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서정의 詩바다에 다다른 ‘길의 정령’
- 신정일 시집,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 신정일 시집,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걷기 열풍을 가져온 도보답사의 선구자가 펴낸 새 시집
가장 많이 걷는 이 시대의 인문학자, ‘우리땅걷기’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정일 시인이 두 번째 신작 시집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을 도서출판 작가에서 출간했다.
시인은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이사장으로 우리나라에 걷기 열풍을 가져온 도보답사의 선구자다.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동학과 동학농민 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사업을 펼쳤으며,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길 위의 인문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 10대강 도보답사를 기획하여 금강·한강· 낙동강·섬진강·영산강 5대강과 압록강·두만강·대동강 기슭을 걸었고, 우리나라 옛길인 영남대로·삼남대로·관동대로 등을 도보로 답사했으며, 400여 곳의 산을 올랐다.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동해 바닷길을 걸은 뒤 문화체육관광부에 최장거리 도보답사 길을 제안하여 ‘해파랑길’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2010년 9월에는 관광의 날을 맞아 소백산자락길, 변산마실길, 전주 천년고도 옛길 등을 만든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 자전적 이야기인 『느리게 걷는 사람』을 비롯하여 시집 『꽃의 자술서』 , 『왕릉 가는 길』 . 『신정일의 신 택리지』(전10권), 『신정일의 동학농민혁명 답사기』 등 100권이 넘는 저서를 펴냈다.
4부로 나뉘어져 총 62편의 시를 수록한 신정일 시인의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에는 시인이 걷고 또 걷는 이유에 대한 문답이 시편으로 오롯이 담겨있다.
시인은 삶의 목적이 길 위에 있는 것처럼 걷는다. 신정일의 사유는 길 위에 있고, 길은 몸으로 쓰는 원고지인 셈이다. 그는 오늘도 걷고 있을 것이며, 길에 대한 원고를 쓰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걷는다’는 행위와 ‘쓴다’는 행위는 그에게 ‘왜 사는가’와 같은 실존의 물음과 같다. 이처럼 ‘아직도’라는 단어는 신정일 시인이 육필로 쓰는 시의 문법인 셈이다.
책에서 책으로, 길에서 길로 이어진 생활,
그 길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몇 사람들과
단조롭기도 하고, 경탄을 자아내게 하는 풍경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닌 ‘길 위의 사람’이다.
그렇게 길에서 보낸 나날이 많았고,
살만큼 살았는데도
가끔씩 길에서 길을 잃고 헤맬 때가 많이 있다.
이것이 나의 길인가 싶어서 안도하면서 잠시 걷다가 보면
그 평온하던 길이 어느새 사라지고 다시 악전고투의 시절이 돌아온다.
눈앞이 캄캄한 고난 속에서, 더 이상 걸을 수가 없다는 느낌이 올 때
기다리고 기다리던 시가 나온다.
- 「시인의 말」 부분
시인은 “시는 곤궁한 다음에야 나온다.(詩窮而後工)”는 구양수의 말을 실감하며, “길은 잃을수록 좋”고 “더 많이 길을 잃고 헤매야 하는 그것이 내 운명”이라고 말한다. 시집의 제목을 ‘아직도’라는 단어로 시작한 것도 ‘걷는 인류’의 숙명을 이어받은 종족의 후예임을 자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생 인류는 아프리카 대륙의 칼라하리 사막을 떠나 약 6만 년 전부터 걸어왔다. 걷는 행위는 인류사의 기원인 셈이다. 정착지를 벗어나 위험을 무릅쓰고 처음 걸어간 이는 누구였을까? 시인은 인도와 중국을 거쳐 한반도까지 걸어온 그들의 후예인 셈이다. 현생 인류가 정착지를 떠나 걸어간 것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을 것이다.
손민호 중앙일보 레저팀장은 “신정일 선생으로부터 ‘길’과 ‘글’은 모음 하나 차이라는 걸 배웠다. 길을 걷다 보면, 걷는다 생각하지 않고, 여기저기 두리번거리고 어정거리며 해찰하면서 살다가 보면, 길이 글이 되는 이치를 휘적휘적 앞서 가는 그의 뒷모습을 보고 알았다. 글에도 스승이 있듯이 길에도 어른이 계시다. 내 책장에 또 한 권의 길을 모신다.”고 말한다.
가장 많이 걷는 이 시대의 인문학자, ‘우리땅걷기’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정일 시인이 두 번째 신작 시집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을 도서출판 작가에서 출간했다.
시인은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이사장으로 우리나라에 걷기 열풍을 가져온 도보답사의 선구자다.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동학과 동학농민 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사업을 펼쳤으며,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길 위의 인문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 10대강 도보답사를 기획하여 금강·한강· 낙동강·섬진강·영산강 5대강과 압록강·두만강·대동강 기슭을 걸었고, 우리나라 옛길인 영남대로·삼남대로·관동대로 등을 도보로 답사했으며, 400여 곳의 산을 올랐다.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동해 바닷길을 걸은 뒤 문화체육관광부에 최장거리 도보답사 길을 제안하여 ‘해파랑길’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2010년 9월에는 관광의 날을 맞아 소백산자락길, 변산마실길, 전주 천년고도 옛길 등을 만든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 자전적 이야기인 『느리게 걷는 사람』을 비롯하여 시집 『꽃의 자술서』 , 『왕릉 가는 길』 . 『신정일의 신 택리지』(전10권), 『신정일의 동학농민혁명 답사기』 등 100권이 넘는 저서를 펴냈다.
4부로 나뉘어져 총 62편의 시를 수록한 신정일 시인의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에는 시인이 걷고 또 걷는 이유에 대한 문답이 시편으로 오롯이 담겨있다.
시인은 삶의 목적이 길 위에 있는 것처럼 걷는다. 신정일의 사유는 길 위에 있고, 길은 몸으로 쓰는 원고지인 셈이다. 그는 오늘도 걷고 있을 것이며, 길에 대한 원고를 쓰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걷는다’는 행위와 ‘쓴다’는 행위는 그에게 ‘왜 사는가’와 같은 실존의 물음과 같다. 이처럼 ‘아직도’라는 단어는 신정일 시인이 육필로 쓰는 시의 문법인 셈이다.
책에서 책으로, 길에서 길로 이어진 생활,
그 길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몇 사람들과
단조롭기도 하고, 경탄을 자아내게 하는 풍경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닌 ‘길 위의 사람’이다.
그렇게 길에서 보낸 나날이 많았고,
살만큼 살았는데도
가끔씩 길에서 길을 잃고 헤맬 때가 많이 있다.
이것이 나의 길인가 싶어서 안도하면서 잠시 걷다가 보면
그 평온하던 길이 어느새 사라지고 다시 악전고투의 시절이 돌아온다.
눈앞이 캄캄한 고난 속에서, 더 이상 걸을 수가 없다는 느낌이 올 때
기다리고 기다리던 시가 나온다.
- 「시인의 말」 부분
시인은 “시는 곤궁한 다음에야 나온다.(詩窮而後工)”는 구양수의 말을 실감하며, “길은 잃을수록 좋”고 “더 많이 길을 잃고 헤매야 하는 그것이 내 운명”이라고 말한다. 시집의 제목을 ‘아직도’라는 단어로 시작한 것도 ‘걷는 인류’의 숙명을 이어받은 종족의 후예임을 자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생 인류는 아프리카 대륙의 칼라하리 사막을 떠나 약 6만 년 전부터 걸어왔다. 걷는 행위는 인류사의 기원인 셈이다. 정착지를 벗어나 위험을 무릅쓰고 처음 걸어간 이는 누구였을까? 시인은 인도와 중국을 거쳐 한반도까지 걸어온 그들의 후예인 셈이다. 현생 인류가 정착지를 떠나 걸어간 것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을 것이다.
손민호 중앙일보 레저팀장은 “신정일 선생으로부터 ‘길’과 ‘글’은 모음 하나 차이라는 걸 배웠다. 길을 걷다 보면, 걷는다 생각하지 않고, 여기저기 두리번거리고 어정거리며 해찰하면서 살다가 보면, 길이 글이 되는 이치를 휘적휘적 앞서 가는 그의 뒷모습을 보고 알았다. 글에도 스승이 있듯이 길에도 어른이 계시다. 내 책장에 또 한 권의 길을 모신다.”고 말한다.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 작가기획시선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