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 - 창비시선 506

미나리아재비 - 창비시선 506

$10.00
Description
“달려가보니 집 앞 개울가
미나리아재비 잎에 앉은 별이 반짝거렸다”

무한히 연결되고 조응하는 생명의 흐름 속에서
아픔과 슬픔을 그러안는 애틋하고 진실한 목소리
고향을 배경으로 한 농촌 서사를 구체적인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진정성과 애잔한 서정으로 펼쳐온 박경희 시인의 시집 『미나리아재비』가 창비시선으로 출간되었다. “능청과 해학”으로 “슬픔을 걷어내는 방식이 가히 독보적”이라는 평을 받았던 『그늘을 걷어내던 사람』(창비 2019)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세번째 시집에서 시인은 찰지고 구성진 충청도 사투리와 걸쭉한 입담으로 고향 마을의 “자연과 사람살이의 애틋한 정경들”(문동만, 발문)을 그려내면서 토속적인 서정과 서사가 어우러진 ‘이야기 시’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질박한 삶의 애환이 담긴 다정다감한 시편들이 잔잔한 울림으로 여울지면서 깊은 여운을 남긴다. 눈으로 읽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읽는 따뜻한 시집이다.
저자

박경희

저자:박경희
시인은2001년『시안』신인상에당선되어작품활동을시작했다.시집『벚꽃문신』『그늘을걷어내던사람』,동시집『도둑괭이앞발권법』,산문집『꽃피는것들은죄다년이여』『쌀씻어서밥짓거라했더니』『차라리돈을달랑께』『충청도마음사전』이있다.

목차


제1부
깨진바다
물잠뱅이
겨울저녁
봄을드시다
산이사라졌다
아카시아꽃피는밤
꿈자리
그렇게라도짖어보는것이다
ㅤㅇㅡㅄ는소리
첫발
오소
파마
리어카에실려가는노을
폐사지를걷다가

제2부
전화
버스타러간다
배롱꽃만붉었다
호들갑
동네막내
장대추위
워쩌겄어
시린겨울밤에들다
너테
가르랑소리에묻히다
상강에이르다
진만이네개
바다,잠시숨을멈추다
성질난다짐

제3부
더없이깊고짙은여름
음력유월초하루
매미
나의바다
저물녘
아침이일어난다
그런날이있었다
구석에서
먼거리
읍내가는길은멀다
딱새
소문
산목련같은봄에오르다

제4부
그늘깊은집
백중(百中)
밤을줍다가
목련꽃발자국
달은밝은데
야간작업
미싱사
집이돌아가셨다
이야기한소쿠리
개대가리소금허치듯
헌소리또허고
외로운허수아비
염생이
손자국

발문|문동만
시인의말

출판사 서평

“돌담사이에핀민들레바라보다가
엄니의뒷짐에얹힌서글픔에

앵두꽃이피었는지
살구꽃이피었는지“

박경희의시는쉽게읽힌다.따로해석할필요없이,세밀하고감성적인필치로그려내는삶의풍경을바라보고,익살과해학을곁들여살갑고능청스럽게펼쳐놓는사람의이야기를가만히듣기만하면된다.“살아생전목돈한번쥔적없는손에는늘쭉정이만가득했던”(「상강에이르다」)‘아부지’,그렇게돌아가신‘아부지’가꿈에나타나자“살았을적에그리모질게마음고생시키더니/무슨할말이있어서이승문턱을넘느냐고사발째욕을퍼붓는”(「꿈자리」)‘엄니’의이야기를듣다보면그들과마치한집에서오래살아온듯친근한느낌을받게된다.
시인은그런‘아부지’와‘엄니’로부터이어받은대지적감수성과공생·공유의세계관을바탕에두고마을사람들의삶에귀를기울인다.시인은‘나’가아닌대상의목소리를그대로옮기거나,인간의고독과슬픔에조응하는자연의모습을그리는방식으로그이야기를들려준다.“참말로지랄맞은시상”(「워쩌겄어」)을살다쓸쓸히사라져간이웃들의곡진한사연이“마을회관에서이야기를한소쿠리내놓”(「이야기한소쿠리」)는이웃의목소리로들려오는한편“그늘깊은집”(「그늘깊은집」)을그림자로끌어안으며슬픔에조응하는감나무의모습으로드러나기도하는것이다.

“정성을들였던것들은
아픔도죽음도함께한다”

시인은‘나’를넘어서는곳에자리잡은시적인순간들을포착하여겸손하게노래한다.삶도처에서인간과자연이공명하고,사람과사람이관계맺으며감정의너울을일으키는순간들이다.시인은‘온양댁할머니’가“저승가시자어찌알았는지/탱자나무가한달만에죽”어버리는것을보고“정성을들였던것들은/아픔도죽음도함께한다”(「집이돌아가셨다」)는자연의섭리를깨닫기도하고,골프장이들어서면서“고사리끊으러다녔던/산이사라”진자리를“당신도곧사라질것처럼여러날째/빈하늘만보고있”는‘석남이네할머니’(「산이사라졌다」)의모습을보며쓸쓸해하기도한다.“스무살아들이교통사고로죽었다는소식에밤길밟아달려”온‘누이’(「구석에서」)와“허방가득한세상”(「가르랑소리에묻히다」)에서“살고싶어용을쓰긴쓰는디”“허는일마다엎어지”곤하던‘사거리집아들’(「외로운허수아비」)의이야기는서글프고애잔하기만하다.

“나는절실하지않았기에
아직도여기에있다”

문동만시인은발문에서“박경희시인은‘짠한사연’을널리퍼뜨려같이울게하려는사람이고,사라져가는사람들의내력과아무도기록해주지않는장삼이사들의축약된행장기를흐르는물살에손가락으로그어서라도적어두려는사람”이라고적었다.“오래전비구니가되겠다며법당에앉아합장”하다가결국은“머리긴비구니가되어/그늘많은도시로돌아”(「폐사지를걷다가」)온내밀한사연을은근살짝고백하기도하지만,짐승과인간과식물의곁에서전할이야기가많은지금의자리에서시인은굳건해보인다.“절실하지않았기에”떠나지못하고“아직도여기에있다”(「나의바다」)고말하지만실은절실한마음이있기에그는고향에남아여전히“대지의공동체와함께사는농민의삶에천착”(김해자,『그늘을걷어내던사람』발문)하는것이다.
시인은공동체의사람들과,그들과연결되어조응하는생명의흐름을포착함으로써현실의모습과의미를한층선명하고두텁게만든다.근래보기드문서정적인이야기꾼으로서그는그만이쓸수있는“순량하고도고유한마음의‘볍씨’들”(발문)을잘갈무리하여자연과인간에대한공경의마음으로‘공생공락(共生共樂)’의아름다운세상을그려나갈것이다.

시인의말

써레질끝난논을보면환하고,모심은논을보면푸르고,무릎까지오른벼를보면시원하고,누런들판을보면배부르고,눈쌓인논을보면눈부시다.그눈부심속에함께있는분들과눈부심으로스러진모든분에게두손모은다.
2024년명천에서
박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