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우리말의 결과 가락을 살려 쓰는 시인, 박태일
『용을 낚는 사람들』은 1980년부터 문학사회에 나선, 우리말의 결과 가락을 잘 살려 쓴 시인으로 알려진 박태일의 첫 시선집이다. 1984년 『그리운 주막』부터 『가을 악견산』, 『약쑥 개쑥』, 『풀나라』, 『달래는 몽골 말로 바다』, 『옥비의 달』을 거쳐 2023년 『연변 나그네 연길 안까이』까지 일곱 권에 걸친 시집 낱낱에서 30편씩 골라 총 210편을 담았다. 이 책은 푸릇한 청년 시인에서 시작하여 드넓은 장년을 헤치고, 노년으로 올라서는 마흔세 해 동안 줄기차게 펼쳐 나온 시의 역정을 힘차게 웅변한다. 생활세계의 구체적인 경험 현실에 뿌리 내린 채 삶과 죽음, 개인과 역사, 서정과 서사 사이의 떨어진 거리를 때로는 팽팽하게 때로는 거칠게 품어 안고 뒹군 언어적 고투와 방법적 탐색이 유려하다.
박태일에 대해 황동규 시인은 “1980년 신춘문예에 당선된 후 지금까지 한결같이 박태일은 우리 삶의 비극적 양상과 그 비극의 정화를 시의 핵심인 노래를 바탕으로 추구해온 시인. 이 산문의 시대에 박태일은 잊지 말고 되돌아봐야 할 존재”라고 말했으며, 이숭원 평론가는 “토박이말을 바탕으로 절제와 율격을 교차하며 풍경과 마음의 기미를 재구성하는 형식의 창조는 시인이 나타내려는 정신의 지향과 부합한다. 이러한 육체와 정신의 창조를 통해 박태일은 역사의식을 계승한 의지의 세계를 형상화했고 여성적 견인의 내력으로 삶의 고통을 승화했다. 견고한 삶의 장력을 통해 존재의 비극성을 넘어서서 언어와 풍속과 마음이 어우러진 평화로운 삶의 지평을 제시했다”고 평했다.
시를 향해 멈추지 않는 걸음
표제시 「용을 낚는 사람들」은 두만강 줄기 연변겨레자치주 재중겨레의 삶과 오늘을 곡진히 그려 담은 작품이다. 시인은 이 작품 안에서 전통 농본주의사회에서 근대 산업사회로 격동하는 가운데 다시 나라 바깥으로 떠밀리고 쫓겨나 비극적 행로로 가뭇없이 떠내려간 이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와 같이 시선집 안에는 경남ㆍ부산ㆍ울산 지역에서 나라 곳곳으로, 더 나아가 몽골, 연변으로 시인의 걸음발이 멈출 기세를 모르는 듯 나아가고 있다. 어떤 방식으로도 자신을 증명할 수 없었던 풍경, 사람, 인정의 내력과 더불어 시인의 장소 상상력과 신생을 향한 꿈은 경계를 잊었던 셈이다. 박태일은 「시선집을 엮으며」에서 “나이 일흔에 다시 신끈을 묶는다. 남은 삶자리에서는 더 뜻 있는 시, 필요한 시, 오롯한 내 시를 쓰기 위해 마구 긴장할 수 있기 바란다”며 앞으로도 그 걸음을 멈추지 않을 것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적 대언어에 기생하는 작품이 시의 취향을 휩쓸고 있는 오늘날이다. 우리 시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박태일의 『용을 낚는 사람들』은 그러한 근본 물음에 대한 답을 오롯하게 증명하는 본보기이다. 시인이 오랜 세월 편편이 솟구쳐 올린 창조적 역동은 가까이 또 멀리, 우리 시문학사회 전통에 든든한 지남반으로 거듭날 것이다.
박태일에 대해 황동규 시인은 “1980년 신춘문예에 당선된 후 지금까지 한결같이 박태일은 우리 삶의 비극적 양상과 그 비극의 정화를 시의 핵심인 노래를 바탕으로 추구해온 시인. 이 산문의 시대에 박태일은 잊지 말고 되돌아봐야 할 존재”라고 말했으며, 이숭원 평론가는 “토박이말을 바탕으로 절제와 율격을 교차하며 풍경과 마음의 기미를 재구성하는 형식의 창조는 시인이 나타내려는 정신의 지향과 부합한다. 이러한 육체와 정신의 창조를 통해 박태일은 역사의식을 계승한 의지의 세계를 형상화했고 여성적 견인의 내력으로 삶의 고통을 승화했다. 견고한 삶의 장력을 통해 존재의 비극성을 넘어서서 언어와 풍속과 마음이 어우러진 평화로운 삶의 지평을 제시했다”고 평했다.
시를 향해 멈추지 않는 걸음
표제시 「용을 낚는 사람들」은 두만강 줄기 연변겨레자치주 재중겨레의 삶과 오늘을 곡진히 그려 담은 작품이다. 시인은 이 작품 안에서 전통 농본주의사회에서 근대 산업사회로 격동하는 가운데 다시 나라 바깥으로 떠밀리고 쫓겨나 비극적 행로로 가뭇없이 떠내려간 이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와 같이 시선집 안에는 경남ㆍ부산ㆍ울산 지역에서 나라 곳곳으로, 더 나아가 몽골, 연변으로 시인의 걸음발이 멈출 기세를 모르는 듯 나아가고 있다. 어떤 방식으로도 자신을 증명할 수 없었던 풍경, 사람, 인정의 내력과 더불어 시인의 장소 상상력과 신생을 향한 꿈은 경계를 잊었던 셈이다. 박태일은 「시선집을 엮으며」에서 “나이 일흔에 다시 신끈을 묶는다. 남은 삶자리에서는 더 뜻 있는 시, 필요한 시, 오롯한 내 시를 쓰기 위해 마구 긴장할 수 있기 바란다”며 앞으로도 그 걸음을 멈추지 않을 것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적 대언어에 기생하는 작품이 시의 취향을 휩쓸고 있는 오늘날이다. 우리 시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박태일의 『용을 낚는 사람들』은 그러한 근본 물음에 대한 답을 오롯하게 증명하는 본보기이다. 시인이 오랜 세월 편편이 솟구쳐 올린 창조적 역동은 가까이 또 멀리, 우리 시문학사회 전통에 든든한 지남반으로 거듭날 것이다.
용을 낚는 사람들 (양장)
$3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