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골공원의 역사적 의미

탑골공원의 역사적 의미

$25.00
Description
이 책은 탑골공원의 다양한 시.공간적 서사를 씨실과 날실으로 엮어낸 것이다. 통시적 관점으로 바라본 탑공공원의 역사적 울림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여는 혜안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각 분야 전문가 10명이 탑골공원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 논문을 발표한 것을 하나로 모은 것이다. 논문 제목과 필자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의 중심 탑골공원 입지의 융합적 분석; 양홍진(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장), 임정규(구자곡초등학교 교장, 인하대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 수료)
2. 흥복사지와 원각사의 역사적 의미; 최건업(한국불교사연구소 연구원)
3.대한제국 탑골공원의 탄생과 운영;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연구위원)
4. 기독교의 근대의식과 삼일항쟁, 그리고 YMCA 와 탑골공원: 김명구(서울 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5. '3.1혁명정신'과 '독립정신' : 장우순(동학연구소 연구위원)
6.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김지영(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교수)
7. 천도교의 3.1독립운동 활동과 탑골공원: 성강현(동의대 역사인문교양학부 겸임교수)
8. 대종교와 3.1운동의 연관성에 대한 검토: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역임)
9. 탑골 공원의 역사와 의미; 복기대(인하대 대학원 융합고고학전공 교수)

저자

탑골공원성역화추진위원회

엮음:탑골공원성역화추진위원회
탑골공원성역화추진위원회(추진위원장이종찬)는1919년3.1만세운동의시발점이된탑골공원복원을통해3.1운동의의미와역사적교훈을되새기고,탑골공원을민의의중심인시민공원으로복원시켜서울의중심문화공간으로가꾸어나가기위한시민단체입니다.

목차


『탑골공원의역사적의미』의출간에부쳐이종찬4
630년대한(大韓)의중심에서대동(大同)세상을꿈꾸다정문헌16

1.서울의중심탑골공원입지의융합적분석양홍진·임정규서울의중심탑골공원입지의융합적분석양홍진·임정규
1.머리말34
2.탑골공원입지에관한기초자료조사38
1)탑골공원의역사38
2)탑골공원의위치39
3)조선초한성의중심흥복사41
4)국책사업으로진행된원각사창건42
5)탑골공원(원각사)의지리적특징43
6)도읍지의배치기준과특징45
3.탑골공원위치에관한분석47
1)지도에서찾은탑골공원의지리적위치47
2)탑골공원의천문학적특징47
4.원각사지석탑과천문학51
5.현대관측장비를활용한탑골공원위치분석53
1)한양성대표관문동대문과탑골공원의위치비교53
2)한양성대표지표지형남산,관상감과탑골공원의위치비교55
6.결론59

2.흥복사지와원각사의역사적의미최건업
1.들어가는말64
2.흥복사의흥망과원각사의창건67
1)흥복사의흥망67
2)원각사의창건68
3.원각사의건립배경71
1)정통성의확보71
2)도덕성회복과왕권의강화72
3)원각경과원각사의명칭74
4)한양의중심에원각사건립76
4.원각사의역할과기능79
1)한글금속활자제조와백성의개안80
2)수륙재와빈민구제81
3)왕실행사와국행제례수행84
4)원각사의쇠퇴85
5.나오는말87
1)결론87
2)제언90

3.대한제국탑골공원의탄생과운영김영수
1.머리말96
2.탑골공원의조성배경:원각사지십층석탑의훼손101
3.탑골공원의조성과주체106
4.탑골공원의운영과서양인의탑골공원방문121
1)탑골공원의운영121
2)서양인의탑골공원방문126
5.맺음말130

4.기독교의근대의식과삼일항쟁,그리고YMCA와탑골공원김명구
1.서언136
2.기독교병원과기독교학교의역할139
3.의료·교육선교를통한의식화142
1)의료·교육선교의전개142
2)의료와교육선교의특성146
4.기독교학생들의근대의식화와교육선교의정치학149
1)기독교학생들의근대의식화149
2)교육선교의정치학152
5.2·8독립선언155
6.3·1항쟁159
1)그전개159
2)그기획163
7.3·1항쟁에있어서의YMCA의위치와역할163
1)서울YMCA와그위치167
2)3·1항쟁에서YMCA의역할과공헌171
8.탑골공원설립의이념175
9.여언183

5.'3·1혁명정신'과'독립정신'장우순
1.서론190
2.'독립정신'192
1)3·1혁명이전192
2)3·1혁명이후의'독립정신'198
3.'독립정신'의기원206
1)'독립정신'과한국의전통사상206
2)독립정신과서구의평등사상213
4.3·1혁명과독립정신218
5.결론222

6.3·1운동의세계사적의의김지영
1.서론228
2.『3·1운동과한국의상황』나타난외국인의보고및
해외언론의보도내용233
3.결론253

7.천도교의3·1독립운동활동과탑골공원성강현
1.들어가며258
2.동학·천도교의민족운동261
3.탑골공원과3·1독립운동267
4.탑골공원의의암손병희동상건립284
5.나가며302.머리말34

8.대종교와3·1운동의연관성에대한검토김동환
1.머리말308
2.일제강점기대종교적공간으로서의종로313
3.대종교와3·1운동320
1)시대적배경320
2)「대동단결선언」328
3)「대한독립선언」332
4)대종교와3·1운동342
4.맺음말350

9.탑골공원의역사와의미복기대
1.들어가는말358
2.탑골공원의역사361
1)고려의흥복사지361
2)흥복사에서원각사로362
3)원각사의새로운시대364
4)백탑파의출연367
5)선교사들의등장369
6)고종을위한서양식건축371
7)3·1항쟁선언372
8)한국사세우기374
3.맺음말375

출판사 서평

책속에서

원각사터는남산과동일자오선상에위치하며경복궁과창덕궁그리고종묘에서멀지않고쉽게접근할수있으며백성들이쉽게찾을수있는곳이기때문이다.이러한원각사터에서보았을때,남산가장높은곳에해가있는시점이바로한양의정오가된다.조선시대목멱산으로도불린남산은실제로천체관측을위해천문관이직접관측을다니던곳으로천문과깊은관련이있는장소이며,하늘에제를지내거나기우제를지내는등조선에서중요하게여기던곳이다.(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