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찾은 한국 고대사 : 중국 국학답사 이야기

발로 찾은 한국 고대사 : 중국 국학답사 이야기

$22.00
저자

김종성

저자:김종성
고려대경제학과를졸업하고호서대에서경영학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대기업의CEO와부회장을역임하고업계단체인(사)한국항만물류협회회장직도역임하였다.현재경영컨설팅회사를운영하고있으며(사)국학연구소이사장직을수행하고있다.일찍이대학재학중에민족및국학과관련한단체활동과연구활동을시작하였고,1987년설립된(사)국학연구소의창립멤버로도참여하였다.근대국학의선각으로대종교를중광한홍암나철선생의증손녀서(曾孫女壻)이다.

목차

머리말

홍산문화지역답사(배달국,고조선의흔적)
제4차답사.단기4350(2017).8.11~8.15.
고북구장성
삼좌점석성,적봉박물관,우하량박물관
여신묘,우하량2호유적지
조양,봉황산,만불당석굴
연수성,태자하,요양동경성성터
요녕성박물관

발해연안지역답사(위만조선과한국고대사유적)
제5차답사4351(2018).8.15.~8.19.
대련한묘박물관,요양동경성유적
진황도산해관,맹강녀사당
영평부고성,창려갈석산,당산박물관
황하패각제방,무제대,무체현갈석산
임치제(齊)박물관,청주박물관
봉래수성(水城),봉래선박박물관
장도현,묘도군도,발해·황해경계선

중원지역답사(중화의중심지역과우리의정체성)
제6차답사.단기4352(2019).5.2~5.6.
풍호유적,무릉
황제릉,창힐묘,사마천사당
용문풍경구,순임금릉,치우촌
백이숙제묘,함곡관,낙양고성
탕왕사당,기자총(묘)
공자사당,태산

북경하북성지역답사(번조선강역과역사적실체)
제7차답사.단기4356(2023).6.2~6.6.
고려영,계현계주구박물관,어양
천안박물관,황태산공원,양평부고성
당산박물관,천진바오디조백하국가습지공원,무청구박물관
역현연하도고성,역도원고가,장비사당(도원결의정)
북경석경산노산한묘,노구교
서주연도유적박물관(유리하유적지),수도박물관

동호선비지역답사(요본거지와한민족의정체성)
제8차답사.단기4357(2024).5.2.~5.6.
조양박물관,영성현흑성성터
요중경박물관,적봉박물관
홍산문화박물관,홍산등정
옹우특기목엽산등정,파림좌기요상경박물관
툥통료박물관,북진의무려산
의현봉국사,대릉하,의현고성(홍정현성터)

부록1고조선(단군조선)에관한역사기록
부록2요동요수에관한역사기록
부록3중국하북성의발해,패수에관한역사기록

출판사 서평

대학시절부터40년넘게역사에관심을두면서꾸준히역사에대한탐구를해왔지만,책만으로의연구는한계가있음을마음속으로느껴왔다.성리학을존숭하던유림의학자들이과연중원의실상을보고온사람이몇이나될까?지금의중국하남성에있는기자묘를한번이라도다녀왔다면북한평양에기자조선이있었고기자묘가있단말을어찌믿을수있었겠는가.사실을확인해보지도않고무조건기록만믿는습관이한민족의역사를축소시키는화를부른것이다.
제1차답사시에가슴이부풀어올라벅찬기대를하고보았던시각이답사가거듭됨에따라사고에대한깊이가더해지고시야도넓어짐을느낀다.그래서1,2차답사기에썼던내용이편협되어보이기도하고내용이잘못돼보이기도하였다.그러나그내용은수정하지않았다.왜냐하면그때는그러한시각으로역사를보았다는증거를남겨놓고싶기때문이다.
앞으로도국학답사는계속될것이다.그리하여훗날후손들이그시대에는그러한시각으로역사를보고문헌으로만이아니라현장의역사사실을확인한것이중요하다는인식을하였으면좋겠다는생각이든다.이를참고하여조금이라도역사를연구하고한민족의정체성을확립하는데보탬이되었으면하는바람이다.

-머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