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태도가 아이의 평생 문해력을 결정한다”
단 한 권을 읽어도 제대로 남는
미국 부모들의 책 읽어주는 법
십수 년간 아동 문해력을 연구해 온 서울대 최나야 교수에 따르면, 유독 우리나라 아이들이 어릴 때 읽은 책의 양은 학령기 이후 문해력과 별 상관이 없다고 한다. 그런데 영미권의 연구 결과는 다르다. 영유아기에 책을 많이 읽은 아이가 학령기 이후에도 읽고 쓰기를 잘한다고 한다. 이것은 무조건 많이 읽는 것이 아닌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좋은 책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아이들은 AI가 텍스트를 읽어주고 급기야 시, 소설, 논문까지 장르 불문의 글을 써주는 세상에 살고 있다. 결국 AI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힘은 책에 직접 쓰여 있지 않은 맥락까지 제대로 읽어내는 분석력과 논리적 사고력, 상상력이 될 것이다. 어릴 때부터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좋은 책을 ‘제대로’ 읽고 문해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다.
하버드에서 어린이의 언어 습득에 관해 연구한 저자는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일반적인 책 읽어주기와 미국 부모들의 대화식 책 읽기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분석해 이 책에 담았다. 언제 책육아를 시작하면 좋은지, 어떤 책을 읽어주면 좋은지 언어교육 관점에서 조언해준다. 실패 없는 대화식 책 읽기를 위한 7가지 질문법, 실제 그림책을 활용한 대화 예시, 최나야 교수의 추천 그림책까지 모두 담았다.
이렇게 다르다!
하버드 대화식 책 읽기
왜 대화식 책 읽기가 중요할까? 동양과 서양의 부모가 책육아를 대하는 사고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우리는 보통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는 13개월부터 책을 읽어주기 시작하지만 미국 부모들은 그보다 약 1년 정도 빨리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다. 또 미국 부모들은 주로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 글자나 숫자, 탈것과 같은 정보를 다루는 책을 읽어주는 반면 우리는 윤리적 교훈을 주는 전래동화나 옛날이야기를 주로 읽어준다. 그래서 책육아 하면 우리는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들려주는 모습을 떠올리지만 미국 부모들은 아이와 눈 맞춤 하며 대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지금껏 해왔던 보통의 책육아로 아이의 정서 지능을 키워줄 수는 있어도 사고력과 언어능력까지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이야기의 인과관계는 무엇일까?’, ‘결국 주인공은 어떻게 되었을까?’처럼 다각도로 분석하고 논리적 생각하는 힘은 처음 책을 읽어주는 부모와의 대화에서 시작된다. 미국 아이들이라고 처음부터 말을 잘한 것이 아니다. 말이 트이기 전부터 책을 읽어주는 부모에게서 질문을 듣고 사고력과 전달력을 훈련받기 때문이다. 결국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태도가 아이의 평생 문해력을 결정한다.
어떻게 읽어줘야 할까?
아이도 부모도 편한 하루 15분 그림책 육아
책육아가 처음이라 어떻게 읽어줘야 할지 모르겠다면 다음의 7가지 질문으로 시작해보자.
1. 의문사형 질문
2. 의문사형 질문에 대한 아이의 대답을 확장하는 질문
3. 아이의 대답을 반복하는 질문
4. 정해진 답이 없는 질문
5. 문장을 완성하는 질문
6. 책의 내용을 떠올리게 하는 질문
7. 아이의 생활과 관련된 질문
각각의 질문은 듣기 능력, 보기 능력, 지식·어휘력, 사고력, 전달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 그림책을 활용한 실전 대화 내용을 수록해 아이에게 질문하고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안내했다. 원서에서 소개한 9권에 더해 대화식 책 읽기를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서울대 최나야 교수의 추천 그림책 목록도 함께 실었다. 아이들에게 친숙한 동물책부터 글자 없는 그림책, 논리적 사고력을 위한 정보책, 판타지 동화, 내면의 성장을 돕는 이야기책 등 많은 가정에서 소장하고 있을 만한 책들로 54권을 엄선했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 부모가 질문하기 쉬운 책부터 매일 15분씩 함께 해보자. 처음에는 부모의 질문으로 시작하지만 끝내 아이가 대화의 주체가 된다. ‘아! 책은 이렇게 생각하며 읽는 거구나.’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독서의 즐거움을 아이로 성장할 것이다.
단 한 권을 읽어도 제대로 남는
미국 부모들의 책 읽어주는 법
십수 년간 아동 문해력을 연구해 온 서울대 최나야 교수에 따르면, 유독 우리나라 아이들이 어릴 때 읽은 책의 양은 학령기 이후 문해력과 별 상관이 없다고 한다. 그런데 영미권의 연구 결과는 다르다. 영유아기에 책을 많이 읽은 아이가 학령기 이후에도 읽고 쓰기를 잘한다고 한다. 이것은 무조건 많이 읽는 것이 아닌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좋은 책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아이들은 AI가 텍스트를 읽어주고 급기야 시, 소설, 논문까지 장르 불문의 글을 써주는 세상에 살고 있다. 결국 AI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힘은 책에 직접 쓰여 있지 않은 맥락까지 제대로 읽어내는 분석력과 논리적 사고력, 상상력이 될 것이다. 어릴 때부터 단 한 권을 읽더라도 좋은 책을 ‘제대로’ 읽고 문해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다.
하버드에서 어린이의 언어 습득에 관해 연구한 저자는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일반적인 책 읽어주기와 미국 부모들의 대화식 책 읽기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분석해 이 책에 담았다. 언제 책육아를 시작하면 좋은지, 어떤 책을 읽어주면 좋은지 언어교육 관점에서 조언해준다. 실패 없는 대화식 책 읽기를 위한 7가지 질문법, 실제 그림책을 활용한 대화 예시, 최나야 교수의 추천 그림책까지 모두 담았다.
이렇게 다르다!
하버드 대화식 책 읽기
왜 대화식 책 읽기가 중요할까? 동양과 서양의 부모가 책육아를 대하는 사고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우리는 보통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는 13개월부터 책을 읽어주기 시작하지만 미국 부모들은 그보다 약 1년 정도 빨리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다. 또 미국 부모들은 주로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 글자나 숫자, 탈것과 같은 정보를 다루는 책을 읽어주는 반면 우리는 윤리적 교훈을 주는 전래동화나 옛날이야기를 주로 읽어준다. 그래서 책육아 하면 우리는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들려주는 모습을 떠올리지만 미국 부모들은 아이와 눈 맞춤 하며 대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지금껏 해왔던 보통의 책육아로 아이의 정서 지능을 키워줄 수는 있어도 사고력과 언어능력까지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이야기의 인과관계는 무엇일까?’, ‘결국 주인공은 어떻게 되었을까?’처럼 다각도로 분석하고 논리적 생각하는 힘은 처음 책을 읽어주는 부모와의 대화에서 시작된다. 미국 아이들이라고 처음부터 말을 잘한 것이 아니다. 말이 트이기 전부터 책을 읽어주는 부모에게서 질문을 듣고 사고력과 전달력을 훈련받기 때문이다. 결국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태도가 아이의 평생 문해력을 결정한다.
어떻게 읽어줘야 할까?
아이도 부모도 편한 하루 15분 그림책 육아
책육아가 처음이라 어떻게 읽어줘야 할지 모르겠다면 다음의 7가지 질문으로 시작해보자.
1. 의문사형 질문
2. 의문사형 질문에 대한 아이의 대답을 확장하는 질문
3. 아이의 대답을 반복하는 질문
4. 정해진 답이 없는 질문
5. 문장을 완성하는 질문
6. 책의 내용을 떠올리게 하는 질문
7. 아이의 생활과 관련된 질문
각각의 질문은 듣기 능력, 보기 능력, 지식·어휘력, 사고력, 전달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 그림책을 활용한 실전 대화 내용을 수록해 아이에게 질문하고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안내했다. 원서에서 소개한 9권에 더해 대화식 책 읽기를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서울대 최나야 교수의 추천 그림책 목록도 함께 실었다. 아이들에게 친숙한 동물책부터 글자 없는 그림책, 논리적 사고력을 위한 정보책, 판타지 동화, 내면의 성장을 돕는 이야기책 등 많은 가정에서 소장하고 있을 만한 책들로 54권을 엄선했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 부모가 질문하기 쉬운 책부터 매일 15분씩 함께 해보자. 처음에는 부모의 질문으로 시작하지만 끝내 아이가 대화의 주체가 된다. ‘아! 책은 이렇게 생각하며 읽는 거구나.’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독서의 즐거움을 아이로 성장할 것이다.
하버드에서 배운 최강의 책육아 : 상위 1% 문해력을 완성하는 대화식 독서법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