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 쉽게 풀어쓴 원인 스님의 《초발심자경문》
《초발심자경문》은 처음 불문에 들어온 사람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귀중한 가르침으로서 옛 성인들이 말하기를, 처음 《초발심자경문》을 보고 발심하지 못하면 평생 발심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책은 스님이 되고자 들어온 사람들이 지켜야 할 것들, 주로 몸가짐(행동거지), 마음가짐(언행) 등을 조심할 것을 당부하는 책으로 비록 스님들의 필수 입문 교재이긴 하나 불자들에게도 더없이 좋은 교양서가 되는 책이다. 일반적으로 불문(승가대학)에 들어오면 처음 배우는 것이 《초발심자경문》이며, 다음으로 《치문》·《서장》·《도서》·《선요》·《절요》·《기신론》·《능엄경》·《원각경》·《금강경》·《화엄경》 그리고 수의과(隨意科)로 《법화경》을 공부한다. 그런데 《초발심자경문》은 이 모든 과정을 마친 다음에도 다시 한번 보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평생 수행자로 살아가는데 항상 옆에 두고 있어야 할 필독서이다.
특히, 원인 스님의 《초발심자경문》은 원문과 현토, 번역, 강설이 있으며 특히, 강설이 매우 교훈적이며 좋은 말씀이 많고 출가자뿐만 아니라 일반 불자들이 읽기 좋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어 불교를 공부하고자 하는 입문자에게 하나하나 가르쳐 주는 친절한 책이다. 보통 쉽게 썼다고 해도 강설의 내용이 어렵게 느껴지는데 이 책은 내용을 세심하게 풀어 설명하고 있어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초심(初心)이라는 말에 무슨 뜻이 있을까요? 초심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세간적이고 또 하나는 출가 수행적 초심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초심이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자세를 말하는 것이고, 도를 구함에 있어 초심이란 매우 순수하고 선하기 때문에 초심을 바탕으로 정진할 때 빨리 도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초심이란 도를 이룰 때까지 잃어버리면 안 되는 것입니다.
세속에서도 하는 일에 초심을 지키지 못하면 그 정체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21쪽) 불교는 이론으로 이룰 수 없습니다. 오직 가르침을 실천하는 곳에서 해탈이라는 결과를 얻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불교를 많이 안다고 번뇌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번뇌라는 것은 알고 모르는 것과 관계없이 누구나 많이 일어나지만, 대처하는 방법에서 좀 더 지혜로워야 합니다. 만일 이러한 성인들의 가르침에 따
라 배우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고자 한다면 어떤 방법보다도 빨리 성인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모르는 것보다는 아는 것이 더 낫지 않느냐고 하는데 그것 또한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14쪽)
● 초발심자경문이란 어떤 책인가
《초발심자경문》의 첫 편의 글인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은 고려시대 중엽에 보조 국사 지눌(1158~1210)이 지었다. 지눌이 조계산 수선사에서 대중을 인도하고 교화시키기 위하여 지은 기본규율서로 주요 내용은 행자의 마음가짐과 지켜야 할 규범, 일반대중이 지켜야 할 준칙, 선방에서 지켜야 할 청규 등이다. 두 번째 편의 글인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은 신라시대 원효 대사(617~686)의 저술로 수행에 필요한 마음가짐이 적혀 있고, 세 번째 편의 글인
「자경문(自警文)」은 고려 말기에 야운 스님(고려말, 생몰연대 미상)이 지었는데 수행에 필요한 마음가짐이 적혀 있다. 이 세 종류가 불교 입문자에게 더없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 권의 책으로 합본한 것이다. 초심문·발심장·자경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발심자경문》은 처음 불문에 들어온 사람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귀중한 가르침으로서 옛 성인들이 말하기를, 처음 《초발심자경문》을 보고 발심하지 못하면 평생 발심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책은 스님이 되고자 들어온 사람들이 지켜야 할 것들, 주로 몸가짐(행동거지), 마음가짐(언행) 등을 조심할 것을 당부하는 책으로 비록 스님들의 필수 입문 교재이긴 하나 불자들에게도 더없이 좋은 교양서가 되는 책이다. 일반적으로 불문(승가대학)에 들어오면 처음 배우는 것이 《초발심자경문》이며, 다음으로 《치문》·《서장》·《도서》·《선요》·《절요》·《기신론》·《능엄경》·《원각경》·《금강경》·《화엄경》 그리고 수의과(隨意科)로 《법화경》을 공부한다. 그런데 《초발심자경문》은 이 모든 과정을 마친 다음에도 다시 한번 보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평생 수행자로 살아가는데 항상 옆에 두고 있어야 할 필독서이다.
특히, 원인 스님의 《초발심자경문》은 원문과 현토, 번역, 강설이 있으며 특히, 강설이 매우 교훈적이며 좋은 말씀이 많고 출가자뿐만 아니라 일반 불자들이 읽기 좋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어 불교를 공부하고자 하는 입문자에게 하나하나 가르쳐 주는 친절한 책이다. 보통 쉽게 썼다고 해도 강설의 내용이 어렵게 느껴지는데 이 책은 내용을 세심하게 풀어 설명하고 있어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초심(初心)이라는 말에 무슨 뜻이 있을까요? 초심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세간적이고 또 하나는 출가 수행적 초심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초심이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자세를 말하는 것이고, 도를 구함에 있어 초심이란 매우 순수하고 선하기 때문에 초심을 바탕으로 정진할 때 빨리 도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초심이란 도를 이룰 때까지 잃어버리면 안 되는 것입니다.
세속에서도 하는 일에 초심을 지키지 못하면 그 정체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21쪽) 불교는 이론으로 이룰 수 없습니다. 오직 가르침을 실천하는 곳에서 해탈이라는 결과를 얻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불교를 많이 안다고 번뇌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번뇌라는 것은 알고 모르는 것과 관계없이 누구나 많이 일어나지만, 대처하는 방법에서 좀 더 지혜로워야 합니다. 만일 이러한 성인들의 가르침에 따
라 배우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고자 한다면 어떤 방법보다도 빨리 성인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모르는 것보다는 아는 것이 더 낫지 않느냐고 하는데 그것 또한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14쪽)
● 초발심자경문이란 어떤 책인가
《초발심자경문》의 첫 편의 글인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은 고려시대 중엽에 보조 국사 지눌(1158~1210)이 지었다. 지눌이 조계산 수선사에서 대중을 인도하고 교화시키기 위하여 지은 기본규율서로 주요 내용은 행자의 마음가짐과 지켜야 할 규범, 일반대중이 지켜야 할 준칙, 선방에서 지켜야 할 청규 등이다. 두 번째 편의 글인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은 신라시대 원효 대사(617~686)의 저술로 수행에 필요한 마음가짐이 적혀 있고, 세 번째 편의 글인
「자경문(自警文)」은 고려 말기에 야운 스님(고려말, 생몰연대 미상)이 지었는데 수행에 필요한 마음가짐이 적혀 있다. 이 세 종류가 불교 입문자에게 더없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 권의 책으로 합본한 것이다. 초심문·발심장·자경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발심자경문 강설 : 가장 이상적인 삶을 위한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