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리율 5

팔리율 5

$51.27
SKU: 9788984947092
Description
초기 남방불교의 삼장 중 율장을 집대성한 팔리율 완역의 마지막 권
팔리경전은 부처님의 직계 제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구전한 것을 토대로, 기원전 1세기에 스리랑카에서 경율론 삼장 전체를 팔리어로 엮어 전승한 경전이다. 현재 남방불교의 중심에 서있는 「팔리율」은 북방불교의 5대 광율(廣律)인 「오분율(五分律)」, 「사분율(四分律)」, 「십송율(十誦律)」, 「마하승기율(摩訶僧祇律)」,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 등과 같이 전체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춘 율장이다.
이 「팔리율(Pali Vinaya)」은 19세기 말 영국의 팔리성전협회(The Pali Text Society, 약칭 PTS)에서 전체 5권으로 영역하여 결집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그 구성은 제1권은 마하박가(Mahāvagga)(출가, 구족계, 포살 등 승가의 일상계율)이고, 제2권은 출라박가(Cūlavagga)(승가에서 발생하는 처벌조항과 의무)이며, 제3권과 4권은 비구와 비구니의 수타 비방가(Sutta-Vibhaṅga)(계율 낱낱의 조문)이고, 제5권은 파리바라(Parivāra, 부수)(계율의 보충설명)로 구성하고 있다. 한역 율장과 비교하여 본다면 마하박가와 출라박가는 한역의 건도(犍度)이고, 수타 비방가는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이며, 파리바라는 부수(附隨)로서 강요(綱要)에 해당한다.
한편, 1940년대 일본에서 완역하고, 이후 대만에서 한역(漢譯)된 「남전대장경(南傳大藏經)」은 전체 5권으로 결집하고 있는데, 제1권에서는 경분별(經分別)인 비구의 계율을 1~4권에 수록하고 있고, 제2권에서는 비구의 계율을 5~8권에, 비구니의 계율을 9~15권에 수록하고 있다. 제3권에서는 대품(大品) 건도(犍度)인 마하박가를 1~10권에 수록하고 있고, 제4권에서는 소품(小品) 건도인 출라박가를 11~22권에 수록하고 있으며, 제5권에서는 부수 1~19권을 수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5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 「팔리율 Ⅴ」는 그간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십송율」, 「마하승기율」 등 초기 북방불교의 율장들을 국역하는 작업을 해 온 조계종 교육아사리 보운 스님이 남방불교 율장을 「남전대장경」의 분류체계를 인용하여 대분류로서 제1권부터 제5권으로 나누어 번역한 책 중 2022년 간행된 「팔리율Ⅰ」과 2023년 간행된 「팔리율Ⅱ」, 「팔리율Ⅲ」, 「팔리율Ⅳ」에 이은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결과물이다.
「팔리율」의 결집과 서술의 형식은 한역으로 번역된 율장의 형식과는 다른 형태를 갖추고 있고, 한역 율장은 결집과 역출(譯出)의 과정에서 각 부파에 따른 형식의 분화가 뚜렷하게 일어났던 점과는 다르게 근본불교의 시대에 송출하였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또한 한역 율장에서 특정한 연기(緣起)의 내용은 중국의 문화와 정서에 알맞게 번역하였다고 추정되는 관점과 비교한다면, 오히려 옆에서 지켜보고서 서술하는 것과 같이 현실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결집하고 있는 점이다.
「팔리율」의 내용과 구성에서는 상좌부 율장인 「사분율」, 「십송율」, 「마하승기율」,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서 결집되었던 내용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고 있으나, 한역의 율장에 나타나지 않았던 내용도 다수가 포함되어 있어 세심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집의 문제는 부파불교의 시대에 각 부파의 종지(宗旨)를 따라서 율장을 결집하면서 부분적으로 발생한 변화를 남방불교의 율사들이 특정하게 수용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팔리율 Ⅴ」는 제5권의 계율의 강요(綱要)인 부수(附隨) 1~19권을 국역한 것이다. 부수 1권에서는 대분별(大分別)로서 비구 계율을 전체적으로 간추리고 있고, 2권에서는 비구니 계율을 전체적으로 간추리고 있으며, 3권과 4권에서는 간략하게 문답하고 있고, 5권에서는 건도를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6권에서는 증일법(增一法)을 간추리고 있고, 7권에서는 포살 등을 문답하고 있으며, 8권에서는 가타(伽他)를 간추리고 있고, 9권에서는 분쟁의 해결을 간추리고 있으며, 10권에서는 별도의 가타를 간추리고 있다. 11권에서는 꾸짖음(呵責)을 간추리고 있고, 12권에서는 작은 분쟁을 간추리고 있으며, 13권에서는 큰 분쟁을 간추리고 있고, 14권에서는 가치나의를 나누는 것을 간추리고 있고, 15권에서는 우바리가 5법을 묻는 것과 가치나의를 나누는 것을 간추리고 있으며, 16권에서는 파계(破戒)의 연기와 가치나의를 나누는 것을 간추리고 있고, 17권에서는 두 번째의 가타를 결집하고 있으며, 18권에서는 게송을 일으키는 것을 간추리고 있고, 19권에서는 갈마 등을 간추리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역과는 다른 형태로 결집되고 있는데, 오히려 율장의 결집에서 초기불교시대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분들이 인도 초기불교의 계율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은 물론, 그 핵심 사상과 내용들은 오늘날 승가에서도 여전히 지켜야 할 유용한 것임을 깊이 인식하고 실천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석보운

저자:석봉윤

대한불교조계종제2교구본사용주사에서출가하였고,문학박사이다.현재대한불교조계종교육아사리(계율)이며,지방의율원등에도출강하고있다.논저|논문으로<통합종단이후불교의례의변천과향후과제>등다수.저술로『신편승가의범』,『승가의궤』가있으며,번역서로『팔리율Ⅰ,Ⅱ,Ⅲ』,『마하승기율』(상,중,하),『십송율』(상,중,하),『보살계본소』,『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상,하),『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상,하),『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근본설일체유부백일갈마』외,『안락집』(상,하)등이있다.

목차

역자의말

부수(Parivra,附隨)

부수제1권제1장대분별(大分別):비구경분별
1.제정(制定)의처소
2.죄(罪)의숫자
3.죄(罪)의종류
4.잡송(雜誦)

부수제2권제2장대분별(大分別):비구니경분별
1.제정(制定)의처소
2.죄수(罪數)
3.잡송(雜誦)

부수제3권제3장연기섭송(緣起攝頌)
1.제1바라이등의연기
2.제2바라이등의연기
3.중매등의연기
4.충고등의연기
5.가치나의등의연기
6.양털등의연기
7.구법(句法)등의연기
8.도로(道路)등의연기
9.도둑등의연기
10.설법등의연기
11.실유(實有)등의연기
12.적녀를제도한것등의연기
13.허락하지않은것등의연기
14.13사(事)의연기

부수제4권제4장복습장(復習章)
1.연속적인반복장(反復章)
2.멸쟁의분석(分析)

부수제5권제5장문건도장(問度章)
1.구족계(具足戒)
2.포살(布薩)
3.우안거(雨安居)
4.자자(自恣)
5.가죽(皮革)
6.약(藥)
7.가치나의(迦那衣)
8.옷(衣)
9.첨파국(瞻波國)
10.구섬미국(拘彌國)
11.갈마건도(磨度)
12.별주(別住)
13.쌓임(集)
14.멸쟁(滅諍)
15.작은일(小事)
16.좌와처(坐臥處)
17.파승사(破僧事)
18.위의(威儀)
19.차설계(遮說戒)
20.비구니건도(比丘尼度)
21.오백결집(五百結集)
22.칠백결집(七百結集)

부수제6권제6장증일법(增一法)
1.1법(一法)
2.2법(二法)
3.3법(三法)
4.4법(四法)
5.5법(五法)
6.6법(六法)
7.7법(七法)
8.8법(八法)
9.9법(九法)
10.10법(十法)
11.11법(十一法)

부수제7권제7장포살문답장(布薩問答章)
1.문답(問答)
2.계율의의리론(義利論)

부수제8권제8장가타집(伽陀集)
1.계율의학습(學習)
2.네종류의실괴(四失壞)
3.여섯종류의절단(六切斷)
4.공통되지않는것(不共通)
5.빈출하는것(出等)

부수제9권제9장쟁사분석(諍事分析)
1.네종류의쟁사(諍事)
2.쟁사의발생(發生)
3.쟁사의뿌리
4.쟁사의조연(助緣)
5.쟁사의분석
6.질문
7.대답
8.멸쟁의발생
9.현전비니
10.멸쟁의의미

부수제10권제10장별가타집(別伽陀集)
1.별가타(別伽陀)

부수제11권제11장가책장(呵責章)
1.가책(呵責)
2.여법행(如法行)
3.소망자기(燒亡自己)

부수제12권제12장작은쟁사(小諍)
1.검문(檢問)
2.게송(伽陀)

부수제13권제13장큰쟁사(大諍)
1.쟁사를알아야하는것
2.파법(破法)
3.불파법(不破法)
4.응령오(應令悟)
5.당우(黨友)
6.검문자의조사
7.하소견(何所見)

부수제14권제14장가치나의의분석(分析)
1.가치나의의성립
2.무간(無間)의조건
3.전행(前行)
4.알아야할것(應知)
5.개인(個人)
6.사의(捨衣)

부수제15권제15장우바리질문의5법(五法)
1.의지(依止)
2.갈마의불해제(不解制)
3.판결(判決)
4.이견(異見)의제시(提示)
5.자취사(自取事)
6.두타행(頭陀行)
7.망어품(妄語品)
8.비구니교계품(比丘尼誡品)
9.단사인품(斷事人品)
10.멸쟁품(滅諍品)
11.파승사품(破僧事品)
12.두번째의파승사품
13.구주품(舊住品)
14.가치나의품(迦那衣品)

부수제16권제16장발생(等起)
1.바라이(波羅夷)
2.승잔(僧殘)
3.바일제-중학법
4.일어나는법(等起法)

부수제17권제17장제2가타집(伽陀集)
1.죄(罪)
2.교계(敎誡)
3.타락(墮落)
4.예경(禮敬)
5.갈마(磨)

부수제18권제18장발한게(發汗偈)
1.혼자머무는것(獨住)
2.구빈(驅)
3.단타(單墮)

부수제19권제19장5품(五品)
1.갈마(磨)
2.의리품(義利品)
3.제계품(制戒品)
4.소제품(所制品)
5.구중회품(九衆會品)

출판사 서평

이『팔리율(PaliVinaya)』은19세기말영국의팔리성전협회(ThePaliTextSociety,약칭PTS)에서전체5권으로영역하여결집하면서세계적으로알려졌다.그구성은제1권은마하박가(Mahavagga)(출가,구족계,포살등승가의일상계율)이고,제2권은출라박가(Culavagga)(승가에서발생하는처벌조항과의무)이며,제3권과4권은비구와비구니의수타비방가(Sutta-Vibhanga)(계율낱낱의조문)이고,제5권은파리바라(Parivara,부수)(계율의보충설명)로구성하고있다.한역율장과비교하여본다면마하박가와출라박가는한역의건도(度)이고,수타비방가는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이며,파리바라는부수(附隨)로서강요(綱要)에해당한다.

한편,1940년대일본에서완역하고,이후대만에서한역(漢譯)된『남전대장경(南傳大藏經)』은전체5권으로결집하고있는데,제1권에서는경분별(經分別)인비구의계율을1~4권에수록하고있고,제2권에서는비구의계율을5~8권에,비구니의계율을9~15권에수록하고있다.제3권에서는대품(大品)건도(度)인마하박가를1~10권에수록하고있고,제4권에서는소품(小品)건도인출라박가를11~22권에수록하고있으며,제5권에서는부수1~19권을수록하고있다.전체적으로56권으로구성되어있다.

이책『팔리율Ⅴ』는그간『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십송율』,『마하승기율』등초기북방불교의율장들을국역하는작업을해온조계종교육아사리보운스님이남방불교율장을『남전대장경』의분류체계를인용하여대분류로서제1권부터제5권으로나누어번역한책중2022년간행된『팔리율Ⅰ』과2023년간행된『팔리율Ⅱ』,『팔리율Ⅲ』,『팔리율Ⅳ』에이은다섯번째이자마지막결과물이다.

『팔리율』의결집과서술의형식은한역으로번역된율장의형식과는다른형태를갖추고있고,한역율장은결집과역출(譯出)의과정에서각부파에따른형식의분화가뚜렷하게일어났던점과는다르게근본불교의시대에송출하였던형태를갖추고있다.또한한역율장에서특정한연기(緣起)의내용은중국의문화와정서에알맞게번역하였다고추정되는관점과비교한다면,오히려옆에서지켜보고서서술하는것과같이현실성을생생하게느낄수있도록결집하고있는점이다.

『팔리율』의내용과구성에서는상좌부율장인『사분율』,『십송율』,『마하승기율』,『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서결집되었던내용과많은부분에서일치하고있으나,한역의율장에나타나지않았던내용도다수가포함되어있어세심하게판단할필요가있다.이러한결집의문제는부파불교의시대에각부파의종지(宗旨)를따라서율장을결집하면서부분적으로발생한변화를남방불교의율사들이특정하게수용하였다고추정할수있다.

『팔리율Ⅴ』는제5권의계율의강요(綱要)인부수(附隨)1~19권을국역한것이다.부수1권에서는대분별(大分別)로서비구계율을전체적으로간추리고있고,2권에서는비구니계율을전체적으로간추리고있으며,3권과4권에서는간략하게문답하고있고,5권에서는건도를개략적으로서술하고있으며,6권에서는증일법(增一法)을간추리고있고,7권에서는포살등을문답하고있으며,8권에서는가타(伽他)를간추리고있고,9권에서는분쟁의해결을간추리고있으며,10권에서는별도의가타를간추리고있다.11권에서는꾸짖음(呵責)을간추리고있고,12권에서는작은분쟁을간추리고있으며,13권에서는큰분쟁을간추리고있고,14권에서는가치나의를나누는것을간추리고있고,15권에서는우바리가5법을묻는것과가치나의를나누는것을간추리고있으며,16권에서는파계(破戒)의연기와가치나의를나누는것을간추리고있고,17권에서는두번째의가타를결집하고있으며,18권에서는게송을일으키는것을간추리고있고,19권에서는갈마등을간추리고있다.

이러한구성은한역과는다른형태로결집되고있는데,오히려율장의결집에서초기불교시대의형태를간직하고있다고볼수있다.이책을읽는분들이인도초기불교의계율에대한이해를심화시키는것은물론,그핵심사상과내용들은오늘날승가에서도여전히지켜야할유용한것임을깊이인식하고실천하기를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