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조선 그리스도교 전사

임진왜란과 조선 그리스도교 전사

$43.00
Description
임진왜란과 천주교의 한반도 전래
우리나라의 천주교는 선교사의 도움 없이 평신도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신앙의 진리를 발견하고, 교회 공동체에 의해 복음이 전파되고, 성직과 성사가 이루어지며 결국 순교에까지 이르는 열절한 신앙을 내보인, 세계 교회사에 그 유래가 없는 독특한 역사를 갖고 있다. 또한 성직자가 없음에도 교구로 설정된 유일한 나라라는 독특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처음 알려진 것은 어느 시대일까?’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었다.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탄생은 이승훈(李承勳)이 북경 북당의 그라몽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돌아와 수표교(水標橋)에서 세례를 베풀어 공동체를 만든 1784년을 그 기원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임진왜란 기원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특히 스페인 예수회에 의해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 또한 그리스도교가 임진왜란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되었다는 판단 아래 수차례 일본을 건너가 관계되는 지역과 관련 서적들을 구입해 탐독했고, 임진왜란과 관련된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을 찾아다니며 그 많은 왜성(倭城:일본군들이 국내에 지은 성)의 발자취를 따라 당시의 상황들을 채록했다.
임진왜란은 그 성격을 규정짓기가 쉽지 않은 전쟁이다. 16세기 말 동아시아 3국이 관여해 아시아를 뒤흔들었던 최대의 전쟁이었으나 한·중·일 3국은 모두 자기 국가 역사관의 범위 안에서 그 연구를 진행해 왔기 때문이다.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의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필연코 많은 사람들의 강제적인 이동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섞임과 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전통과 문화, 일상생활, 정신과 생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을 것이다. 비록 침략자이기는 하나 일본 천주교 왜장과 병사들의 조선 내 유입, 이로 인해 후속적으로 사목을 위한 신부들의 조선 방문과 정착 및 조선 포로들과의 만남 그리고 이들의 천주교 개종, 이에 덧붙여 명나라에서의 예수회 신부 마테오 리치의 활동 등 왜란의 배경에는 종교의 전파라는 커다란 사건이 놓여 있었다.
하지만 임진왜란은 우리의 이해관계와는 무관하게, 일본의 일방적인 침략과 약탈과 살육의 전쟁이었기에 이 논제는 우리의 관점에서는 ‘악함의 극치’에서 종교라는 ‘선함의 정점’의 뿌리를 찾는 역설을 안고 있다. 그리고 신앙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을 관찰해 볼 때 신앙 전래의 주체인 일본을 중심에 두고 기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임진왜란에 대한 우리의 기본적인 생각과는 배치(背馳)되고 오해를 살 우려도 없지 않다. 아무리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조선을 침략하고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살육한 그 잔인한 행위들이 종교라는 선함으로 가려지지는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불행이 이 땅에 천주 신앙이 전래되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전교로까지 발전되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정리함으로써 그동안 불편하게 느껴져 왔던 임진왜란과 이후의 시간 속에서 일본을 통한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전래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국(異國) 일본에서 천주 신앙을 받아들여 처음으로 교회를 세우고, 믿음을 지키기 위해 엄청난 박해를 견디며, 궁극에는 순교로 나아간 우리 조선인 신앙 선조들을 돌이켜 보고자 했다.
저자

박형무

저자:박형무

서울대학교의과대학을졸업하고동대학대학원에서석·박사를취득했다.
국립의료원근무후중앙대학교의과대학산부인과학교실주임교수및동부속병원과장을역임했으며,미국오하이오주립대의과대학산부인과학내분비교실에서연수했다.
학회활동으로는대한골대사학회회장,대한폐경학회회장,대한근감소증학회회장,대한노화방지학회회장과대한산부인과학회내시경학회회장을역임했고,2021년부터는대한산부인과학회회장을맡고있다.현재는중앙대학교의과대학명예교수이자일산그레이스여성전문병원원장으로재직중이다.
세례명은프란치스코,방지거(方薺加)이며천주교관련저서로는??천주성교.자책(自責)스스로꾸짖음이라??가있다.

목차

책을펴내며
추천의글
들어가는말|순천왜성과고니시유키나가

제1부.일본천주교회사속의임진왜란
제1장.천주교의한반도전래설
제2장.최초의조선가톨릭전교계획
제3장.예수회와프란치스코하비에르
제4장.프란치스코하비에르에의한천주교전래
제5장.일본천주교의시작과부흥
제6장.일본천주교의번영
제7장.덴쇼견구소년사절(天正遣?少年使節)의파견과귀국
제8장.일본통일과그리스도교금제:파테렌(伴天連)추방령
제9장.임진왜란직전의일본의정세와천주교의동태
제10장.고니시유키나가(小西行長)아우구스티노
제11장.조선을침략한천주교무장들
제12장.임진왜란이후일본천주교상황과고니시유키나가
제13장.일본최초의기리시탄(切支丹)대순교:26순교성인
제14장.마테오리치의편지:일본과중국의평화협상
제15장.다테마사무네(利達正宗)와게이초견구사절
제16장.아리마하루노부와오카모토다이하치수뢰사건
제17장.게이초금령(慶長禁令)과기리시탄의국외추방
제18장.게이초금령이후박해와순교
제19장.시마바라(島原)-아마쿠사(天草)의난
제20장.파리외방전교회에의한일본의재(再)선교
*부록:일본천주교회사연표

제2부.임진왜란과천주교전래
제21장.임진왜란?정유재란다시보기
제22장.조선에전래된천주교의가르침:천주교리서도입
제23장.조선최초의천주교회탄생
제24장.조선땅을밟은최초의서구인,그레고리오데세스페데스스페인예수회신부
제25장.세스페데스신부의편지:편지전후의조선상황
제26장.세스페데스신부의첫번째편지
제27장.세스페데스신부의두번째편지
제28장.세스페데스신부의세번째편지
제29장.세스페데스신부의네번째편지
제30장.세스페데스신부의다섯번째편지


제31장.조선으로왔던다른예수회신부들
제32장.조선피로인(披擄人)
제33장.조선피로인의귀환
제34장.일본에남겨진조선피로인
제35장.조선피로인의매매와선교사들의구제
제36장.조선피로인의천주교개종
제37장.조선인천주교신자의귀환
제38장.사명당과일본예수회:해남대흥사황금십자가의유래
제39장.조선인신자들의박해와순교

제3부.조선인순교자와증거자
제40장.조선최초의순교자하치칸호아킨,1613년
제41장.아리마궁의조선여인막시마,1613년
제42장.구치노츠의대순교:코라이미겔과베드로진구로,1614년
제43장.벙어리마누엘,1614년
제44장.군나이도마,1614년
제45장.조선승지의아들도주쿠토마스,1618년
제46장.아리조베드로와쇼사쿠토마스,1619년
제47장.복자다케야소자부로코스메,1619년
제48장.복자코라이안토니오일가의순교,1622년
제49장.에도의레오다케야곤시치(竹屋權七)와모친마리아,1623년
제50장.오다(大田)줄리아
제51장.구자에몬(嘉左衛門)시스토와부인카타리나,1624년
제52장.조선인최초의예수회수사가이오,1624년
제53장.조선인첫천주교신자,복자권비센테,1626년
제54장.복자아카시지에몬카요와부인마르타,1627년
제55장.복자가스파르바즈,부인마리아와아들키에몬루카,1627년
제56장.복자사토시네몬토마스,1627년
제57장.운젠(雲仙)의이사벨,1629년
제58장.바다에던져진파울로,1630년
제59장.아우구스티노회수사루이스하치로(八郞),1630년
제60장.요한과아내마리아,1633년
제61장도미니코회수사요한네요베에(與兵衛),1633년
제62장.조선최초의가톨릭수도녀박마리나,1936년
제63장.마지막조선인순교자토마스,1643년
*부록:임진왜란전후조선관련천주교연표

일본전국시대지도
국현대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