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아름답게 채워질 가능성으로 가득 비어 있는,
하나도 없고 너무 많은 우리들을 위하여
하나도 없고 너무 많은 우리들을 위하여
2019년 《시인수첩》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시인 허주영의 첫 시집 『다들 모였다고 하지만 내가 없잖아』가 민음의 시 314번으로 출간되었다. 허주영 시의 화자들은 원하는 대로 몸을 바꾸거나 원하는 대상과 자유자재로 소통할 수 있는, 변신이 가능하고 언어를 초월한 존재인 것처럼 보인다. ‘나’는 열다섯 소녀일 때도 있고, 소녀였던 적이 없는 누군가일 때도 있다. 동시에 소년이었던 적이 있다고 말하고, 곧바로 그 일이 가짜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렇듯 허주영의 ‘나’는 자기 자신으로 우글거리지만 동시에 텅 비어 있는 존재다. 비어 있어 변할 수 있고 비어 있어 채워질 수 있는. 허주영의 화자들은 여러 개의 ‘나’를 내세우며 친구들이 모이는 공터로 나간다.
허주영의 투명하고도 알록달록한 화자들은, 어느 공터에서 모두가 모이길 기다린다. “새로운 친구를 맞이할 채비”를 하는 것이다. 마침내 “다들 모였”을 때, ‘나’와 친구들이 하는 놀이는 ‘나’의 존재만큼 다양하다. 서로 주고받아야 하는 공놀이일 때도 있고, 서로를 찾아야 하는 숨바꼭질일 때도 있다. 다만 어떠한 게임을 하더라도 그들은, 우리는, 결국 서로의 존재를 끊임없이 인식하는 시간 속에 있다. 공을 던지는 손을, 꼭꼭 숨어 버린 머리칼을 바라보고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시집 『다들 모였다고 하지만 내가 없잖아』를 읽는 동안 우리는, 공터 같기도 하고 내면 같기도 한 시 속에서 ‘진짜 나’의 조각에 눈을 뗄 수 없는 공놀이를, 혹은 ‘진짜 나’를 숨기고 싶은 숨바꼭질을 이어 간다.
이 헛헛하고 시끌벅적한 공터에 늦은 오후의 햇살이 비출 때, 그들은 잠시 멈춰 텅 빈 채로 생각하게 될 것이다. ‘내’가 없어도, 혹은 ‘내’가 여럿이어도 가능했던 ‘우리’의 시간, 놀이의 시간을 말이다. 다가가고 알아보고 만져지고 침입당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잠깐 친구가 되었던 시간. 다른 날 공터 아닌 다른 곳에서 마주치면 또 다른 ‘나’로 변할 것이기에 공터에서의 ‘나’를 알은척하는 누군가를 경계하거나 의심할지도 모르지만, 결국 또 한 번 용기를 내어 서로에게 진입할 것이다. 허주영의 시집을 읽으며 그 시간을 함께 통과한 독자 역시, 저마다 가장 나다운 여백을 둔 채로 “아름답게 비어 있”어, 그 텅 빈 공간을 활짝 열고 언제든 “서로를 알아” 갈 마음을 품게 될 것이다.
■ 간격을 가늠하며
나는 구멍을 바라보다 하마터면 그 안으로 들어갈 뻔했는데,
요즘은 자주 네가 떠오른다 난 널 다시 만난 적도 없는데
아니 네가 죽지 않았다면, 만나지 않을 수 있었을 텐데
-「오늘따라」에서
허주영의 시에서 도드라지는 감각 중 하나는 보이지 않는 존재의 실루엣을 더듬는 손의 촉각이다. 일상의 시선에는 보이지 않을 “정오”에도 “커다랗게” 구멍이 뚫린 것을 발견하고, “언젠가”의 “계절”에 수많은 ‘나’들 사이의 간격, 모르는 ‘나’와 알 것 같은 ‘너’의 간격, 알았던 ‘너’와 알지 못하게 되어 버린 ‘너’ 사이의 간격이 “만져질” 것이라 예측한다. 보이지 않는 간격을 더듬어 ‘나’ 혹은 ‘너’와 만나려는 허주영의 “측량”에는 세상의 온갖 것이 도구가 되고 단위가 된다. “여름의 드릴 소리”, 해가 지면 생기는 그림자, “발자국”, “맥박의 울림”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시인의 감각은 민첩하고 성실하게 작동한다. 나와 너의 세계에서, 혹은 여러 개로 겹쳐진 나의 세계에서 존재들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간격을 탐색한다. 시인의 “손바닥”으로 느껴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그 간격은 엄연히 존재해서 세계를 채운다. 허주영의 시가 하는 일은 그런 것이다. 여백으로 존재를 발견하는 일. 시인은 텅 빈 것처럼 보이는 세계의 부분을 본다. 그것이 내가 있는 자리와 네가 있던 자리를 보존하며 채워져 있는 것이라 믿는다.
■ 주인이자 손님으로
주인은 나, 손님은 나. 외각에서 안으로 다시 젓가락에서 포크로 차례를 지키며 질문과 대답을 오갔다.
-「손님과 주인」에서
허주영은 자리 바꾸기에도 능하다. 그의 시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가만히 있는 듯 보여도 가장 자주 바뀌는 것은 주인과 손님의 자리다. 시 속 ‘나’들은 집주인의 집을 임대한, 누군가의 죽음이 있는 곳에 꽃을 두는, 낯선 마을의 골목에서 편의점을 발견하는,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시대의 사진을 인화하는 손님이 된다. 어떤 자리는 결코 주인의 역할을 맡을 수 없음을 깨닫게 해 분노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자리에서는 주인과 손님의 역할이 흐릿하여 언제든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갈 수 있음을 확인한다. 그 기준이자 경계는 역시 ‘나’다. 집이나 도시 같은 ‘나’ 바깥의 자리에서 인물들은 “짧은 여백”의 “세입자”(「저에게 더 잘해 주세요」)로, “여기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미래의 집」) 가늠한다. 그러나 ‘나’의 안쪽, ‘나’의 역사에서 이 자리 바꾸기는 더 자유롭고 빈번하다. ‘나’는 ‘나’의 탄생과 죽음을 체험하는 동시에 구경하고, 소문의 주인이 되는 동시에 소문의 청자가 된다. 주로 공간의 손님이지만 시간의 주인으로, ‘나’는 ‘나’를 기록하며 살아간다.
허주영의 투명하고도 알록달록한 화자들은, 어느 공터에서 모두가 모이길 기다린다. “새로운 친구를 맞이할 채비”를 하는 것이다. 마침내 “다들 모였”을 때, ‘나’와 친구들이 하는 놀이는 ‘나’의 존재만큼 다양하다. 서로 주고받아야 하는 공놀이일 때도 있고, 서로를 찾아야 하는 숨바꼭질일 때도 있다. 다만 어떠한 게임을 하더라도 그들은, 우리는, 결국 서로의 존재를 끊임없이 인식하는 시간 속에 있다. 공을 던지는 손을, 꼭꼭 숨어 버린 머리칼을 바라보고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시집 『다들 모였다고 하지만 내가 없잖아』를 읽는 동안 우리는, 공터 같기도 하고 내면 같기도 한 시 속에서 ‘진짜 나’의 조각에 눈을 뗄 수 없는 공놀이를, 혹은 ‘진짜 나’를 숨기고 싶은 숨바꼭질을 이어 간다.
이 헛헛하고 시끌벅적한 공터에 늦은 오후의 햇살이 비출 때, 그들은 잠시 멈춰 텅 빈 채로 생각하게 될 것이다. ‘내’가 없어도, 혹은 ‘내’가 여럿이어도 가능했던 ‘우리’의 시간, 놀이의 시간을 말이다. 다가가고 알아보고 만져지고 침입당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잠깐 친구가 되었던 시간. 다른 날 공터 아닌 다른 곳에서 마주치면 또 다른 ‘나’로 변할 것이기에 공터에서의 ‘나’를 알은척하는 누군가를 경계하거나 의심할지도 모르지만, 결국 또 한 번 용기를 내어 서로에게 진입할 것이다. 허주영의 시집을 읽으며 그 시간을 함께 통과한 독자 역시, 저마다 가장 나다운 여백을 둔 채로 “아름답게 비어 있”어, 그 텅 빈 공간을 활짝 열고 언제든 “서로를 알아” 갈 마음을 품게 될 것이다.
■ 간격을 가늠하며
나는 구멍을 바라보다 하마터면 그 안으로 들어갈 뻔했는데,
요즘은 자주 네가 떠오른다 난 널 다시 만난 적도 없는데
아니 네가 죽지 않았다면, 만나지 않을 수 있었을 텐데
-「오늘따라」에서
허주영의 시에서 도드라지는 감각 중 하나는 보이지 않는 존재의 실루엣을 더듬는 손의 촉각이다. 일상의 시선에는 보이지 않을 “정오”에도 “커다랗게” 구멍이 뚫린 것을 발견하고, “언젠가”의 “계절”에 수많은 ‘나’들 사이의 간격, 모르는 ‘나’와 알 것 같은 ‘너’의 간격, 알았던 ‘너’와 알지 못하게 되어 버린 ‘너’ 사이의 간격이 “만져질” 것이라 예측한다. 보이지 않는 간격을 더듬어 ‘나’ 혹은 ‘너’와 만나려는 허주영의 “측량”에는 세상의 온갖 것이 도구가 되고 단위가 된다. “여름의 드릴 소리”, 해가 지면 생기는 그림자, “발자국”, “맥박의 울림”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시인의 감각은 민첩하고 성실하게 작동한다. 나와 너의 세계에서, 혹은 여러 개로 겹쳐진 나의 세계에서 존재들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간격을 탐색한다. 시인의 “손바닥”으로 느껴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그 간격은 엄연히 존재해서 세계를 채운다. 허주영의 시가 하는 일은 그런 것이다. 여백으로 존재를 발견하는 일. 시인은 텅 빈 것처럼 보이는 세계의 부분을 본다. 그것이 내가 있는 자리와 네가 있던 자리를 보존하며 채워져 있는 것이라 믿는다.
■ 주인이자 손님으로
주인은 나, 손님은 나. 외각에서 안으로 다시 젓가락에서 포크로 차례를 지키며 질문과 대답을 오갔다.
-「손님과 주인」에서
허주영은 자리 바꾸기에도 능하다. 그의 시에서 변하지 않은 채로 가만히 있는 듯 보여도 가장 자주 바뀌는 것은 주인과 손님의 자리다. 시 속 ‘나’들은 집주인의 집을 임대한, 누군가의 죽음이 있는 곳에 꽃을 두는, 낯선 마을의 골목에서 편의점을 발견하는, 내가 태어나지 않았던 시대의 사진을 인화하는 손님이 된다. 어떤 자리는 결코 주인의 역할을 맡을 수 없음을 깨닫게 해 분노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자리에서는 주인과 손님의 역할이 흐릿하여 언제든 이쪽에서 저쪽으로 건너갈 수 있음을 확인한다. 그 기준이자 경계는 역시 ‘나’다. 집이나 도시 같은 ‘나’ 바깥의 자리에서 인물들은 “짧은 여백”의 “세입자”(「저에게 더 잘해 주세요」)로, “여기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미래의 집」) 가늠한다. 그러나 ‘나’의 안쪽, ‘나’의 역사에서 이 자리 바꾸기는 더 자유롭고 빈번하다. ‘나’는 ‘나’의 탄생과 죽음을 체험하는 동시에 구경하고, 소문의 주인이 되는 동시에 소문의 청자가 된다. 주로 공간의 손님이지만 시간의 주인으로, ‘나’는 ‘나’를 기록하며 살아간다.
다들 모였다고 하지만 내가 없잖아 - 민음의 시 314 (양장)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