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독자들의 가슴에 깊고 굵게 각인되어 있는
문학사상 시인들의 빛나는 등단 작품집
『영원한 빛은 어디서 오는가』
-1975년 제1회 송수권 시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38인 문학사상 등단작 수록
문학사상 시인들의 빛나는 등단 작품집
『영원한 빛은 어디서 오는가』
-1975년 제1회 송수권 시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38인 문학사상 등단작 수록
문학사상 시인들의 등단 작품집 『영원한 빛은 어디서 오는가』가 도서출판 작가에서 출간되었다.
문학사상 출신 시인들의 모임인 ‘문사문학회’ 이름으로 출간한 이 사화집에는 1975년 처음으로 문학사상 신인상에 당선한 제1회 신인 송수권 시인부터 홍영철 손종호 원희석 김완하 정끝별 강희안 정해종 장욱 유환숙 이진숙 이태관 강신애 정채원 정이랑 박해람 문혜진 구봉완 이영식 박홍점 손정순 김연숙 한용국 정진영 하상만 김지윤 한종수 임경묵 정온 손미 김학중 안채영 오주리 권박 정기석 최백규 전수오 홍인혜 등 현재에 이르기까지 38명 시인들의 빛나는 등단작과 시작메모가 수록되었다.
‘문사문학회’의 문학적 고향이자 모지인 『문학사상』은 1972년 10월에 창간되었다. 발행인 김봉규, 주간 이어령 선생의 놀라운 식견과 감각으로 우리 문단을 긴장시키며 새롭게 출발한 문예지 『문학사상』은, 매 호마다 판을 거듭하며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문학에 뜻을 둔 젊은이들에게 크나큰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기에 족했다. 그리고 1975년에 이르러 첫 시인으로 송수권 선생이 등장한다. 선생은 남도풍의 한이 서린 어조와 굵직한 톤으로 「山門에 기대어」 외 4편을 통해 등단했다. 그 첫걸음의 작품이 한국 문단에 일으킨 반향은 우리가 익히 들어 잘 알고 있다.
이후 많은 신진들이 뒤를 이어서 『문학사상』을 통해 우리 시단에 발을 들여놓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지나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사상』은 풍성한 시인들로 이어져 빛을 발하고 있으며, 시류에 얽매이지 않고 작품성을 기준으로 시인을 발굴해온 『문학사상』 신인상의 전통은 아직도 독자들 가슴에 깊고도 굵게 각인되어 있다.
그 사이에 세간의 시대상도 많이 바뀌었으며 더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이어지는 4년여의 혼란 속에서,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단절과 서로 간 괴리감을 키우기에 급급한 실정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문학이 지향해야 할 인간 사랑과 생명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게 되었음을 돌아보는 일이 시급한 과제가 아닐까 한다.
1990년대 초부터 우리는 ‘문사문학회’라는 이름 아래 함께 만나 시를 나누고 지역을 순회하며 서로를 격려해왔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을 넘어서면서 이 모임은 갑자기 소강상태로 들어간 듯하다. 그동안 우리가 간직해왔던 『문학사상』의 동료의식은 색다른 것이 아니라, 함께 하기 위한 출발의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새삼 ‘문사문학회’의 다정한 이름들이 그리움으로 다가온 것은 그동안 우리가 잊고 살아온 시간이 너무 아쉽다는 생각이 떠올랐기 때문일 것이다.
그 사이에 『문학사상』으로 등단한 시인 중에 송수권 선생과 원희석 시인은 유명을 달리하였고, 아쉽게도 생활에 바쁜 나머지 시를 놓아버린 사람도 있다. 그러나 많은 시인들이 각자 삶의 자리에서 외롭게 시를 지키기 위해 뼈를 깎는 고독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음은 자명하다. 그동안 『문학사상』을 통한 인연과 동질감이 어느 때보다 약화되고 서서히 잊혀져가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 사화집 발간을 동력으로 삼아 『문학사상』을 통해 시인으로 등극했던 감격을 되새기고, 그때의 첫 마음으로 돌아가 다시 함께 할수 있는 따뜻한 시작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서문」(문사문학회 회장 김완하) 중에서
김완하 문사문학회 회장은 “지난해와 올해 우리는 소중한 두 분을 떠나보냈”으며, “이분들이 『문학사상』을 열고 이끌어 주지 않았다면 오늘의 『문학사상』과 ‘문사문학회’는 기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본 사화집을 2022년 2월 26일 하늘문을 열고 오르신 이어령 선생님과, 2023년 1월 2일에 작고하신 임홍빈 회장님께 바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견뎌내고 탄생한 이 책은 우리를 “처음의 순간으로”, 치열했던 문청의 매혹적인 행간 속으로 데려갈 것이다.
문학사상 출신 시인들의 모임인 ‘문사문학회’ 이름으로 출간한 이 사화집에는 1975년 처음으로 문학사상 신인상에 당선한 제1회 신인 송수권 시인부터 홍영철 손종호 원희석 김완하 정끝별 강희안 정해종 장욱 유환숙 이진숙 이태관 강신애 정채원 정이랑 박해람 문혜진 구봉완 이영식 박홍점 손정순 김연숙 한용국 정진영 하상만 김지윤 한종수 임경묵 정온 손미 김학중 안채영 오주리 권박 정기석 최백규 전수오 홍인혜 등 현재에 이르기까지 38명 시인들의 빛나는 등단작과 시작메모가 수록되었다.
‘문사문학회’의 문학적 고향이자 모지인 『문학사상』은 1972년 10월에 창간되었다. 발행인 김봉규, 주간 이어령 선생의 놀라운 식견과 감각으로 우리 문단을 긴장시키며 새롭게 출발한 문예지 『문학사상』은, 매 호마다 판을 거듭하며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문학에 뜻을 둔 젊은이들에게 크나큰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기에 족했다. 그리고 1975년에 이르러 첫 시인으로 송수권 선생이 등장한다. 선생은 남도풍의 한이 서린 어조와 굵직한 톤으로 「山門에 기대어」 외 4편을 통해 등단했다. 그 첫걸음의 작품이 한국 문단에 일으킨 반향은 우리가 익히 들어 잘 알고 있다.
이후 많은 신진들이 뒤를 이어서 『문학사상』을 통해 우리 시단에 발을 들여놓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지나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사상』은 풍성한 시인들로 이어져 빛을 발하고 있으며, 시류에 얽매이지 않고 작품성을 기준으로 시인을 발굴해온 『문학사상』 신인상의 전통은 아직도 독자들 가슴에 깊고도 굵게 각인되어 있다.
그 사이에 세간의 시대상도 많이 바뀌었으며 더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이어지는 4년여의 혼란 속에서,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단절과 서로 간 괴리감을 키우기에 급급한 실정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문학이 지향해야 할 인간 사랑과 생명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게 되었음을 돌아보는 일이 시급한 과제가 아닐까 한다.
1990년대 초부터 우리는 ‘문사문학회’라는 이름 아래 함께 만나 시를 나누고 지역을 순회하며 서로를 격려해왔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을 넘어서면서 이 모임은 갑자기 소강상태로 들어간 듯하다. 그동안 우리가 간직해왔던 『문학사상』의 동료의식은 색다른 것이 아니라, 함께 하기 위한 출발의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새삼 ‘문사문학회’의 다정한 이름들이 그리움으로 다가온 것은 그동안 우리가 잊고 살아온 시간이 너무 아쉽다는 생각이 떠올랐기 때문일 것이다.
그 사이에 『문학사상』으로 등단한 시인 중에 송수권 선생과 원희석 시인은 유명을 달리하였고, 아쉽게도 생활에 바쁜 나머지 시를 놓아버린 사람도 있다. 그러나 많은 시인들이 각자 삶의 자리에서 외롭게 시를 지키기 위해 뼈를 깎는 고독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음은 자명하다. 그동안 『문학사상』을 통한 인연과 동질감이 어느 때보다 약화되고 서서히 잊혀져가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 사화집 발간을 동력으로 삼아 『문학사상』을 통해 시인으로 등극했던 감격을 되새기고, 그때의 첫 마음으로 돌아가 다시 함께 할수 있는 따뜻한 시작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서문」(문사문학회 회장 김완하) 중에서
김완하 문사문학회 회장은 “지난해와 올해 우리는 소중한 두 분을 떠나보냈”으며, “이분들이 『문학사상』을 열고 이끌어 주지 않았다면 오늘의 『문학사상』과 ‘문사문학회’는 기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본 사화집을 2022년 2월 26일 하늘문을 열고 오르신 이어령 선생님과, 2023년 1월 2일에 작고하신 임홍빈 회장님께 바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견뎌내고 탄생한 이 책은 우리를 “처음의 순간으로”, 치열했던 문청의 매혹적인 행간 속으로 데려갈 것이다.
영원한 빛은 어디서 오는가 : 문학사상 시인 등단 작품집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