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가끔, 따뜻함이 눈물 나게 그립다
허윤숙 선생님은 《달고나와 이발소 그림》이란 제목으로 세 번째 저서를 발행한다. 선생님은 586세대다. 가난한 전후 세대로 태어나 반세기를 살았다. 가끔은 지금을 살아내는 게 버겁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무엇보다 어린 시절 따뜻했던 공동체에 대한 그리움이 갖고 있다. 그 그리움을 꾸역꾸역 삼키며 그리움을 책으로 토해냈다.
나이가 들면 뭐든 남들과 나누고 싶어한다. 허윤숙 선생님은 그 시절의 따뜻함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한다. 지금은 기억 속에 존재하는 6, 70년대의 가난과 사람 냄새 나는 이야기이다. 책에는 읽을거리 외에도 볼거리, 들을 거리가 있다. 그림을 좋아하는 20대 아들이 레트로 풍으로 삽화를 그렸다.가히 20대와 50대인 모자 합작인 셈이다. 이에 책을 읽으면서 6, 70년대 풍경을 엿볼 수 있는 삽화와 추억 가득한 글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먹거리, 입을 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몇십 년 전만 해도 우리에게 ‘모자람’은 일상이었다. 공책은 겉표지 안쪽까지 줄 쳐서 사용하고, 몽당연필은 볼펜 자루에 끼워 사용하는 억척을 부렸다. 그땐 그런가 보다 했다. 어디에서부터가 가난인지 알지 못했다.
물질이 행복을 좌우하는 건 절대빈곤을 벗어나는 순간뿐이라고 한다. 그 후로는 물질이 많아진다고 하여 행복 곡선이 사선을 마냥 그리지 않는다. 물질의 풍요는 ‘생태계 파괴’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도 각종 미디어에선 매일 첨단 기기를 광고한다. 광고는 모두 한 지점을 향하고 있다. ‘빠르게 할 수 있고, 나 혼자서도 행복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추억이 있어서 그립고 함께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혼술, 혼밥이 유행이다. 혼자서 먹는 밥이 진짜로 좋을까. 예전엔 ‘여럿’이어서 좋은 점이 많았다. 집에 불이 나면 이웃이 달려와서 바가지로 불을 끄고, 입맛이 없으면 동네방네 이웃을 불러 모아 양푼에 밥을 쓱쓱 비벼 먹었다. 그때 우릴 행복하게 한 건 무엇이었나. 그저 밥 한 덩이에 얹은 '따뜻함'과 이웃의 함께 하는 정이었다. 헐렁한 홑겹 이불에 두둑이 쑤셔 넣은 솜뭉치럼 따뜻하다. 그땐 그게 따뜻한 건지도 몰랐다.
사람 사이 온도가 많이 내려갔다. 가뜩이나 ‘거리 두기’로 더 식혀야 할 판이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엇이든 진짜 빨리 변한다. 이렇듯 온도나 속도에 치일 땐, 저자는 이 원고를 집필했다. 그러면 빛바랜 기억들이 촤~르~륵 살아나 ‘맞아. 그땐 그랬었지. 그게 참 불편했는데. 그래도 참 즐거웠어. 별거 없어도 뭐가 그렇게 즐거웠는지.’ 회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넉넉해졌다.
여름밤이면 가족끼리 밤하늘의 별을 헤아리면서 나누던 소박한 대화들, 골목길 담장에 벽돌로 써 놓은 낙서들, 공터에서 날리던 누런 흙먼지의 냄새. 이 모든 것이 지금은 사라져서일까. 지난 추억이 모두 눈물 나게 그립다. 그 그리움을 모아 책을 냈다.
‘달고나’라고 발음하는 순간 달큼한 향내가 코를 간질인다. ‘이발소 그림’ 하면 순박했던 장면들이 떠올라 눈이 스르르 감는다. 누군가는 ‘그깟 추억 타령’이냐고 할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에겐 ‘그깟 따뜻함’이 꼭 필요하다고. 이 책을 읽고 나서 우리에게서 조금 더 사람 냄새가 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힘들 때, 견딜 수 있는 아름다운 추억이 있어서 참 다행이다. 그래도 과거보다는 지금이 나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과거는 이렇게 여러모로 쓰인다. 눈물이 나도록 과거가 그립지만 참을 수 있다. 그리고 나의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줄 과거를 만들기 위해, 오늘을 또 흥겹게 생활해야 하겠다.
허윤숙 선생님은 《달고나와 이발소 그림》이란 제목으로 세 번째 저서를 발행한다. 선생님은 586세대다. 가난한 전후 세대로 태어나 반세기를 살았다. 가끔은 지금을 살아내는 게 버겁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무엇보다 어린 시절 따뜻했던 공동체에 대한 그리움이 갖고 있다. 그 그리움을 꾸역꾸역 삼키며 그리움을 책으로 토해냈다.
나이가 들면 뭐든 남들과 나누고 싶어한다. 허윤숙 선생님은 그 시절의 따뜻함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한다. 지금은 기억 속에 존재하는 6, 70년대의 가난과 사람 냄새 나는 이야기이다. 책에는 읽을거리 외에도 볼거리, 들을 거리가 있다. 그림을 좋아하는 20대 아들이 레트로 풍으로 삽화를 그렸다.가히 20대와 50대인 모자 합작인 셈이다. 이에 책을 읽으면서 6, 70년대 풍경을 엿볼 수 있는 삽화와 추억 가득한 글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먹거리, 입을 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몇십 년 전만 해도 우리에게 ‘모자람’은 일상이었다. 공책은 겉표지 안쪽까지 줄 쳐서 사용하고, 몽당연필은 볼펜 자루에 끼워 사용하는 억척을 부렸다. 그땐 그런가 보다 했다. 어디에서부터가 가난인지 알지 못했다.
물질이 행복을 좌우하는 건 절대빈곤을 벗어나는 순간뿐이라고 한다. 그 후로는 물질이 많아진다고 하여 행복 곡선이 사선을 마냥 그리지 않는다. 물질의 풍요는 ‘생태계 파괴’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도 각종 미디어에선 매일 첨단 기기를 광고한다. 광고는 모두 한 지점을 향하고 있다. ‘빠르게 할 수 있고, 나 혼자서도 행복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추억이 있어서 그립고 함께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혼술, 혼밥이 유행이다. 혼자서 먹는 밥이 진짜로 좋을까. 예전엔 ‘여럿’이어서 좋은 점이 많았다. 집에 불이 나면 이웃이 달려와서 바가지로 불을 끄고, 입맛이 없으면 동네방네 이웃을 불러 모아 양푼에 밥을 쓱쓱 비벼 먹었다. 그때 우릴 행복하게 한 건 무엇이었나. 그저 밥 한 덩이에 얹은 '따뜻함'과 이웃의 함께 하는 정이었다. 헐렁한 홑겹 이불에 두둑이 쑤셔 넣은 솜뭉치럼 따뜻하다. 그땐 그게 따뜻한 건지도 몰랐다.
사람 사이 온도가 많이 내려갔다. 가뜩이나 ‘거리 두기’로 더 식혀야 할 판이다.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엇이든 진짜 빨리 변한다. 이렇듯 온도나 속도에 치일 땐, 저자는 이 원고를 집필했다. 그러면 빛바랜 기억들이 촤~르~륵 살아나 ‘맞아. 그땐 그랬었지. 그게 참 불편했는데. 그래도 참 즐거웠어. 별거 없어도 뭐가 그렇게 즐거웠는지.’ 회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넉넉해졌다.
여름밤이면 가족끼리 밤하늘의 별을 헤아리면서 나누던 소박한 대화들, 골목길 담장에 벽돌로 써 놓은 낙서들, 공터에서 날리던 누런 흙먼지의 냄새. 이 모든 것이 지금은 사라져서일까. 지난 추억이 모두 눈물 나게 그립다. 그 그리움을 모아 책을 냈다.
‘달고나’라고 발음하는 순간 달큼한 향내가 코를 간질인다. ‘이발소 그림’ 하면 순박했던 장면들이 떠올라 눈이 스르르 감는다. 누군가는 ‘그깟 추억 타령’이냐고 할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에겐 ‘그깟 따뜻함’이 꼭 필요하다고. 이 책을 읽고 나서 우리에게서 조금 더 사람 냄새가 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힘들 때, 견딜 수 있는 아름다운 추억이 있어서 참 다행이다. 그래도 과거보다는 지금이 나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과거는 이렇게 여러모로 쓰인다. 눈물이 나도록 과거가 그립지만 참을 수 있다. 그리고 나의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줄 과거를 만들기 위해, 오늘을 또 흥겹게 생활해야 하겠다.
달고나와 이발소 그림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