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2023년 심훈문학상 수상시집!
2023년 심훈문학상을 수상한 송용탁 시인의 첫 시집. 시인이자 회화, 아트필름 및 독립영화 작업을 병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면서도 시 쓰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꾸준히 써내려간 78편이 이번 시집 『세계의 고아』에 수록되어 있다. 제1부 떠난 것들의 초대, 2부 습관성 죽음에 대하여, 3부 타의적 발견으로 구성된 이번 시집에서 송용탁 시인은 고독과 슬픔, 꿈과 몽상이 가득한 시적 모험의 세계를 선사한다. “외로운 질문”에 맞서 “혼자라는 내부를 그려보고 싶었”(「세계의 고아」)던 시인이 세계에 보내는 답장이기도 하다.
송용탁은 타인과 사물과 자신을 낯설게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어떻게 어우러져 범상하지 않은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시로 구현해낸다. 바로 이 점에서 심사위원들은 그의 시가 후보작 가운데 제일 ‘좋은 작품’임에 동의하였다. 이와 같은 판단이 일시적으로만 적용되지 않음을, 송용탁이 이후의 시 쓰기로 꾸준히 증명하기를 기대한다. _김근·안현미 시인, 허희 평론가 (심훈문학상 심사위원)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에는 가족과 연인이 빈번히 등장하지만, 그들이 지금은 여기에 없어 부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거에 한때 존재했거나 미래에 어쩌면 가능할지 모르는 관계들이다. “아빠가 보이지 않”고(「척력」), “몸도 없이 우는 사람”(「맘」)인 엄마 역시 자주 사라지거나 이미 없는 사람이며, 동생은 “태어난 적 없”(「답시」)지만 화자는 그에게 생일을 만들어준다. 화자는 혼자서 “유예된 시간을 모아 몸을 데우고”(「떨켜」) “왜 나는 맨몸으로 살 수 없을까”(「깃의 원정」) 고민하는 사람이다. 그가 타인의 이름을 떠올릴 때마다 점점 더 고독해지고 슬퍼지지만 그래도 그는 “우리는 여기에 있었다”(「피에타」)는 사실을 간직하는 사람이다. 그 사실이 화자를 더욱 고독하게 만든다 할지라도 그것이 그가 갖는 긍지일 것이다.
“세계, 내 언어 속에 서라”_‘시인의 말’에서
“시를 걷는 자는 충분한 비밀을 가지고 있을까”_「위작」에서
“못다 한 말들이 계속 출렁거렸다”_「곶串」에서
많은 시인들이 그런 것처럼 송용탁 역시 끝없이 언어와 삶을 탐구하는 연구자이다. 2022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목다보」에 대해서는 “상상의 폭을 넓게 두면서도 적확한 시어를 찾아내고자 하는 노력, 그리고 이 상상과 언어 속에 삶의 비의와 존재의 근거를 담아내고자 하는 치열함”(심사위원 이영춘·이홍섭 시인)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독경」에서는 단단한 세계에 가로막힌 자신의 언어를 가꾸는 숲지기가 등장한다. “그는 계속 자신이 가꾼 언어의 숲이 불타오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거듭 그을린 언어를 건져낼 것임을 안다. 그 자국이 오래도록 우리의 슬픔을 끌어당길 것임을 믿는다. 그리하여 이 모든 세계가 불타오르게 된다 하여도 그것이 단지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믿게 될 때까지. 당신이 계속 탄생할 것을 믿는다.”(임지훈 문학평론가)
송용탁은 타인과 사물과 자신을 낯설게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어떻게 어우러져 범상하지 않은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시로 구현해낸다. 바로 이 점에서 심사위원들은 그의 시가 후보작 가운데 제일 ‘좋은 작품’임에 동의하였다. 이와 같은 판단이 일시적으로만 적용되지 않음을, 송용탁이 이후의 시 쓰기로 꾸준히 증명하기를 기대한다. _김근·안현미 시인, 허희 평론가 (심훈문학상 심사위원)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에는 가족과 연인이 빈번히 등장하지만, 그들이 지금은 여기에 없어 부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거에 한때 존재했거나 미래에 어쩌면 가능할지 모르는 관계들이다. “아빠가 보이지 않”고(「척력」), “몸도 없이 우는 사람”(「맘」)인 엄마 역시 자주 사라지거나 이미 없는 사람이며, 동생은 “태어난 적 없”(「답시」)지만 화자는 그에게 생일을 만들어준다. 화자는 혼자서 “유예된 시간을 모아 몸을 데우고”(「떨켜」) “왜 나는 맨몸으로 살 수 없을까”(「깃의 원정」) 고민하는 사람이다. 그가 타인의 이름을 떠올릴 때마다 점점 더 고독해지고 슬퍼지지만 그래도 그는 “우리는 여기에 있었다”(「피에타」)는 사실을 간직하는 사람이다. 그 사실이 화자를 더욱 고독하게 만든다 할지라도 그것이 그가 갖는 긍지일 것이다.
“세계, 내 언어 속에 서라”_‘시인의 말’에서
“시를 걷는 자는 충분한 비밀을 가지고 있을까”_「위작」에서
“못다 한 말들이 계속 출렁거렸다”_「곶串」에서
많은 시인들이 그런 것처럼 송용탁 역시 끝없이 언어와 삶을 탐구하는 연구자이다. 2022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목다보」에 대해서는 “상상의 폭을 넓게 두면서도 적확한 시어를 찾아내고자 하는 노력, 그리고 이 상상과 언어 속에 삶의 비의와 존재의 근거를 담아내고자 하는 치열함”(심사위원 이영춘·이홍섭 시인)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독경」에서는 단단한 세계에 가로막힌 자신의 언어를 가꾸는 숲지기가 등장한다. “그는 계속 자신이 가꾼 언어의 숲이 불타오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거듭 그을린 언어를 건져낼 것임을 안다. 그 자국이 오래도록 우리의 슬픔을 끌어당길 것임을 믿는다. 그리하여 이 모든 세계가 불타오르게 된다 하여도 그것이 단지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믿게 될 때까지. 당신이 계속 탄생할 것을 믿는다.”(임지훈 문학평론가)
세계의 고아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