍속
11장아귀들의향연,대만의중원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