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걷는사람 시인선 79
최명진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 출간
“툭하면 다시 내려가자는 말 서울은
한밤에도 베개 밑으로 수도꼭지가 돌았다”
최명진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 출간
“툭하면 다시 내려가자는 말 서울은
한밤에도 베개 밑으로 수도꼭지가 돌았다”
이 세상의 가장 한심한 것들이 모여
슬프게 아름다운 노래를 만드는 순간-
생활밀착형 시(詩)가 터뜨리는 탄산수 같은 삶의 장면들
걷는사람 시인선 79번째 작품으로 최명진 시인의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가 출간되었다. 전주에서 태어난 시인은 2006년 《리토피아》 시 부문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등단 후 오랜 기간 공백을 거쳐 온 시인은 더 단단하고 성숙해진 모습으로 우리 곁에 돌아왔다. 다만, “아름다운 동화를 도저히 쓸 수 없는 일그러진 시대에서의 부조리한 삶의 단면을 냉정한 카메라의 시선으로 포착”(《리토피아》 심사평)하는 근력을 간직한 채로. 먹먹한 슬픔을 담백하면서도 유쾌하게, 때로는 열정적으로 그려낼 줄 아는 기량을 가진 최명진 시인의 풍부한 시편이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라는 첫 번째 이름으로 묶였다.
시인이 그려내는 세계는 “아무것도 아닌 것”과 “아무것도 아닌 것에/대해 생각”하는 인물들로 가득하지만, 시인은 삶과 예술이 아름답고 반짝이는 순간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니 “우− 그것도 노래라고” 말하는 이들에게 “우− 이것도 노래이니(「별이 빛나는 밤에」)”라고 선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인이 그려내는 존재들을 정말 “아무것도 아니(「괜히 나온 산책」)”라고 단언할 수 있을까.
시인의 눈에 비친 세상은 “지하 1층은 하늘 다방이 자리하고 있(「엄마손 제과」)”는 슬프고도 아이러니한 풍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도 이곳에는 “할머니를 도와 먼 버스정류장까지(「사람 마음」)” 무거운 짐을 선뜻 옮겨 드리는 이가 있고, 바구니를 들고 서 있는 사람에게 “통 크게 만 원 한 장 넣어 주(「그는 거기 서 있다」)”고도 마음이 개운치 않은 이가 있고, “무엇이 왜 그들 스스로를 버리게 하는지(「초특급삼류액션블록버스터」)”를 끊임없이 곱씹는 이가 있다. 삶을 “살아내야만(「엄마의 삶이란」)” 하는 일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 시적 화자들은 “나는 살 수 있다(「신들린 손」)” 다짐하며 타인의 마음을 외면하지 않기 위해 분투한다. 일상적인 풍경으로부터 시작되는 이들의 목소리는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열정적으로 변주되어 매 시편이 새로이 느껴진다. 그 노래를 들은 우리가 시인을 따라 흥얼거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순서인지도 모른다.
해설을 쓴 이병일 시인은 최명진의 시집이 “현실이라는 거대한 환각을 주의 깊게 포착해내고 있”다고 진단하며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를 읽는 순간, ‘일상을 있는 그대로 지각한다’와 ‘몸 자체가 세계의 한 풍경이다’라는 문장을 동시에 떠올렸다”고 고백한다. 또한, “이 세상의 가장 한심한 것들이 시를 이루게 하는 힘임을 최명진은 알고 있다. 시의 묘미는 현실의 얼굴에 있”다고 덧붙이며 최명진의 첫 시집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이 시집을 추천한 길상호 시인은 최명진의 시집이 “어느 순간 읊조리던 소리는 “샤우팅”으로 바뀌고 한없이 깊은 묵음으로 다시 이어지기도” 함을 강조하며 시인이 변주해내는 노래에 찬사를 보낸다. 또한 “그가 믿는 노래의 힘은 아름답게 지어낸 멜로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향한 지극한 마음에 있”다고 분석하며 “시인이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게 된다고 격찬한다. 이 시집을 펼친다면 도무지 “아무것도 아니(「괜히 나온 산책」)”라고 말할 수 없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노래에 흠뻑 빠지게 되는 순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슬프게 아름다운 노래를 만드는 순간-
생활밀착형 시(詩)가 터뜨리는 탄산수 같은 삶의 장면들
걷는사람 시인선 79번째 작품으로 최명진 시인의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가 출간되었다. 전주에서 태어난 시인은 2006년 《리토피아》 시 부문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등단 후 오랜 기간 공백을 거쳐 온 시인은 더 단단하고 성숙해진 모습으로 우리 곁에 돌아왔다. 다만, “아름다운 동화를 도저히 쓸 수 없는 일그러진 시대에서의 부조리한 삶의 단면을 냉정한 카메라의 시선으로 포착”(《리토피아》 심사평)하는 근력을 간직한 채로. 먹먹한 슬픔을 담백하면서도 유쾌하게, 때로는 열정적으로 그려낼 줄 아는 기량을 가진 최명진 시인의 풍부한 시편이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라는 첫 번째 이름으로 묶였다.
시인이 그려내는 세계는 “아무것도 아닌 것”과 “아무것도 아닌 것에/대해 생각”하는 인물들로 가득하지만, 시인은 삶과 예술이 아름답고 반짝이는 순간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니 “우− 그것도 노래라고” 말하는 이들에게 “우− 이것도 노래이니(「별이 빛나는 밤에」)”라고 선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인이 그려내는 존재들을 정말 “아무것도 아니(「괜히 나온 산책」)”라고 단언할 수 있을까.
시인의 눈에 비친 세상은 “지하 1층은 하늘 다방이 자리하고 있(「엄마손 제과」)”는 슬프고도 아이러니한 풍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도 이곳에는 “할머니를 도와 먼 버스정류장까지(「사람 마음」)” 무거운 짐을 선뜻 옮겨 드리는 이가 있고, 바구니를 들고 서 있는 사람에게 “통 크게 만 원 한 장 넣어 주(「그는 거기 서 있다」)”고도 마음이 개운치 않은 이가 있고, “무엇이 왜 그들 스스로를 버리게 하는지(「초특급삼류액션블록버스터」)”를 끊임없이 곱씹는 이가 있다. 삶을 “살아내야만(「엄마의 삶이란」)” 하는 일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 시적 화자들은 “나는 살 수 있다(「신들린 손」)” 다짐하며 타인의 마음을 외면하지 않기 위해 분투한다. 일상적인 풍경으로부터 시작되는 이들의 목소리는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열정적으로 변주되어 매 시편이 새로이 느껴진다. 그 노래를 들은 우리가 시인을 따라 흥얼거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순서인지도 모른다.
해설을 쓴 이병일 시인은 최명진의 시집이 “현실이라는 거대한 환각을 주의 깊게 포착해내고 있”다고 진단하며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를 읽는 순간, ‘일상을 있는 그대로 지각한다’와 ‘몸 자체가 세계의 한 풍경이다’라는 문장을 동시에 떠올렸다”고 고백한다. 또한, “이 세상의 가장 한심한 것들이 시를 이루게 하는 힘임을 최명진은 알고 있다. 시의 묘미는 현실의 얼굴에 있”다고 덧붙이며 최명진의 첫 시집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이 시집을 추천한 길상호 시인은 최명진의 시집이 “어느 순간 읊조리던 소리는 “샤우팅”으로 바뀌고 한없이 깊은 묵음으로 다시 이어지기도” 함을 강조하며 시인이 변주해내는 노래에 찬사를 보낸다. 또한 “그가 믿는 노래의 힘은 아름답게 지어낸 멜로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향한 지극한 마음에 있”다고 분석하며 “시인이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게 된다고 격찬한다. 이 시집을 펼친다면 도무지 “아무것도 아니(「괜히 나온 산책」)”라고 말할 수 없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노래에 흠뻑 빠지게 되는 순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슬픔의 불을 꺼야 하네 - 걷는사람 시인선 79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