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정치를 1도 모르던 경상도의 딸은 왜 진보가 되었나?
대한민국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2024년 겨울 한복판에서 ‘탄핵’을 목 놓아 외치며
사랑과 평화를 노래한 2030세대에게 바치는 연대의 메시지
여행 · 취미 · 연애와 결혼 · 고향 · 여성 · 부모님 세대 · 주거 · 밥벌이…
해일처럼 밀려드는 숙제에서 우리, 해방될 수 있을까?
92년생 잔나비띠의 인생 현타 물리치기 대 프로젝트!
대한민국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2024년 겨울 한복판에서 ‘탄핵’을 목 놓아 외치며
사랑과 평화를 노래한 2030세대에게 바치는 연대의 메시지
여행 · 취미 · 연애와 결혼 · 고향 · 여성 · 부모님 세대 · 주거 · 밥벌이…
해일처럼 밀려드는 숙제에서 우리, 해방될 수 있을까?
92년생 잔나비띠의 인생 현타 물리치기 대 프로젝트!
안지은·전윤채가 쓴 『우리는 표류하고 있습니다』가 걷는사람 에세이 27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경상도의 딸들은 왜 진보가 되었나’라는 부제가 붙었다.
201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데뷔한 시인이자 회사원인 안지은, 그리고 시인 지망생이자 회사원 전윤채. 1992년생 잔나비띠인 두 사람은 같은 대학 같은 학과에서 만나 친구가 되었고 우연과 필연이 겹쳐 한 직장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어느덧 서른두 살. 때로는 해외 여행을 떠나기도 하고 롤드컵 챔피언 페이커와 K-POP에 열광하며 덕후 생활을 즐기기도 하지만 경상도 출신의 서울살이는 ‘뼈를 때린다’. 결코 호락하지 않다.
격변하는 2024년의 한복판에서 절절하게 느끼는 밥벌이의 고충, 불안정한 주거지로 인한 심리적 불안, (젊은) 여성으로서 살아가기의 난감함, 정치로 인한 스트레스, 부모 세대와의 끊임없는 불화 등을 겪으면서 둘은 상처받고, 싸우고, 살고자 몸부림친다.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이렇게 가방끈이 긴데도 왜 우리는 아무것도 성취해내지 못하는 걸까?’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 오리무중의 삶은 언제 정착할 수 있을까?’ 같은 질문들을 서로에게 부치는 편지로 대신하며, 둘은 우정을 노둣돌 삼아 오늘을 견딜 힘을 얻고 새로운 내일을 상상해낸다.
우울증 약을 복용하는 딸을 토닥여 주기는커녕 왜 그런 걸 먹냐고 타박을 일삼던 엄마로 인해 상처 입었던 지난날을 떠올리며 ‘어쩌면 엄마도 가부장제의 피해자’였을 거라고 새삼 생각해 보는 지은. 탄핵의 뜻도 몰라서 총알과 핵을 일컫는 말인 줄 알았을 정도로 정치에 대해선 1도 모르던 시절을 지나, ‘혐오’라는 단어를 피부로 맞닥뜨리며 비로소 사회·정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윤채.
이들이 겪은 고민과 상처는 이 시대 청년이라면 한 번쯤 느껴 봤을 법한 평범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읽는 내내 감정 이입을 하게 되고, 함께 분노하고 응원하게 된다. 그리고 우린 또 알게 된다. 가장 평범한 얼굴이야말로 얼마나 어메이징한 것인지. 자신과 타인을 더는 혐오하지 않고, ‘나를 구원하는 건 나’임을 인지하며, 세상에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용기를 갖는 그 자체가 얼마나 어메이징한 사건인지를.
이를테면 이 책은 현시대 대한민국 2030세대의 표류기이자 성장담인 셈이다.
‘여행 / 취미 / 연애와 결혼 / 고향 / 여성 / 부모님 세대 / 주거 / 밥벌이’라는 8가지 키워드를 통해 안지은과 전윤채가 주고받는 이야기는, ‘표류하듯’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타자에 대한 상상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우리도 미처 모르고 있었던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거울이 되어 줄 것이다.
페터 바이스의 소설 『저항의 미학』에서 지배 계급에 대한 ‘저항’은 연대를 통해 가능한데, 연대는 무엇보다도 타자에 대한 상상력을 토대로 한다고 서술한다. 부모 세대와 청년 세대가 서로 겪어 보지 못한 세대를 상상할 때, 그 상상력은 이해의 토대가 되고 연대의 발판이 될 것이다. 내가 엄마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부모 세대를 이해한 것처럼.
− 「부모님 세대 : 지은의 이야기」 중
정치 체념 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던 때, 나를 다시 움직이게 한 건 혐오에 맞서야 한다는 마음이었다. 혐오에 물들지 말자. 혐오에 지지 말자. 혐오를 똑바로 바라보자….
대선의 결과는 내 뜻대로 되지 않았지만 회색 지대에 묻혔던 나의 다짐은 되찾았다.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 나를 마지막까지 지탱할 나의 정체성, 나는 여자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약자와 연대한다. 혐오와 마주 서기 위해. 혐오를 부추기는 이들을 가리키기 위해.
− 「여성 : 윤채의 이야기」 중
201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데뷔한 시인이자 회사원인 안지은, 그리고 시인 지망생이자 회사원 전윤채. 1992년생 잔나비띠인 두 사람은 같은 대학 같은 학과에서 만나 친구가 되었고 우연과 필연이 겹쳐 한 직장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어느덧 서른두 살. 때로는 해외 여행을 떠나기도 하고 롤드컵 챔피언 페이커와 K-POP에 열광하며 덕후 생활을 즐기기도 하지만 경상도 출신의 서울살이는 ‘뼈를 때린다’. 결코 호락하지 않다.
격변하는 2024년의 한복판에서 절절하게 느끼는 밥벌이의 고충, 불안정한 주거지로 인한 심리적 불안, (젊은) 여성으로서 살아가기의 난감함, 정치로 인한 스트레스, 부모 세대와의 끊임없는 불화 등을 겪으면서 둘은 상처받고, 싸우고, 살고자 몸부림친다.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이렇게 가방끈이 긴데도 왜 우리는 아무것도 성취해내지 못하는 걸까?’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 오리무중의 삶은 언제 정착할 수 있을까?’ 같은 질문들을 서로에게 부치는 편지로 대신하며, 둘은 우정을 노둣돌 삼아 오늘을 견딜 힘을 얻고 새로운 내일을 상상해낸다.
우울증 약을 복용하는 딸을 토닥여 주기는커녕 왜 그런 걸 먹냐고 타박을 일삼던 엄마로 인해 상처 입었던 지난날을 떠올리며 ‘어쩌면 엄마도 가부장제의 피해자’였을 거라고 새삼 생각해 보는 지은. 탄핵의 뜻도 몰라서 총알과 핵을 일컫는 말인 줄 알았을 정도로 정치에 대해선 1도 모르던 시절을 지나, ‘혐오’라는 단어를 피부로 맞닥뜨리며 비로소 사회·정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윤채.
이들이 겪은 고민과 상처는 이 시대 청년이라면 한 번쯤 느껴 봤을 법한 평범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읽는 내내 감정 이입을 하게 되고, 함께 분노하고 응원하게 된다. 그리고 우린 또 알게 된다. 가장 평범한 얼굴이야말로 얼마나 어메이징한 것인지. 자신과 타인을 더는 혐오하지 않고, ‘나를 구원하는 건 나’임을 인지하며, 세상에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용기를 갖는 그 자체가 얼마나 어메이징한 사건인지를.
이를테면 이 책은 현시대 대한민국 2030세대의 표류기이자 성장담인 셈이다.
‘여행 / 취미 / 연애와 결혼 / 고향 / 여성 / 부모님 세대 / 주거 / 밥벌이’라는 8가지 키워드를 통해 안지은과 전윤채가 주고받는 이야기는, ‘표류하듯’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타자에 대한 상상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우리도 미처 모르고 있었던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거울이 되어 줄 것이다.
페터 바이스의 소설 『저항의 미학』에서 지배 계급에 대한 ‘저항’은 연대를 통해 가능한데, 연대는 무엇보다도 타자에 대한 상상력을 토대로 한다고 서술한다. 부모 세대와 청년 세대가 서로 겪어 보지 못한 세대를 상상할 때, 그 상상력은 이해의 토대가 되고 연대의 발판이 될 것이다. 내가 엄마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부모 세대를 이해한 것처럼.
− 「부모님 세대 : 지은의 이야기」 중
정치 체념 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던 때, 나를 다시 움직이게 한 건 혐오에 맞서야 한다는 마음이었다. 혐오에 물들지 말자. 혐오에 지지 말자. 혐오를 똑바로 바라보자….
대선의 결과는 내 뜻대로 되지 않았지만 회색 지대에 묻혔던 나의 다짐은 되찾았다.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 나를 마지막까지 지탱할 나의 정체성, 나는 여자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약자와 연대한다. 혐오와 마주 서기 위해. 혐오를 부추기는 이들을 가리키기 위해.
− 「여성 : 윤채의 이야기」 중
북 트레일러: 도서와 관련된 영상 보기
- 출판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변경 또는 중지될 수 있습니다.
- Window7의 경우 사운드 연결이 없을 시, 동영상 재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어폰, 스피커 등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하시고 재생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표류하고 있습니다 : 경상도의 딸들은 왜 진보가 되었나 - 걷는사람 에세이 27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