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과 역사주기 - 선우재 연구총서 1 (양장)

사회운동과 역사주기 - 선우재 연구총서 1 (양장)

$39.06
Description
역사주기론의 시각으로 조망한 현대 한국 사회운동
4·19혁명부터 촛불시위 이후까지, 조대엽 교수의 사회운동 연구의 완결판
현대 한국의 사회운동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움직여 지금에 이르렀는가? 《사회운동과 역사주기》는 사회운동을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맥락 안에서 살피고 그 연속성과 동학을 드러낸다. 언제나 실천 사회학을 지향하며 세상과 시대의 번민과 새로운 미래 전망을 담아내고자 한 조대엽 교수가 30년간의 사회운동 연구를 체계화한 완결판이다. 선우재 연구총서 1권으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점점 더 사회운동의 실체로부터 멀어지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 사회운동의 역사성을 놓치지 않으면서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역사주기론의 시각’을 도입해 사회운동 분석의 지평을 확장했다. 1945년 해방 이후 4·19혁명부터 2000년대 이후의 촛불시위까지 이어져온 현대 한국 사회운동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조망한 저자의 분석을 통해 사회운동의 역사적 경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사회학자 조대엽의 학술적 여정을 망라하는, 그의 사회학 30년 강물에서 건져올린 사금과도 같은 책이다.

저자

조대엽

저자:조대엽
경북안동에서태어나낙동강을보며자랐다.고려대사회학과를졸업하고같은대학원에서석·박사학위를마쳤다.사회운동분석의‘역사주기론’을제시한바있고,제4의결사체·생활민주주의·시장공공성·생활공공성등의이론을제시했다.‘노동학’을체계화했으며,‘노조시민주의’와지속가능한노동에관한논의의장을열었다.고려대사회학과교수로재직하며2025년정년퇴임시까지논문약80편을발표하고34권의저서를출간했다.한국사회학회,한국비교사회학회등여러학회에서활동했다.
시민단체를돕기도하고,2012년과2017년대선에서문재인후보의정책싱크탱크에참여했다.노동계를도와금융산업공익재단의출범에함께했으며,현재민간싱크탱크선우재에참여하고있다.고려대노동대학원장을세번연임하면서노동대학원을노동학의중심으로만들고노동문제연구소를복원하는데애썼다.2019년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장으로취임해대통령소속9개국정과제위원회를총괄하는국정과제협의회의장직을수행하며정책기획시리즈단행본21권을출간했고,2022년문재인정부국정백서22권을편찬하는등국정을도왔다.사회학자로서30년간사회운동·민주주의·노동학등비교적현장에민감한분야를연구하면서미네르바의올빼미와갈리아의수탉을동시에좇은셈이다.

목차


서문나의사회학30년:사회운동,민주주의,그리고노동학7

1부사회운동분석과역사주기

1장사회운동분석과역사주기론의시각37
1.서론:사회운동의사회학과역사성의문제37
2.사회운동의순환구조와역사주기44
3.사회운동의역사주기와정치적기회구조56
4.사회운동의역사주기와자원동원의구조64
5.사회운동의역사주기와운동프레임의분화72
6.결론:서사의귀환과역사주기론의전망78

2장사회운동의역사주기와동원구조85
1.서론:사회운동은어떻게동원되는가?85
2.사회운동의동원과운동조직89
1)미시동원과자생조직89
2)중위동원과사회운동조직94
3.탈조직동원과‘유연자발집단’100
1)운동공론장의구조변동과탈조직동원100
2)탈조직동원과제4의결사체106
4.결론:시민운동과동원화의전망111

2부민족민주운동의주기

3장민족민주운동과4월혁명의순환구조119
1.서론:시대와운동119
2.사회운동과역사주기123
3.4월혁명과민족민주운동의주기133
4.민족민주운동과민주주의프레임143
1)1960년대민족민주운동과저항적자유주의143
2)1970년대민족민주운동과반유신민주주의146
3)1980년대민족민주운동과혁명적민주주의151
5.민족민주운동과민족주의프레임155
1)1960년대민족민주운동과통일-자립민족주의155
2)1970년대민족민주운동과자립-통일민족주의158
3)1980년대민족민주운동과반미-통일민족주의162
6.결론:민족민주운동의주기이후167

4장4월혁명의순환구조와6·3항쟁171
1.서론:4월혁명과운동의재생산171
2.민족민주운동의역사주기와4월혁명175
1)4월혁명과민주주의프레임의출현175
2)4월혁명과통일민족주의프레임의출현180
3.민족민주운동의역사주기와6·3항쟁186
1)6·3항쟁의주기와자주적민족주의프레임186
2)4월혁명의순환구조와6·3항쟁의민주주의프레임191
4.결론:4월민주주의의진화론적전망197

5장민족민주운동과4·18고대행동:고대민주주의의기원201
1.서론:왜고대민주주의인가?201
2.4·18고대행동과고대민주주의의문화적원천206
3.4·18고대행동과고대민주주의의정당성구조213
4.결론:고대민주주의의진화론적전망218

6장민족민주운동의주기와1980년대학생운동의반미주의223
1.서론:민주화운동의전환223
2.사회운동의이념과전략:‘대중화전략’에관하여226
3.민주화운동의급진적확산과학생운동230
1)1970년대의재야민주화운동230
2)1980년대의급진민중주의와학생운동235
4.반미주의의확산과대중화전략240
1)민중주의의관념성과운동의급진화240
2)반미주의의분화와대중화전략245
5.결론:교조적반미와대중화전략이후251

3부시민사회운동의주기

7장탈냉전의역사국면과시민사회운동의시대257
1.서론:시민운동의탈냉전적기원257
2.역사국면의전환과시민운동의새로운주기261
1)역사국면과역사주기261
2)민족민주운동의주기와시민사회운동의주기267
3.탈냉전·시장주의역사국면과1990년대시민운동274
1)새로운시민단체와새로운시민운동274
2)정치개혁의지체와시민단체의연대운동279
4.탈냉전·시장주의역사국면과2000년대생활정치운동283
1)2000년대시민운동의제도화와탈조직적시민행동283
2)생활정치운동과미시민주주의288
5.결론:시민운동의탈냉전적전망294

8장현대사회운동의세계사적맥락과참여연대운동299
1.서론:10년의질주,그리고10년의딜레마299
2.시민사회와사회운동의역사적전개304
1)서구시민사회와사회운동의역사적전개304
2)비서구및한국의시민사회와사회운동의역사적전개309
3.탈냉전·시장주의역사국면과한국시민운동의분화315
4.탈냉전·시장주의역사국면과참여연대의시대322
5.결론:‘참여연대의시대’이후의참여연대운동330

9장시민운동의정치와시민사회통일론의전망335
1.서론:국가주의통일론을넘어335
2.역사국면의전환과시민사회통일론340
3.탈냉전시장주의역사국면과통일프레임의변화350
1)남북한의교류와협력350
2)통일운동의분화와시민·평화프레임354
3)탈냉전의시민의식358
4.시민사회통일론과시민민족주의363
1)시민민족주의의논리와한반도정체성363
2)시민민족주의와민족화해의통일프레임369
5.결론:시민사회통일론의위기와전망376

4부생활정치운동의주기

10장시민사회의재구조화와제4의결사체383
1.전환:지구적사회변동과정치변동383
2.시민사회의재구조화:시민단체와‘제4의결사체’386
3.제도화된시민단체와시민정치392
4.‘제4의결사체’와시민정치394
5.전망:시민사회의민주화와시민정치의과제399

11장2008촛불파워와탈조직적시민운동403
1.촛불집회:‘신갈등사회’와새로운갈등과정403
2.급진적개인주의와제4의결사체408
3.전망:탈조직적시민사회와시민운동의새로운주기412

12장생활민주주의와생활공공성운동419
1.1987년의정치와1997년의사회,그리고2024년의대한민국419
2.‘생활’과민주주의:국가주의를넘어423
3.민주주의의외재성과내재성430
4.생활민주주의의내재성438
5.생활공공성운동과생활국가444
6.2024년의정치와생활공공성운동의전망447

보론한국의정치사회·사회운동연구의미래:정치사회학연구의위기진단과‘신규범주의’정치사회학의전망451
1.서론:긴위기,오랜침묵451
2.정치사회·사회운동연구의시기별동향455
3.정치사회·사회운동연구의성과와한계464
1)학술적성과와한계464
2)정치사회실천담론의성과와한계469
4.정치사회·사회운동연구의미래474
1)현재의위기:‘추월’과‘해체’474
2)‘신규범주의’정치사회학의모색480
5.결론:신규범주의정치사회학의전망487

참고문헌493

출판사 서평

역사주기론의시각으로조망한현대한국사회운동
4·19혁명부터촛불시위이후까지,조대엽교수의사회운동연구의완결판

현대한국의사회운동은어디서부터어떻게움직여지금에이르렀는가?《사회운동과역사주기》는사회운동을한국의특수한역사적맥락안에서살피고그연속성과동학을드러낸다.언제나실천사회학을지향하며세상과시대의번민과새로운미래전망을담아내고자한조대엽교수가30년간의사회운동연구를체계화한완결판이다.선우재연구총서1권으로출간되었다.
저자는점점더사회운동의실체로부터멀어지는기존연구의한계를극복하겠다는문제의식을가지고,한국사회운동의역사성을놓치지않으면서설명력을높일수있는새로운접근방식으로‘역사주기론의시각’을도입해사회운동분석의지평을확장했다.1945년해방이후4·19혁명부터2000년대이후의촛불시위까지이어져온현대한국사회운동의역사를총체적으로조망한저자의분석을통해사회운동의역사적경로를구체적으로파악할수있게한다.사회학자조대엽의학술적여정을망라하는,그의사회학30년강물에서건져올린사금과도같은책이다.

조대엽사회학30년,현장과함께호흡하며쌓아올린그학문의정수
조대엽교수는참여연대활동으로알수있듯실천하는사회학자이면서고려대노동대학원장으로보낸10년과문재인정부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위원장활동으로잘알려진정책가이다.아카데미아안에서학문을닦는데그치지않고늘그의학문이주제로하는삶의현장속에서함께하며쌓은경험을정책으로끌어올리고정교화했다.《사회운동과역사주기》는그의활동의근원인,사회학자조대엽의학문적삶을그러모은책이다.
조대엽교수의학문적시작점은사회운동연구이다.그는80년대의운동세대로서386세대를연구하고,이후1990년대와2000년대청년세대와그들의사회운동을연구해왔다.나아가1980년대이전의4·19혁명과6·3항쟁을분석하면서구성한역사주기론의시각을토대로이책에서는현대한국의사회운동을총체적으로조명한다.학문적으로든실천하는삶속에서든현재를직시하고앞을내다보기를멈추지않은저자답게,지금까지쌓은학문을정리하면서도한국사회과학연구의미래까지내다본다.
《사회운동과역사주기》는저자가사회학자로서고려대에서보낸30년을마무리짓는책이다.동시에,정책기획위원으로함께한교수들을기반으로출범한민간싱크탱크선우재가펴내는연구총서의시작을알리는첫발자국이다.

기존사회운동분석이론의한계를넘어,한국사회운동분석에역사성을결합하다
저자는1부에서책전체를관통하는‘역사주기론’을세운뒤,이어지는세개의부에서는이론을통해분절한한국의사회운동의역사주기를하나씩설명한다.기존의서구이론은일반성을좇기에탈역사적이라는한계가있었다.조대엽은브로델의국면사개념을도입해현대한국사회운동의역사를1990년대를기준으로분단·국가주의국면과탈냉전·시장주의국면으로나눈다.그리고사회학적상상력을주입해한국사회운동사의국면을세개의역사주기,즉민족민주운동의주기(해방이후부터1980년대),정치경제개혁운동의주기(1990년대),생활정치운동의주기(2000년대이후)로구분해조망한다.이를통해저자는앞선운동과후발운동간의연속성의동학을드러냄으로써무엇보다사회운동의역사적경로를구체적으로파악할수있게해준다.
2부에서는1987년6월항쟁으로이어지는민주화를4월혁명에서시작한사회운동의순환이이룬성과로분석하고,민족민주운동의근원으로서4·18고대행동을조명한다.3부에서는1987년대통령직선제라는절차적민주화를이룬후,실질적정치권력교체를이루지못해지체된민주주의과제를해결하기위해설립된참여연대활동을중심으로정치경제개혁운동을분석한다.탈냉전이라는세계사적맥락속에참여연대활동을배치해그의의를보이고국가주의를탈피한시민사회통일론을강조한다.4부에서는새로운유형의사회운동으로서촛불집회를직접고안한‘제4의결사체’개념으로풀이하고국가주의패러다임으로인해정치에서소외된시민의생활정치를강조한다.마지막으로보론을통해사회과학의위기를넘어설새로운미래를모색한다.이를통해저자는탈냉전시대의초입에프랜시스후쿠야마가선언한‘역사의종언’을넘어우리시대역사의새로운기획을알리는서사의귀환을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