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과 위생 : 인간의 출현과 자본-식민주의 비판 - 저강도 총서 1

내전과 위생 : 인간의 출현과 자본-식민주의 비판 - 저강도 총서 1

$24.00
Description
자본-식민주의의 지속이 어떻게 여러 영역에 걸친 위생 집착으로 귀결되는가.
전칭적 규정과 혐오의 폭력 사이의 연루는 내전과 위생의 귀결이다. 내전이란 ‘너는 누구냐’는 심문을 반복하여 적을 색출함으로써 전칭적 집단을 규정하는 정치적 수행이며, 이 과정을 통해 성립하는 전칭적 집단은 그 어떤 이질적 요소도 허용하지 않는 위생에 집착한다. 제주도 예멘 난민 사태로 촉발된 한국 사회의 광기가 그랬고, 퀴어 퍼레이드 주변을 포위하면서 순결을 강조하는 종교 집단이 그랬다. 그리고 내전과 위생이 한국 사회를 넘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전개되어왔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내전과 위생: 인간의 출현과 자본-식민주의 비판』이 내전과 위생을 통해 자본-식민주의 비판을 전개하려는 까닭이다. 근대의 자본-식민주의 비판에 규범적 근거를 제공해왔던 ‘보편 인권’이란 이념이 거꾸로 인권의 역사와 정치를 짓밟고 망각의 구멍으로 내모는 사태, 이런 역설적 상황을 이해하고 재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롤로그에서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는 비판 문법의 갱생, 즉 신유물론, ANT(Actor Network Theory), 사변적 실재론 등을 염두에 두면서 ‘인간’이라는 고약한 개념이자 실존을 문제화했다. 이를 통해 이 책이 최근 비판 담론과 어떤 거리를 두면서 자본-식민주의 비판을 수행하려 하는지 좌표를 설정했다.
1장과 2장에서는 슈미트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내전론을 전개했고, 3장에서는 이에 바탕을 두고 현대 한국의 문제적 지성 최인훈의 궤적을 추적했다. 4장에서는 크라카우어를 읽는 벤야민을 참조하면서 마르크스주의의 인간과 노동 개념을 재검토했고, 5장에서는 호모 사케르 시리즈로 수행된 아감벤의 웅장한 기획을 육체의 문제로 재해석했다. 6장과 7장에서는 현대 한국에서 전개되고 지속된 식민주의 문제에 천착했다. 선진국, 아시아, 그리고 주사파 등을 논제로 삼아 비판을 전개했다.
에필로그에서는 광주와 유신 체제를 다시금 돌아봄으로써 내전과 위생이 현재의 혐오 폭력으로 발현되는 양상을 추적한 뒤 현재 지구상에서 인간이, 국민이, 시민이 된다는 사태의 의미를 되물었다.

저자

김항

저자:김항
연세대학교문화인류학과교수.탈식민지론,표상문화론,문화정치,일본현대문화등을연구하고있다.지은책으로는『종말론사무소』(문학과지성사,2016),『제국일본의사상』(창비,2015),『말하는입과먹는입』(새물결,2009)이있고,옮긴책으로는『예외상태』(새물결,2010),『정치신학』(그린비,2009),『근대초극론』(민음사,2003)등이있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사물의물신성과음성의주술성

1장혐오,음모,그리고내전:집단학살의패러다임과정치적인것의상황

2장내전과현대민주주의의상황:슈미트의<리바이어던>해석을중심으로

3장너무많이알아버린남자:내전을살다간최인훈

4장인간이라는분할과노동:벤야민과크라카우어의경우

5장내몸을논하지말라:법의불안,신학의곤혹,그리고철학의여백에대하여

6장아시아라는은어와비판의탈취(脫臭/奪取):선진국서사와식민주의비판

7장품성론의역습:해방후동아시아식민주의의변형과존속

에필로그:혐오,광주,그리고유신체제

출판사 서평

내전과위생이지속되는상황속에서인간은인간이기를그쳐야비로소인간이될수있을지도모른다는전망이어떻게전달될까.

『내전과위생:인간의출현과자본-식민주의비판』은탈식민지론,표상문화론,문화정치를연구하는연세대문화인류학과김항교수가지난7~8년동안쓴글들을고치고엮은것이다.
이글들은논문으로,비평으로,발표로세상에선보인방식은제각각이지만큰틀에서‘내전과위생’이란주제를염두에두고쓴것이다.저자는짧지않은시간동안칼슈미트와조르조아감벤을읽으며내전에몰두했고,자연스레위생이란주제에이끌렸다.그것은이론적관심만은아니었다.지난몇년동안의상황또한내전과위생의개념을요청했기때문이다.저자는다음과같이스케치했다.
2018년가을서울의한대학에서총여학생회를폐지하자는움직임이있었다.이른바백래시(backlash)를이끈치졸한단결이곳곳에서행패를부리기시작한때였다.단결한이들은당시총여학생회가기획한강연회를빌미삼아폐지를선동했고,안팎의지원으로기세등등해진끝에그럴듯한카드뉴스까지만들었다.“자의적해석에따른선택적인권보호의위험”을극복하여“보편인권에따른모든**인의인권보호”를추구하겠다는내용이었다.이후상황은투표로이어졌고,총여학생회는결국폐지되었다.그들의행태는전형적인내전의전개였다.
그것은오랜짓눌림을뚫고나온목소리를“**인”이라는전칭적규정을내세워잠재우는혐오의폭력이었고,필연적으로역사적이고정치적인위생화를동반했다.진보와변혁에드리운남성중심주의를문제화하며등장한페미니스트총여학생회의역사와정치가“보편인권”이란미명아래“역사세탁(historylaundry)”의대상이되었다.길고험난했던총여학생회의역사와정치는치졸한집단이휘두른보편인권이란사이비규범앞에서속수무책으로무장해제되고말았다.
모대학의총여학생회폐지를둘러싼난장판은보편인권을내세운인권의탈역사화이자탈정치화였다.저자에게내전과위생이이론차원에서뿐아니라상황이강제한관심이었던까닭이다.
에필로그에서참조했듯내전과위생에서비롯된혐오의폭력은유력정당대표의장애인시위관련발언에서도반복되었다.그는‘선량한시민’이란전칭적규정으로장애인시위를특정집단의이기적행위로몰아세웠다.낯설지만은않다.인간,국민,시민뿐아니라지역,학교,직장등구성원모두를균질적으로호명하면서소수자를배제하고억압하고말살하려는시도는도처에서반복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