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숨김과 위장에 능한 카멜레온처럼 화려하게 변신하는 배선옥의 시들
1997년 『시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회떠주는 여자』, 『오래 전의 전화번호를 기억해내다』, 『오렌지 모텔』 등 세 권의 시집을 선보였던 배선옥 시인이 네 번째 시집 『초록 가시의 시간』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56번으로 출간했다.
배선옥 시인의 네 번째 시집 『초록 가시의 시간』은 꼼꼼하고 깐깐한 시인의 내면이 다시금 발휘되는 시집이다. 직장인으로서의 치열한 일상과 시인의 의무를 팽팽하게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비법은 적당한 타협과 타협할 수 없는 세계를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솜씨에 있다. 결국 솜씨란 시인이라는 자의식을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배선옥의 시는 카멜레온처럼 시적 대상이나 배경에 따라 수시로 옷을 갈아입는다. 그의 시 색깔은 온갖 꽃들이 만발한 초원이나 울긋불긋 화려한 단풍나무숲, 황량한 모래사막 등 주변 환경과 여건에 따라 변화를 거듭한다. 시인은 위장한 채 오래 기다린다. 여간해선 움직이지 않는다. 상대방(독자)이 곁에 다가올 때까지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다. 위장을 풀고 다가서지도 않는다. 이는 첫 시집 『회 떠 주는 여자』부터 네 번째 시집 『초록 가시의 시간』까지 시인이 일관되게 견지해오고 있는 독특한 시작법(詩作法)이다.
카멜레온이 몸의 색으로 감정을 표현하듯, 시인은 화려한 수사와 묘사로 시의 본질에 다가가려 한다. 즉 시적 진술을 자제하고 비유와 묘사로 위장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철저하게 숨긴다. 또한 카멜레온이 포식자와 먹이에 들키지 않으려 신중하게 움직이는 듯, 시 한 편 한 편의 발걸음은 진중하다. 시인은 숨김과 위장을 통해 생존뿐 아니라 ‘삶의 공간’에서 존재의 파편들을 회고하고 수습하려 한다. 시의 숲에서 “새파랗게 잘 닦인 언어”(「위대한 계보」)의 향연을, 카멜레온의 화려한 변신을 지켜보는 건 상당히 즐거운 일이다.
배선옥의 시에서 ‘거리감’은 시작 자아와 사물과의 간격이면서 시간의 관념을 장착한다. 가령 「채석강」에서 “멀리 서라벌의 북소리”는 다른 곳이 아닌 바로 ‘여기’에 “돛을 내”리고, “미처 묻히지 못한 시간의 갈피”에 머문다. ‘여기’는 시적 자아가 서 있는 현실의 지점이다. 반면 ‘저기’는 시적 자아가 머물고 싶은 이상세계다. 「찬란(燦爛)」에서는 “새로 구입한 지도”를 펼쳐놓고 현실과 이상, 자아와 타아, 행복과 불행의 거리를 가늠하고 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즐거운 상상으로 채워진다. ‘여기’는 지도를 보고 있는 시적 자아와 지도 위 사막, ‘저기’는 지도 속 사막에서의 상상이다. 상상 속의 사막은 찬란하리라는 기대와 달리 낮달은 “옆얼굴만 보여주”고, “걸어갈 사막”은 멀기만 하다. ‘거기’는 상상 속 사막, ‘여기’는 “촘촘한 일상”이다. 지도 속으로의 여행은 “이제 좀 나긋해도 괜찮다”는, “반걸음 먼저 당도해 불을 댕겨놓”아도 좋을 것 같은 마음의 위안과 여유를 준다.
4부 학익동 연작시 15편의 학익동은 예전의 그악스럽고 서글픈 가난보다 그리움과 정겨움이 시인에겐 훨씬 크게 다가온 듯하다. 초록 가시 속에 숨어 있는 속살이랄까? 시인은 세상을 향해 문 두드리는 자이다. 화답은 없을지언정 함께 춤추길 권유한다. 늘 무엇인가 새로운 걸 시작하는 사람이고 늘 현재진행형이다. 제일 큰 덕목은 자기의 길을 묵묵히 가는 사람이다. 그러면서 간간이 낡은 신발에 연민을 갖기도 하고 작고 소박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지만 결코 체념하지 않는다. 부디 기름종이 이편과 저편의 간극이 더 크게 벌어져 푸른 수맥이 풍성하길. 푸른 가시가 창대하게 발광하길.
배선옥 시인의 네 번째 시집 『초록 가시의 시간』은 꼼꼼하고 깐깐한 시인의 내면이 다시금 발휘되는 시집이다. 직장인으로서의 치열한 일상과 시인의 의무를 팽팽하게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비법은 적당한 타협과 타협할 수 없는 세계를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솜씨에 있다. 결국 솜씨란 시인이라는 자의식을 잃어버리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배선옥의 시는 카멜레온처럼 시적 대상이나 배경에 따라 수시로 옷을 갈아입는다. 그의 시 색깔은 온갖 꽃들이 만발한 초원이나 울긋불긋 화려한 단풍나무숲, 황량한 모래사막 등 주변 환경과 여건에 따라 변화를 거듭한다. 시인은 위장한 채 오래 기다린다. 여간해선 움직이지 않는다. 상대방(독자)이 곁에 다가올 때까지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다. 위장을 풀고 다가서지도 않는다. 이는 첫 시집 『회 떠 주는 여자』부터 네 번째 시집 『초록 가시의 시간』까지 시인이 일관되게 견지해오고 있는 독특한 시작법(詩作法)이다.
카멜레온이 몸의 색으로 감정을 표현하듯, 시인은 화려한 수사와 묘사로 시의 본질에 다가가려 한다. 즉 시적 진술을 자제하고 비유와 묘사로 위장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철저하게 숨긴다. 또한 카멜레온이 포식자와 먹이에 들키지 않으려 신중하게 움직이는 듯, 시 한 편 한 편의 발걸음은 진중하다. 시인은 숨김과 위장을 통해 생존뿐 아니라 ‘삶의 공간’에서 존재의 파편들을 회고하고 수습하려 한다. 시의 숲에서 “새파랗게 잘 닦인 언어”(「위대한 계보」)의 향연을, 카멜레온의 화려한 변신을 지켜보는 건 상당히 즐거운 일이다.
배선옥의 시에서 ‘거리감’은 시작 자아와 사물과의 간격이면서 시간의 관념을 장착한다. 가령 「채석강」에서 “멀리 서라벌의 북소리”는 다른 곳이 아닌 바로 ‘여기’에 “돛을 내”리고, “미처 묻히지 못한 시간의 갈피”에 머문다. ‘여기’는 시적 자아가 서 있는 현실의 지점이다. 반면 ‘저기’는 시적 자아가 머물고 싶은 이상세계다. 「찬란(燦爛)」에서는 “새로 구입한 지도”를 펼쳐놓고 현실과 이상, 자아와 타아, 행복과 불행의 거리를 가늠하고 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즐거운 상상으로 채워진다. ‘여기’는 지도를 보고 있는 시적 자아와 지도 위 사막, ‘저기’는 지도 속 사막에서의 상상이다. 상상 속의 사막은 찬란하리라는 기대와 달리 낮달은 “옆얼굴만 보여주”고, “걸어갈 사막”은 멀기만 하다. ‘거기’는 상상 속 사막, ‘여기’는 “촘촘한 일상”이다. 지도 속으로의 여행은 “이제 좀 나긋해도 괜찮다”는, “반걸음 먼저 당도해 불을 댕겨놓”아도 좋을 것 같은 마음의 위안과 여유를 준다.
4부 학익동 연작시 15편의 학익동은 예전의 그악스럽고 서글픈 가난보다 그리움과 정겨움이 시인에겐 훨씬 크게 다가온 듯하다. 초록 가시 속에 숨어 있는 속살이랄까? 시인은 세상을 향해 문 두드리는 자이다. 화답은 없을지언정 함께 춤추길 권유한다. 늘 무엇인가 새로운 걸 시작하는 사람이고 늘 현재진행형이다. 제일 큰 덕목은 자기의 길을 묵묵히 가는 사람이다. 그러면서 간간이 낡은 신발에 연민을 갖기도 하고 작고 소박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지만 결코 체념하지 않는다. 부디 기름종이 이편과 저편의 간극이 더 크게 벌어져 푸른 수맥이 풍성하길. 푸른 가시가 창대하게 발광하길.
초록 가시의 시간 - 현대시세계 시인선 156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