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등문화의 역사 : 인도 중국 한국으로 이어진 등불의 문화사

연등문화의 역사 : 인도 중국 한국으로 이어진 등불의 문화사

$32.89
저자

백창호,오대혁

저자:오대혁
동국대학교에서고전문학을전공하고설잠김시습과『금오신화』연구로박사학위를받았다.동국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등에서학생들에게문학을가르쳐왔다.현재한국전통등연구원연구이사,제주4·3범국민위원회이사,「피앤피뉴스」논설주간,「제주일보」논설위원으로학자이자시인,문화비평가로활발한활동을펼치고있다.
주요저서로석사논문을바탕으로삼은『원효설화의미학』(1999),박사논문과불교문학연구결과를묶은『금오신화와한국소설의기원』(2007)이있다.그외불교와무속간의연관성을심도있게다룬「<안락국태자경>과<이공본풀이>의전승관계」(2001),일연의대승불교사상과『삼국유사』의창작관계를다루어일연학술상을받은「일연의선사상과<삼국유사>의상관성」(2013),한용운의삶과시문학을관통하는논리를밝힌「한용운의사상담론과시문학언어의변화」(2022)등이대표논문들이다.

저자:백창호
동국대학교에서미술을전공했다.1996년‘전통등연구회’결성을주도하고초대회장을맡아일제강점기이후사라져문헌으로만남아있던전통등을고증해재현하는일에나서며본격적으로등불과인연을맺게된다.1998년봉은사에서의‘전통등재현전’을시작으로2010년에는‘북한문헌의전통등복원사업’을진행했다.이후지속적인전통등제작및재현전,국제학술세미나를개최하며전통등의전승과발전을위해앞장섰으며이러한성과들은국가무형문화재인연등회가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등재되는결정적인계기가되었다.
또한전통등문화를‘서울빛초롱축제’,‘백제문화제’,‘단종문화제’등국내주요등축제기획및전시로선보였으며중국,대만,싱가포르초청전시에참가하며한국전통등의맥을잇고있다.2020년한국무형문화유산전통한지등명장에선정되었으며,현재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연등회전문위원,한국전통등연구원원장으로활동중이다.

목차

책을펴내며

01불과등불,그리고연등의문화사
불과등불,연등의의미
문화와문화사
등불및연등문화를다룬책과글그리고그림들
연등문화의역사서술방향

02불교연등의기원과인도
불교연등燃燈의기원
연등이란?
부처님시절의연등공양
난타여인이밝힌등불
등불을밝힌부처의전생이야기
불교에서연등공양의의미
본생담속의등불
인도와서역에서행해졌던연등회
마갈제국의연등회
우전국과축찰시라의연등회

03중국의연등문화
중국신화속의불과등롱의발생
중국신화속의불
촛불과등롱의탄생
중국등불의변화
등불축제의근원인정료(庭燎)
한나라명제(明帝)와중국연등회의시작
양나라의연등행사
수나라의연등회정착
기복과오락의당나라등불축제
백성과함께즐겼던송나라의등불축제
명나라의흥망성쇠를보여주는등불축제
민중의축제가된청나라의등불축제
현대중국의등불축제

04한국의연등문화
신화와민속의불
신화시대의불
한국민속의불
삼국과통일신라의연등회
고려의연등회
고려초의연등회
고려의정기연등회
고려의특설연등회
민중속으로파고든사월초파일연등회
연등을노래한향가와고려가요그리고한시
조선의연등회
조선전기궁궐의연등회
조선전기민간의연등회
16세기연등회와한시의서정
조선후기왕실의연등
사찰의연등회
풍속지에그려진조선후기연등회
가사<관등가>속의등불들
조선후기한시속연등의서정
근현대의연등회
개화기의연등회와제등행렬
일제강점기에부활한연등회
일제강점기최고의축제였던연등회
일제강점기꽃을바치는초파일로변질
광복후제등행렬이전시기의등불
제등행렬시기의등불
부처님오신날의국가공휴일지정과등불의의미
연등축제시기의등불
전통등을재현하다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이된연등회

05연등문화의특징과미래
연등의문화요소들
종교의상징
권력의상징
예술의대상
연희의배경
연등문화의미래

참고문헌/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한국연등회역사와변천밝히고
인도·중국·한국으로이어진연등의문화사기록

-부처님오신날밝히는연등은연꽃모양등[蓮燈]일까,아니면등불[燃燈]일까?
-우리나라의연등회는언제처음시작되었을까?
-연등회는원래부처님오신날행사였을까?
-일제강점기에는연등회가열리지않았을까?
-인도와중국에서는연등이어떤의미일까?

해마다부처님오신날이면거리마다연등물결이넘실대고,연등행렬에는불자는물론종교와국경을초월해수십만명이참가한다.하지만막상연등회가어떤행사였는지,언제시작되었는지정확히아는사람은많지않다.국가무형문화재이자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등재된한국의연등회는어떻게형성되어전해져왔을까?

이책은한국전통등연구원오대혁연구이사와백창호원장이한국연등회의역사와변천과정을자세히밝히고,인도·중국·한국으로이어진수천년의등불역사를종교·정치·민속·문학·예술등다양한영역에걸쳐살피면서연등문화의고갱이를드러낸책이다.

종교·정치·민속·문학·예술등다각적고찰
옛글과그림을통해연등문화정서입체적서술

책은모두5장으로구성되었다.

1장〈불과등불,그리고연등의문화사〉에서는먼저불과등불,연등의의미를짚고연등문화의역사서술방향을밝힌다.

2장〈불교연등의기원과인도〉에서는‘빈자일등(貧者一燈)’으로널리알려진난타여인의등불공양과등불을밝힌석가모니부처님의전생이야기등을통해불교에서연등공양이갖는의미를밝힌다.이어인도및서역에서행해졌던연등회의역사를살펴봄으로써어둠을밝히는등불이불교와만나종교적의미를획득하고대승불교의보살행을상징하게되는과정을설명한다.

3장〈중국의연등문화〉에서는춘추전국시대부터현대에이르기까지중국등불의역사를개괄한다.또등불이어떻게정치권력과연결되어역사의부침(浮沈)을거듭하게되는지를보여준다.

4장〈한국의연등문화〉에서는우리민족의신화와민속에서‘불’의의미를살피고삼국-고려-조선시대와일제강점기를거쳐현대에이르기까지의연등문화변천과정을고찰한다.또한시와가사등문학작품과옛그림에나타나는연등의구체적모습과연등문화를향유했던이들의감정을세밀하게들여다보며당대인들의정서를읽는다.

5장〈연등문화의특징과미래〉에서는연등문화의통시적흐름속에서등불축제가정치권력·민속·종교·예술·연희등과어떤관계를맺으며변화를거듭했는지를살피고,연등문화의발전적미래를전망한다.

이책의또다른특징은연등의역사와변천뿐아니라연등을바라보며느꼈던당대인들의정서를다양한고문헌과옛그림을통해입체적으로서술하고있다는점이다.역사이면서민속인연등문화와그러한문화를향유한이들의정서세계까지온전하게드러낸참된문화사(文化史)로평가받는이유다.

부침거듭했던전통등,일제강점기이후변질
한국전통등연구원연구성과가유네스코등재발판

연등문화는인도에서중국을거쳐우리나라까지이어지면서찬란하게등불을밝힌적도있었고꺼진듯이보이던때도있었다.그화려함이지나쳐중국의황실을무너뜨리는데일조하기도했고,불교를숭상하던고려에서는찬란히빛났지만억불숭유의조선에서는민간에서근근이생명만부지하기도했다.또일제강점기를거치며일본풍의연등이제작되었고일본식으로꽃을바치는행사로변질되기도했다.

특히근대이후에는일본의영향을받은듯한등이대부분이었고,전통등불이라할팔모등이나연꽃등은명맥만유지하고있었다.국적불명의등불이사찰의연등회를차지한것이다.이런문제를인식하고개선하기위해전통등을복원하는작업이시작되었다.‘전통등’이라는용어는불교계에서문헌에만남아있던등불을복원하는과정에서생겨난말로,일본풍또는대량으로생산되던등불과차별지으며한국고유의등불이라는뜻을담아쓰게된것이고유명사처럼굳어졌다.

전통등을고증해재현하기위해1996년설립된전통등연구회는이후한국전통등연구원으로확대재편하며전통등제작및재현전,국제학술세미나개최등전통등의전승과발전에앞장서게된다.그리고이러한성과들은국가무형문화재연등회가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등재되는결정적인근거가되었다.

『연등문화의역사』
연등회기록의시작점에서다

저자들은장구한연등문화의역사를통해“연등은밤을밝히는도구를뛰어넘어우리인류가무엇을도모해야하는지를알려준다.탐욕과성냄,어리석음을훌훌벗어버리고소외된곳을밝게비추고지혜로써지구와인류를구해내야만한다는것을연등은오랜세월가르쳐왔다.”고역설한다.

대중이사랑하는문화는성장하지만대중과멀어진문화는사라지기쉽다.시대변화에발맞춘문화는살아남지만옛것만고집하다가는뒤처졌다고평가받으며사라지기도한다.

지금우리나라의연등회는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지정되어부처님오신날을기념하는행사를넘어누구나참여가능한축제로자리매김했다.한국의문화가운데인류의기나긴역사와함께하면서사람들을어우러지게하고상징성과예술성,오락성등을모두지닌것으로‘연등문화’만한것은흔치않다.이러한점에서『연등문화의역사』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연등회에더욱많은사람이관심을가지고기록하고발전시켜나가는시작점이될것으로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