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민족의 장군 홍범도 테마 시집 『내가 홍범도다』가 홍범도 장군 순국 80주기인 10월 25일에 맞추어 출간되었다. 또한 10월 26일은 청산리대첩이 대승전으로 통쾌하게 끝난 지 103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 이 시집에는 홍범도 장군의 모든 생애와 생로병사는 물론 장군의 육성이 들리는 듯한 시가 담겨 있다. 2023년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으로 불거진 민족독립운동사 훼손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문제작이다.
이동순 시인은 스스로를 ‘의병시인’(義兵詩人)이라고 일컬으며 투쟁한다. 붓 한 자루의 무기로 모든 불의와 싸우는 시인이다. 시인은 1980년대부터 홍범도 장군을 연구해 2003년 민족서사시 『홍범도』(전 5부작 10권)를 완간했고, 2023년 3·1절을 맞아 평전 『민족의 장군 홍범도』를 발간했다. 시인이 홍범도 장군에 천착하게 된 계기는 조부이신 독립투사 이명균 의사 덕분이다. 이명균 의사는 ‘의용단’ 사건으로 대구형무소에서 순국하셨다. 조부가 시인에게 남긴 화두는 민족 독립운동사 깊이 읽기였고, 시인은 이에 몰입하다 홍범도 장군을 알게 되어 그 생애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꿈을 갖게 되었다.
홍범도 장군은 국권 패망 전부터 함경도에서 의병활동을 했다. 독립운동사에서 최대 전과를 얻은 청산리대첩의 중심인물 중 하나가 바로 홍범도 장군이었다. 그는 만주를 거쳐 연해주로, 또 중앙아시아 크즐오르다로 강제이주되어 유랑해 다녔다. 애달픈 디아스포라의 삶 속에서도 목표는 오로지 구국 일념뿐이었다.
타국에 묻혔던 홍범도 장군이 2021년 국민의 환호 속에 7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2년도 되지 않아 갖은 모욕과 조롱, 시련과 능멸을 겪으면서 역사부정의 흐름 속에 놓였다. 만약 홍범도 장군의 흉상이 철거된다면 홍범도 장군은 두 번째 강제이주를 당하는 셈이다. 시인 이동순은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철거하는 건 우리 독립운동사를 부정하려는 불순한 짓”이라고 단정짓는다.
문예평론가 김미옥은 “살아서 모든 것을 잃은 홍범도의 영혼이 무덤에서 일어났다”며 이 시집은 “육탈(肉脫)을 알리며 시인의 입을 통해 공수(貢壽)하는 영혼의 언어”라고 평했다. 이 시집은 홍범도 장군에 대한 하나의 속죄이며, 홍범도 장군의 정신을 다시 듣는 경청의 장(場)이다.
■ 홍범도 장군의 간절한 염원을 듣다
오, 그들은 누구인가
눈보라 속으로 더딘 소달구지 끌며
시름없이 시름없이
두만강 넘어온 사람들
나루터에서 왜놈 순사에게 뺨 맞고
손등으로 눈물 씻고 간 사람들
바로 그들이 아닌가
-「유랑민」 부분
이동순 시인이 홍범도 장군에게 빙의되어 말하는 것은 ‘동포’ ‘가족’ ‘유랑민’ ‘후손’ ‘조국’ 등이다. 홍범도 장군은 무장투쟁 지도자였음에도 병사들과 함께 낡고 추레한 모습으로 지내며 그들의 처지와 속마음을 헤아려 부하들의 가슴속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을 받았다. 이 시집에는 서민 출신 의병장으로서 동포들을 향한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시가 많이 담겨 있다. “1933년생 고려인 할아버지/김아파나시”는 “봄날 운동회”에서 홍범도 장군을 만난다. “달리기에 우승한 소년에게 다가오시어 / 장군은 품에 꼭 안아주며 / 직접 연필 공책을 상으로 주셨단다”(「김아파나시」).
중앙아시아 홍범도 축제에서 고려인들이 “민요도 부르고 토막 연기”도 하며 축제를 즐긴다. “북춤 사물놀이에 / 긴 상모 돌리는 청년”, “금발에 눈이 푸른 카자흐족”, “케이팝 흉내 내는 / 고려인 아이돌” 등의 공연을 “현수막 속 계신 장군께서 / 흐뭇하게” 웃으며 지켜보는 장면도 그려진다(「홍범도 축제」). 이동순의 시집 『내가 홍범도다』에서는 동포와 후손을 향한 홍범도 장군의 깊은 애정과 간절한 염원을 느낄 수 있다.
쓰러지면 그대로 잠시 쉬었다가
다시 힘 모아 일어나게
가장 두려운 적은 자기 속에 있으니
늘 마음 다스리고 단련해서
부디 빛나는 겨레의 땅 만들어가야 하네
이게 내 간절한 염원일세
-「신 유고문」 부분
■ 절망과 분노 속에서 피어난 희망
포수의 총기 부당하게 몰수한 죄
단발령 가혹하게 강요한 죄
왜놈 앞잡이로 백성 재산 약탈하고
그들 터무니없이 억압한 죄
이런 악행 저지른
매국노에게 사형을 선고하노라
홍 대장 굵은 눈에서
불덩이 펄펄 떨어졌다
잠시 후 한 발의 총성 울렸다
-「의병장 홍범도」 부분
이 시집이 담고 있는 또 하나의 정조는 ‘분노’다. 이는 앞서 언급한 ‘동포’ ‘겨레’ ‘조국’의 평화와 통일을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분노다. 의병활동 당시 일본군이나 매국노에게 분노하는 시들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분노는 진정한 독립의 길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것에 대한 분노다. 김미옥 문예평론가는 “『내가 홍범도다』의 묘미는 절망과 분노 속에서 희망이 분출되며 민중의 화답을 절묘하게 끌어내는 데 있다”며 “아무리 지우려 해도 결코 지울 수 없는 것이 가슴속에 각인된 역사”라고 말한다.
시인 이동순은 홍범도 장군이 그토록 바라던 ‘대한독립’이 과연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반성하는 것이 과제라고 말하는 듯하다. 마침내 홍범도 장군은 절규한다.
내 어쩐지
오고 싶지 않더라니
갈라진 땅 마음 서로 쪼개진 곳에
-「홍범도 편지」 부분
내가 오지 말았어야 할 곳을 왔네
나, 지금 당장 보내주게
원래 묻혔던 곳으로 돌려보내 주게
나, 어서 되돌아가고 싶네
-「홍범도 장군의 절규」 부분
이 시집은 특히 “나라 구한 독립투사”의 “공적 뒤집으며 빨갱이라 유린”하는 형국을 정면으로 다룬다. “나는 철거되려고 오지 않았다”며 “이런 것들 잘살라고 / 내가 온 생애 바쳤던가”(「홍범도 장군의 탄식」) 한탄할 때는 저절로 숙연해진다.
그럼에도 “모두가 살고 싶은 나라”, 진정한 “독립국”(「홍범도 편지」)을 포기하지 않는 듯한 홍범도 장군의 목소리는 울림이 깊다. “네놈들 없애려는 건 / 고작 구리 덩이 한 줌이지만 / 되살아나는 건 눈부신 나라꽃이야 / 겨레 가슴에 피어날 거야”(「피어나는 꽃」)라고 조국의 새로운 부활을 꿈꾼다. “아무쪼록 이 은혜와 이익 / 제대로 써서 / 너희의 몸과 마음 / 넉넉해지거라 / 넉넉해지거라”(「백두산의 말씀」)라며 축복의 말씀을 전한다. 모든 불의와 기꺼이 싸우라는 당부의 말씀과 함께.
이동순 시인은 스스로를 ‘의병시인’(義兵詩人)이라고 일컬으며 투쟁한다. 붓 한 자루의 무기로 모든 불의와 싸우는 시인이다. 시인은 1980년대부터 홍범도 장군을 연구해 2003년 민족서사시 『홍범도』(전 5부작 10권)를 완간했고, 2023년 3·1절을 맞아 평전 『민족의 장군 홍범도』를 발간했다. 시인이 홍범도 장군에 천착하게 된 계기는 조부이신 독립투사 이명균 의사 덕분이다. 이명균 의사는 ‘의용단’ 사건으로 대구형무소에서 순국하셨다. 조부가 시인에게 남긴 화두는 민족 독립운동사 깊이 읽기였고, 시인은 이에 몰입하다 홍범도 장군을 알게 되어 그 생애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꿈을 갖게 되었다.
홍범도 장군은 국권 패망 전부터 함경도에서 의병활동을 했다. 독립운동사에서 최대 전과를 얻은 청산리대첩의 중심인물 중 하나가 바로 홍범도 장군이었다. 그는 만주를 거쳐 연해주로, 또 중앙아시아 크즐오르다로 강제이주되어 유랑해 다녔다. 애달픈 디아스포라의 삶 속에서도 목표는 오로지 구국 일념뿐이었다.
타국에 묻혔던 홍범도 장군이 2021년 국민의 환호 속에 7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2년도 되지 않아 갖은 모욕과 조롱, 시련과 능멸을 겪으면서 역사부정의 흐름 속에 놓였다. 만약 홍범도 장군의 흉상이 철거된다면 홍범도 장군은 두 번째 강제이주를 당하는 셈이다. 시인 이동순은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철거하는 건 우리 독립운동사를 부정하려는 불순한 짓”이라고 단정짓는다.
문예평론가 김미옥은 “살아서 모든 것을 잃은 홍범도의 영혼이 무덤에서 일어났다”며 이 시집은 “육탈(肉脫)을 알리며 시인의 입을 통해 공수(貢壽)하는 영혼의 언어”라고 평했다. 이 시집은 홍범도 장군에 대한 하나의 속죄이며, 홍범도 장군의 정신을 다시 듣는 경청의 장(場)이다.
■ 홍범도 장군의 간절한 염원을 듣다
오, 그들은 누구인가
눈보라 속으로 더딘 소달구지 끌며
시름없이 시름없이
두만강 넘어온 사람들
나루터에서 왜놈 순사에게 뺨 맞고
손등으로 눈물 씻고 간 사람들
바로 그들이 아닌가
-「유랑민」 부분
이동순 시인이 홍범도 장군에게 빙의되어 말하는 것은 ‘동포’ ‘가족’ ‘유랑민’ ‘후손’ ‘조국’ 등이다. 홍범도 장군은 무장투쟁 지도자였음에도 병사들과 함께 낡고 추레한 모습으로 지내며 그들의 처지와 속마음을 헤아려 부하들의 가슴속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을 받았다. 이 시집에는 서민 출신 의병장으로서 동포들을 향한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시가 많이 담겨 있다. “1933년생 고려인 할아버지/김아파나시”는 “봄날 운동회”에서 홍범도 장군을 만난다. “달리기에 우승한 소년에게 다가오시어 / 장군은 품에 꼭 안아주며 / 직접 연필 공책을 상으로 주셨단다”(「김아파나시」).
중앙아시아 홍범도 축제에서 고려인들이 “민요도 부르고 토막 연기”도 하며 축제를 즐긴다. “북춤 사물놀이에 / 긴 상모 돌리는 청년”, “금발에 눈이 푸른 카자흐족”, “케이팝 흉내 내는 / 고려인 아이돌” 등의 공연을 “현수막 속 계신 장군께서 / 흐뭇하게” 웃으며 지켜보는 장면도 그려진다(「홍범도 축제」). 이동순의 시집 『내가 홍범도다』에서는 동포와 후손을 향한 홍범도 장군의 깊은 애정과 간절한 염원을 느낄 수 있다.
쓰러지면 그대로 잠시 쉬었다가
다시 힘 모아 일어나게
가장 두려운 적은 자기 속에 있으니
늘 마음 다스리고 단련해서
부디 빛나는 겨레의 땅 만들어가야 하네
이게 내 간절한 염원일세
-「신 유고문」 부분
■ 절망과 분노 속에서 피어난 희망
포수의 총기 부당하게 몰수한 죄
단발령 가혹하게 강요한 죄
왜놈 앞잡이로 백성 재산 약탈하고
그들 터무니없이 억압한 죄
이런 악행 저지른
매국노에게 사형을 선고하노라
홍 대장 굵은 눈에서
불덩이 펄펄 떨어졌다
잠시 후 한 발의 총성 울렸다
-「의병장 홍범도」 부분
이 시집이 담고 있는 또 하나의 정조는 ‘분노’다. 이는 앞서 언급한 ‘동포’ ‘겨레’ ‘조국’의 평화와 통일을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분노다. 의병활동 당시 일본군이나 매국노에게 분노하는 시들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분노는 진정한 독립의 길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것에 대한 분노다. 김미옥 문예평론가는 “『내가 홍범도다』의 묘미는 절망과 분노 속에서 희망이 분출되며 민중의 화답을 절묘하게 끌어내는 데 있다”며 “아무리 지우려 해도 결코 지울 수 없는 것이 가슴속에 각인된 역사”라고 말한다.
시인 이동순은 홍범도 장군이 그토록 바라던 ‘대한독립’이 과연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반성하는 것이 과제라고 말하는 듯하다. 마침내 홍범도 장군은 절규한다.
내 어쩐지
오고 싶지 않더라니
갈라진 땅 마음 서로 쪼개진 곳에
-「홍범도 편지」 부분
내가 오지 말았어야 할 곳을 왔네
나, 지금 당장 보내주게
원래 묻혔던 곳으로 돌려보내 주게
나, 어서 되돌아가고 싶네
-「홍범도 장군의 절규」 부분
이 시집은 특히 “나라 구한 독립투사”의 “공적 뒤집으며 빨갱이라 유린”하는 형국을 정면으로 다룬다. “나는 철거되려고 오지 않았다”며 “이런 것들 잘살라고 / 내가 온 생애 바쳤던가”(「홍범도 장군의 탄식」) 한탄할 때는 저절로 숙연해진다.
그럼에도 “모두가 살고 싶은 나라”, 진정한 “독립국”(「홍범도 편지」)을 포기하지 않는 듯한 홍범도 장군의 목소리는 울림이 깊다. “네놈들 없애려는 건 / 고작 구리 덩이 한 줌이지만 / 되살아나는 건 눈부신 나라꽃이야 / 겨레 가슴에 피어날 거야”(「피어나는 꽃」)라고 조국의 새로운 부활을 꿈꾼다. “아무쪼록 이 은혜와 이익 / 제대로 써서 / 너희의 몸과 마음 / 넉넉해지거라 / 넉넉해지거라”(「백두산의 말씀」)라며 축복의 말씀을 전한다. 모든 불의와 기꺼이 싸우라는 당부의 말씀과 함께.
내가 홍범도다 (양장)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