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의 노사관계와 노동법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0 (양장)

전환기의 노사관계와 노동법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0 (양장)

$38.68
Description
노동법은 형성되어 가는 법이다. 노사관계의 주체, 기술의 발전, 경제적 상황, 사회적 맥락,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의 노동법은 그간의 헌정사만큼이나 파란만장한 경로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정치적 불안, 산업화와 민주화, 노동체제의 변화, 진영논리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진화해 왔다. 필자는 우리 노동법제의 발전단계를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바 있다. 여기에다 최근 디지털 시대의 급격한 노동시장 변화는 노동 4.0과 같은 노동법제의 또 다른 변화와 발전을 예고한다. 필자는 우리 노동법제를 평소 K-노동법이라 칭할 정도로 우리 노동법제의 동태성과 독창성에 자부심을 느낀다. 돌이켜 보면 전환기가 아닌 시대가 없었던 듯하다. 책 제목을 전환기의 노사관계와 노동법으로 잡은 이유도 이런 연유에서다.

노동법학에 입문한 지 어언 40년이 지났다. 그간 노동법 학자로서 사회적 대화를 통해 임금채권보증기금의 도입, 노동조합 조직형태 관련 조항의 신설, 공무원 노동단체의 이원적 구도 정립 등의 영역에서 학자로서 연구한 결과를 현실에 직접 관철해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년을 맞이하면서, 이 전환기에 학문적 연구를 통해 내가 무엇을 해 왔는지를 정리해 보고 싶었다. 때마침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에서 이 작업을 지원해 주어 이렇게 책을 발간하게 되었다. 법학연구소의 송옥렬 소장에게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표하고 싶다.

본서는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논문을 선정한 이유를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부인 우리 노동법제의 발자취와 미래적 과제에서는 주로 법사회학적 방법론을 통해 우리 노동법제를 분석하고, 일정 부분 미래담론을 개척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신자유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시절에 주창되었던 근로계약법제 및 경영권 신화에 대해 방법론적으로 저항하던 흔적을 읽을 수 있다. 한국형 노동 4.0에 대한 고민은 학문후속세대에게 남기는 화두와도 같다.
제2부인 개별적 노동보호 영역에서는 그간 필자가 주로 법해석론적인 방법을 통해 법제도의 발전과 판례법리의 형성에 기여한 부분을 선정하여 수록하였다. 통상임금과 관련하여서는 필자의 주장이 전원합의체 판결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으나, 여전히 입법적ㆍ해석적 해결이 필요한 쟁점이 남아 있다. 또한 해고법제와 관련된 비교법적 검토, 사내하도급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새로운 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는 향후 입법적 대응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3부인 집단적 노사관계 영역에서는 필자가 해석론과 비교법학적 방법론으로써 법제도와 노사관계의 발전에 기여한 부분을 선정하여 수록하였다. 필자는 산별체제로의 전환과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 도입을 둘러싼 사회적 대화에 전문가로서 활발하게 참여하였는데, 당시 예측하였던 다양한 법적 분쟁이 현실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 필자의 연구가 노사관계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새로운 종업원대표제에 대한 논문은 미래 담론으로서 조만간 법제화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본서의 발간에 부쳐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의 강성태 교수가 발문(跋文)을 보내주었다. 본서에 수록된 논문의 내용과 의미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강 교수는 영원한 나의 학문적 동지이자 존경하는 후배이다. 실로 감사할 따름이다.

본서는 과거 필자가 작성한 논문에 그 이후의 법 개정 내용을 보완하고 일정 부분 내용을 수정하여 집대성한 책이다. 이 지난한 작업을 손향미 박사와 한동대학교의 이다혜 교수와 나의 제자 문준혁 박사가 상당기간에 걸쳐 도와주었다. 스승으로서 그들의 학문적 발전과 성취를 간절히 바란다. 책을 출간하는 데 도움을 준 박영사 관계자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2023년 9월
이 철 수
저자

이철수

서울대학교와이화여자대학교에서약30년간노동법교수로봉직하였다.서울대노동법연구회,한국노동법학회,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회장을역임하였고,중앙노동위원회공익위원,경제사회노동위원회공익위원,서울대학교평의원회의장,기획처장및발전기금상임이사등으로우리사회와대학발전에기여하였다.저서로는노동법(2023),노동의미래(2020),영혼있는노동(2019)등이있다.

목차

제1부우리노동법의발자취와미래적과제
제1장노동법의현주소:위기인가,기회인가?
제2장한국노동법변천사와신자유주의이후의문제
제3장노동법의새로운패러다임과방법론적회의:근로계약법제논의를중심으로
제4장경영권이라는신화를넘어
제5장산업구조변화에따른노동법의새로운과제와노동4.0

제2부개별적노동보호영역에서의쟁점과해결방안
제6장통상임금2013년전원합의체판결의의미와평가
제7장2006년개정해고법제의주요내용과그평가
제8장사내하도급의법적쟁점에대한검토

제3부집단적노사관계의변화와새로운방법론의모색
제9장산별노조체제로의전환과법률적쟁점의재조명
제10장미국의배타적교섭대표제와한국적함의
제11장새로운종업원대표시스템의정립

[부록]
사회적기본권의본래적의미:안톤멩거(AntonMenger)의'노동수익권'

참고문헌361

출판사 서평

노동법은형성되어가는법이다.노사관계의주체,기술의발전,경제적상황,사회적맥락,이데올로기를반영하기때문이다.특히우리의노동법은그간의헌정사만큼이나파란만장한경로를거쳐오늘에이르렀다.정치적불안,산업화와민주화,노동체제의변화,진영논리등의요인들이복합적으로작용하며우여곡절을겪으면서진화해왔다.필자는우리노동법제의발전단계를4단계로나누어살펴본바있다.여기에다최근디지털시대의급격한노동시장변화는노동4.0과같은노동법제의또다른변화와발전을예고한다.필자는우리노동법제를평소K-노동법이라칭할정도로우리노동법제의동태성과독창성에자부심을느낀다.돌이켜보면전환기가아닌시대가없었던듯하다.책제목을전환기의노사관계와노동법으로잡은이유도이런연유에서다.

노동법학에입문한지어언40년이지났다.그간노동법학자로서사회적대화를통해임금채권보증기금의도입,노동조합조직형태관련조항의신설,공무원노동단체의이원적구도정립등의영역에서학자로서연구한결과를현실에직접관철해보기도하였다.그러나정년을맞이하면서,이전환기에학문적연구를통해내가무엇을해왔는지를정리해보고싶었다.때마침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에서이작업을지원해주어이렇게책을발간하게되었다.법학연구소의송옥렬소장에게심심한감사의말씀을표하고싶다.

본서는3부로구성되어있고,각논문을선정한이유를약술하면다음과같다.
제1부인우리노동법제의발자취와미래적과제에서는주로법사회학적방법론을통해우리노동법제를분석하고,일정부분미래담론을개척해보고자하였다.특히신자유주의가기승을부리던시절에주창되었던근로계약법제및경영권신화에대해방법론적으로저항하던흔적을읽을수있다.한국형노동4.0에대한고민은학문후속세대에게남기는화두와도같다.
제2부인개별적노동보호영역에서는그간필자가주로법해석론적인방법을통해법제도의발전과판례법리의형성에기여한부분을선정하여수록하였다.통상임금과관련하여서는필자의주장이전원합의체판결에상당부분반영되었으나,여전히입법적ㆍ해석적해결이필요한쟁점이남아있다.또한해고법제와관련된비교법적검토,사내하도급을둘러싸고제기되는새로운법적쟁점에대한연구는향후입법적대응을모색하는데도움이될것으로보인다.
제3부인집단적노사관계영역에서는필자가해석론과비교법학적방법론으로써법제도와노사관계의발전에기여한부분을선정하여수록하였다.필자는산별체제로의전환과교섭창구단일화제도도입을둘러싼사회적대화에전문가로서활발하게참여하였는데,당시예측하였던다양한법적분쟁이현실화되고있는현시점에필자의연구가노사관계를안정화하는데도움이될수있기를희망한다.새로운종업원대표제에대한논문은미래담론으로서조만간법제화될수있기를소망한다.

본서의발간에부쳐한양대법학전문대학원의강성태교수가발문(跋文)을보내주었다.본서에수록된논문의내용과의미를객관적으로평가할필요가있었기때문이다.강교수는영원한나의학문적동지이자존경하는후배이다.실로감사할따름이다.

본서는과거필자가작성한논문에그이후의법개정내용을보완하고일정부분내용을수정하여집대성한책이다.이지난한작업을손향미박사와한동대학교의이다혜교수와나의제자문준혁박사가상당기간에걸쳐도와주었다.스승으로서그들의학문적발전과성취를간절히바란다.책을출간하는데도움을준박영사관계자에게도감사를표한다.

2023년9월
이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