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류 - b판시선 69

노인류 - b판시선 69

$12.00
저자

하종오

저자:하종오
시인.1954년경북의성출생.1975년<현대문학>추천으로등단.시집으로<벼는벼끼리피는피끼리><사월에서오월로><넋이야넋이로다><분단동이아비들하고통일동이아들들하고><정><꽃들은우리를봐서핀다><어미와참꽃><깨끗한그리움><님시편><쥐똥나무울타리><사물의운명><님><무언가찾아올적엔><반대쪽천국><님시집><지옥처럼낯선><국경없는공장><아시아계한국인들><베드타운><입국자들><제국(諸國또는帝國)><남북상징어사전><님시학><신북한학><남북주민보고서><세계의시간><신강화학파><초저녁><국경없는농장><신강화학파12분파><웃음과울음의순서><겨울촛불집회준비물에관한상상><죽음에다가가는절차><신강화학파33인><제주예멘><돈이라는문제><죽은시인의사회><세계적대유행><악질가><“전쟁중이니강간은나중에얘기하자?”><세개의주제와일흔일곱개의서정><어떤문장으로부터의명상>등이있다.

목차

ㅣ시인의말ㅣ5

노인류의출현10
노인류의신생12
노인류의인사14
노인류의진화16
노인류의주경야독18
노인류의식욕과물욕20
노인류의도달점22
노인류의정체성24
노인류의전성기26
노인류의앞뒤모습28
노인류의복장30
노인류의세간살이32
노인류의동년배34
노인류의포옹36
노인류의콧대38
노인류의식사40
노인류의참회록42
노인류의궁상44
노인류의간교46
노인류의회귀48
노인류의수다50
노인류의빈부52
노인류의밤비54
노인류의유산56
노인류의결여58
노인류의불평불만60
노인류의행불행63
노인류의회억66
노인류의유전69
노인류의실랑이70
노인류의감들72
노인류의노추74
노인류의교훈76
노인류의일머리78
노인류의무관심80
노인류의선택지82
노인류의호불호84
노인류의핑곗거리86
노인류의헛꿈88
노인류의반면교사90
노인류의재생92
노인류의양면성94
노인류의결락96
노인류의친불친98
노인류의강약약강100
노인류의골병102
노인류의헛나이104
노인류의지혜106
노인류의종언108
노인류의종시110

출판사 서평

“한국현대시문학사에
‘노인문학’,‘노인시’의출현”

바야흐로노인의시대라고해도좋을시대다.누구나100세시대라는말을부정하지않는다.노인인구가급속히늘고있는현상은지역적차이는있지만세계적추세다.인류의의학의발달과경제적부의증진결과일것이다.장수시대는분명축복일수있을것이다.하지만한편으로사회적차원에서미처준비되지않은여러과제들을환기시키고있는것도사실이다.노인‘문제’라는우리사회가경험하는부정적인현상으로말하고있기도하다.따라서‘축복이자문제’인인구고령화는우리사회에서아주중요한화두가아닐수없다.
그렇다면한국문학은이러한노인고령화현상과문제에대해어떻게대응했을까하는문제가대두된다고하겠다.시와소설을막론하고노인이중심으로그려진작품은쉽게찾아보기어렵다.이러한때에하종오시인은“한국시단에노시인이적지않은데도노인에관한시가별반없다.노시인이왜노인을시의주체,시의주제로시를쓰지않는가?”라는질문을던진다.그질문은한국문단에던지는질문이자자기자신을향한질문일터인데,시인은시집<노인류>로서그실천적,문학적대답을하고있기도하다.이제70대에접어든하종오시인의마흔세번째시집<노인류>는그러한의미에서충분히주목받아마땅할것이다.시인의말에따르면‘노인류(老人類,늙은사람들)’와‘노인류(老人類,노인의무리)’라는이중의적표현으로서의‘노인류’는“고령사회를살아가는노인의수가증가하고있는세태에서그노인들만인류로특정화하기위하여만든조어”이다.
흔히리얼리즘시인으로일컬어지는시인답게사회의여러문제들을빠르고정확하고능란하게작품화하고있는데고령화사회의현상과문제를한권의시집에집중적으로다루고있다.특히대도시에서청장년시기를보내고난노인들의모습과시골에서삶을마무리하려는노인들의몸짓에주목한다.이것이자기내부의시적감각과정서가자기외부의현실적다단함과변동성에정서적으로반응하는데머물지않고역동적으로파고들어서이색적이며매력적인시로씌어졌다.
하종오시인은노인류가“지혜롭다고자긍하고궁상맞다고자탄하고간교하다고자조하는특성”(노인류의출현)을지녔다고말한다.고령화하는인류의중요한한중심체로서인간의문제를내재하거나노출하는노인들을‘노인류’로지칭하고는그정체성을그렇게과감하게적시하여표현함으로써노인들의순정성과양면성을여실하게드러낸다.
문학평론가홍승진은“한국현대시문학사에없었던,고령사회에매우절실한‘노인문학’‘노인시’라는특별한장르,어쩌면기존의문학과시와는달리‘고령자문학’,‘고령자시’로특화된분류를해야할지도모를전복적장르가한국현대시에출현했다고말해도과언이아닌시들이지않은가.”라고추천사에쓰고있다.
다음의시구는인생을충분히경험해본자의,인간의삶과죽음의문제를숙고해본자의시적인식이아닐까.경외롭기까지하다.

“살아있으면늙는데늙어서살아있어야하는가?”/한노인이이화두에사로잡혀있었다/다른노인이새로운화두를던졌다/“살지도않고죽지도않으면노인일수있는가?”(노인류의지혜)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