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이 책은 탑골공원의 다양한 시.공간적 서사를 씨실과 날실으로 엮어낸 것이다. 통시적 관점으로 바라본 탑공공원의 역사적 울림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여는 혜안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각 분야 전문가 10명이 탑골공원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 논문을 발표한 것을 하나로 모은 것이다. 논문 제목과 필자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의 중심 탑골공원 입지의 융합적 분석; 양홍진(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장), 임정규(구자곡초등학교 교장, 인하대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 수료)
2. 흥복사지와 원각사의 역사적 의미; 최건업(한국불교사연구소 연구원)
3.대한제국 탑골공원의 탄생과 운영;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연구위원)
4. 기독교의 근대의식과 삼일항쟁, 그리고 YMCA 와 탑골공원: 김명구(서울 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5. '3.1혁명정신'과 '독립정신' : 장우순(동학연구소 연구위원)
6.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김지영(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교수)
7. 천도교의 3.1독립운동 활동과 탑골공원: 성강현(동의대 역사인문교양학부 겸임교수)
8. 대종교와 3.1운동의 연관성에 대한 검토: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역임)
9. 탑골 공원의 역사와 의미; 복기대(인하대 대학원 융합고고학전공 교수)
1. 서울의 중심 탑골공원 입지의 융합적 분석; 양홍진(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장), 임정규(구자곡초등학교 교장, 인하대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 수료)
2. 흥복사지와 원각사의 역사적 의미; 최건업(한국불교사연구소 연구원)
3.대한제국 탑골공원의 탄생과 운영;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연구위원)
4. 기독교의 근대의식과 삼일항쟁, 그리고 YMCA 와 탑골공원: 김명구(서울 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5. '3.1혁명정신'과 '독립정신' : 장우순(동학연구소 연구위원)
6.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김지영(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교수)
7. 천도교의 3.1독립운동 활동과 탑골공원: 성강현(동의대 역사인문교양학부 겸임교수)
8. 대종교와 3.1운동의 연관성에 대한 검토: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역임)
9. 탑골 공원의 역사와 의미; 복기대(인하대 대학원 융합고고학전공 교수)

탑골공원의 역사적 의미
$2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