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언어는 만방이며 세계는 곧 책이다.
세계가 책이 아니라면 우리 역시 존재가 아닐 것이다. [...]
독자를 저격하는 것은 구원하는 일과는 아무 상관 없다.
살리는 것은 영원의 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책은 독자를 죽이기 위해서만 존재해야 한다.
세계가 책이 아니라면 우리 역시 존재가 아닐 것이다. [...]
독자를 저격하는 것은 구원하는 일과는 아무 상관 없다.
살리는 것은 영원의 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책은 독자를 죽이기 위해서만 존재해야 한다.
비평가이자 번역가, 서양인문학자로 이름을 알린 조효원(연세대 독문과 교수)의 비평 에세이 『독자 저격』이 출간되었다. 벤야민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 주력하면서, 야콥 타우베스, 조르주 아감벤, 칼 슈미트, 베르너 하마허, 대니얼 헬러-로즌 등의 저작을 번역해 국내에 소개하는 등 활발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해온 조효원의 『독자 저격』은 전작이었던 『다음 책-읽을 수 없는 시간들 사이에서』를 낸 지 꼭 10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2010년대 이후 계간지 『문학과사회』 『인문예술잡지F』 등의 지면에 발표했던 길고 짧은 글 16편을 모았다. 저자는 언어와 문학, 독자와 저자, 책과 세계, 종교와 정치, 역사와 미래 등에 관해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며 지적이고도 흡인력 있는 글을 완성했다. 수수께끼를 내포한 듯한 저자 특유의 정연한 문장들이 겹겹이 포개어지며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는 한편, 글의 구성 및 형식상의 실험에서 위트와 유머 감각이 드러난다.
표제작 「독자 저격」은 0과 1, 즉 없음과 있음의 숫자를 번갈아 부여하면서 찰나의 책과 영원의 책을 대비시키고 제멋대로 읽을 자유, 막강한 독해의 자유라는 힘을 지닌 독자를 어떻게 저격할 수 있을까’를 물으며 독서 행위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시도한다. “책은 독자를 쏠 수 있지만, 독자는 책을 쏠 수 없다. […] 책은 오직 준비된 독자만을 쏠 수 있다. […] 어떤 계기로든 한 번이라도 책에 의해 처참히 거꾸러져 본 독자는 생의 길목에서 맞닥뜨리는 모든 책의 문맥과 행간을 독자적으로 주파할 힘을 얻는다”(55쪽). 이 글이 ‘독자’들을 끌고 가는 곳은 현실의 독서 연마술 따위가 아니라 영원의 책이 존재하는 이념의 차원이다. “찰나의 책은 아무런 문제도, 아무런 마찰도 일으키지 않는다. 찰나의 책의 세계는 실로 평화롭다”(70쪽). 반면 영원의 책은 고통의 불길을 내리꽂는다. 오직 죽이는 일에만 관심을 두는 영원의 책은 모든 생의 근본적 리듬인 연속성을 무너뜨리고, 타격을 입은 독자는 주어진 삶의 감각에 충실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면, 쏘는 시늉만 할 수 있을 뿐 독자를 타격하지 않는 찰나의 책만을 읽을 것인가. “찰나의 책을 채우고 있는 수많은 활자가 바로 영원의 책을 망각으로 뒤덮는 미세먼지인 셈이다. 우리 시대가 먼지와 활자를 구별할 수 없게 된 시대라는 사실을 살벌한 현실로서 지각한 독자가 만에 하나라도 있다면, 필시 그는 숨통을 조여오는 고독에 휩싸여 있을 것이다”(61~62쪽). 찰나의 책, 휘발성 콘텐츠들이 시선을 강탈하는 시대에 독자를 죽이기 위해서 존재하는 책이란 어떤 것일까? 작금의 시대에 대한 자조 섞인, 어딘가 비관적인 전망 속으로 가라앉은 저자의 글 끝에는 ‘그럼에도’가 매달려 있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을진대 그 희망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표제작 「독자 저격」은 0과 1, 즉 없음과 있음의 숫자를 번갈아 부여하면서 찰나의 책과 영원의 책을 대비시키고 제멋대로 읽을 자유, 막강한 독해의 자유라는 힘을 지닌 독자를 어떻게 저격할 수 있을까’를 물으며 독서 행위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시도한다. “책은 독자를 쏠 수 있지만, 독자는 책을 쏠 수 없다. […] 책은 오직 준비된 독자만을 쏠 수 있다. […] 어떤 계기로든 한 번이라도 책에 의해 처참히 거꾸러져 본 독자는 생의 길목에서 맞닥뜨리는 모든 책의 문맥과 행간을 독자적으로 주파할 힘을 얻는다”(55쪽). 이 글이 ‘독자’들을 끌고 가는 곳은 현실의 독서 연마술 따위가 아니라 영원의 책이 존재하는 이념의 차원이다. “찰나의 책은 아무런 문제도, 아무런 마찰도 일으키지 않는다. 찰나의 책의 세계는 실로 평화롭다”(70쪽). 반면 영원의 책은 고통의 불길을 내리꽂는다. 오직 죽이는 일에만 관심을 두는 영원의 책은 모든 생의 근본적 리듬인 연속성을 무너뜨리고, 타격을 입은 독자는 주어진 삶의 감각에 충실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면, 쏘는 시늉만 할 수 있을 뿐 독자를 타격하지 않는 찰나의 책만을 읽을 것인가. “찰나의 책을 채우고 있는 수많은 활자가 바로 영원의 책을 망각으로 뒤덮는 미세먼지인 셈이다. 우리 시대가 먼지와 활자를 구별할 수 없게 된 시대라는 사실을 살벌한 현실로서 지각한 독자가 만에 하나라도 있다면, 필시 그는 숨통을 조여오는 고독에 휩싸여 있을 것이다”(61~62쪽). 찰나의 책, 휘발성 콘텐츠들이 시선을 강탈하는 시대에 독자를 죽이기 위해서 존재하는 책이란 어떤 것일까? 작금의 시대에 대한 자조 섞인, 어딘가 비관적인 전망 속으로 가라앉은 저자의 글 끝에는 ‘그럼에도’가 매달려 있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을진대 그 희망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독자 저격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