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뒤돌아봐, 우리가 얼마나 멀리 왔는지.”
풍경처럼 돋아나는 어지럽고도 아름다운 미래
‘너’와 ‘우리’가 함께 회복해낼 희망과 애도의 세계
풍경처럼 돋아나는 어지럽고도 아름다운 미래
‘너’와 ‘우리’가 함께 회복해낼 희망과 애도의 세계
걷는사람 시인선 115
창작동인 뿔 동인 시집 『너는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출간
걷는사람 시인선 115번째 작품으로 창작동인 ‘뿔’의 동인 시집 『너는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가 출간되었다. ‘뿔’은 세 명의 젊은 시인 최지인, 양안다, 최백규가 모여 만든 미래를 지향하는 창작동인이다. 아름다움에 대해 끈덕지게 사유하는 시인들의 목소리는 분화와 합침, 생성을 거듭한 빛나는 언어의 공간으로 독자를 끌어당긴다.
‘뿔’의 시 세계는 예견된 지구의 멸망과 청년 세대의 전망 없음이 이제는 익숙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절망의 시대(성현아, 해설)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은 “내 것인데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 미래에 대해 골몰하며 의지적으로 미래를 추구하는 시도를 보인다. 재난의 잔상과 폭력이 가득하고 “전쟁을 원하는 자는 따로 있”는 “바깥”에 둘러싸인 개인이 마치 “맞지 않는 신발을 신은 것”(「회복」)만 같은 기분을 느끼고,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산책과 대화」)게 되는 일은 자연스러운 궤도인지도 모른다. 다만 ‘나’의 곁에 ‘너’가 있고, 전망 없는 이 세계에서 미래를 가꾸어 나갈 유일한 방식이 너와 함께 아름다움을 만들며 함께 아름다워지는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니 ‘뿔’이 지향하는 가치가 미래라는 단어로 귀결되는 일은 실로 자연스럽다.
나의 미래는 분명 내 것인데도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그 사실이 종종 나를 슬프게 합니다. 내 미래는 느립니다. 느린 주제에 반성이 없습니다. 문밖을 나설 용기도 없으면서 슬픔만 있습니다. 가끔은 친구들이 문을 두드립니다. 그들은 복도에 서서 나를 기다립니다. 나는 느린 속도로 외출을 준비합니다. 그들을 따라 나갑니다. 그들과 내가 함께 만든 몇 권의 책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뒤돌아봐, 우리가 얼마나 멀리 왔는지.
- 에세이 「미래 선언」 부분
불안과 무기력함을 느끼기 쉬운 세계에서는 자신을 미워하는 마음이 손쉽게 발생하고야 만다. 다만 시인들은 “나를 미워하고 있을 때도 미래는 계속 생겨”(「겨울 영혼」)난다는 서글프고도 날카로운 진실을 직시하기에, 나아가 “사랑하고 일하고 상상하고 꿈”꾸기를 멈추지 않기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의 주체성과 고유성을 지우려는 폭력적인 시도가 계속되는 재난 같은 상황에서 “아주아주 희미해지면 우리/어떻게 되는 걸까”(「산책과 대화」)라는 의문을 가지면서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살아 있어 다행이야”(「흰」)라고 용기 내어 말하고, “영원에 관한 이야기들”(「겨울 영혼」)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이다. “몸 절반이 빛 속에 있었으니 어둠도 있”(「팔레트」)다는 진실을 깨닫듯이, 이들은 어둠의 지근거리에 빛이 있다는 아이러니뿐만 아니라 슬픔과 아름다움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해낸다.
세 시인은 부조리와 불합리, 폭력과 배제, 차별과 혐오와 불화하지만, 그것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를 집요하게 목격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동시에 아름다움을 끊임없이 찾아 나서면서도 어떤 아름다움은 누군가를 죽게 만든다는 잔인한 비밀까지 빠짐없이 목도하고자 한다. 아름다움의 양면성을 세심하게 관찰하면서도 이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아름다워지려고 하는 이유는 그래야만 미래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어둡고 불안한 오늘날의 세계를 대처할 미래의 다른 이름은 다름 아닌 ‘너’다. 세 시인이 계속해서 호명하는 ‘너’는 미래의 현신이자 시집을 펼친 당신이다. 너 없이 미래가 없는 게 아니라 ‘너’가 곧 미래인 것이다. 청년 세대의 현재를 함축하는 세 시인의 목소리는 ‘우리’가 함께 희망과 애도의 세계를 회복해낼 무한하고도 아름다운 가능성을 내포한다.
창작동인 뿔 동인 시집 『너는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출간
걷는사람 시인선 115번째 작품으로 창작동인 ‘뿔’의 동인 시집 『너는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가 출간되었다. ‘뿔’은 세 명의 젊은 시인 최지인, 양안다, 최백규가 모여 만든 미래를 지향하는 창작동인이다. 아름다움에 대해 끈덕지게 사유하는 시인들의 목소리는 분화와 합침, 생성을 거듭한 빛나는 언어의 공간으로 독자를 끌어당긴다.
‘뿔’의 시 세계는 예견된 지구의 멸망과 청년 세대의 전망 없음이 이제는 익숙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절망의 시대(성현아, 해설)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은 “내 것인데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 미래에 대해 골몰하며 의지적으로 미래를 추구하는 시도를 보인다. 재난의 잔상과 폭력이 가득하고 “전쟁을 원하는 자는 따로 있”는 “바깥”에 둘러싸인 개인이 마치 “맞지 않는 신발을 신은 것”(「회복」)만 같은 기분을 느끼고,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산책과 대화」)게 되는 일은 자연스러운 궤도인지도 모른다. 다만 ‘나’의 곁에 ‘너’가 있고, 전망 없는 이 세계에서 미래를 가꾸어 나갈 유일한 방식이 너와 함께 아름다움을 만들며 함께 아름다워지는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니 ‘뿔’이 지향하는 가치가 미래라는 단어로 귀결되는 일은 실로 자연스럽다.
나의 미래는 분명 내 것인데도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그 사실이 종종 나를 슬프게 합니다. 내 미래는 느립니다. 느린 주제에 반성이 없습니다. 문밖을 나설 용기도 없으면서 슬픔만 있습니다. 가끔은 친구들이 문을 두드립니다. 그들은 복도에 서서 나를 기다립니다. 나는 느린 속도로 외출을 준비합니다. 그들을 따라 나갑니다. 그들과 내가 함께 만든 몇 권의 책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뒤돌아봐, 우리가 얼마나 멀리 왔는지.
- 에세이 「미래 선언」 부분
불안과 무기력함을 느끼기 쉬운 세계에서는 자신을 미워하는 마음이 손쉽게 발생하고야 만다. 다만 시인들은 “나를 미워하고 있을 때도 미래는 계속 생겨”(「겨울 영혼」)난다는 서글프고도 날카로운 진실을 직시하기에, 나아가 “사랑하고 일하고 상상하고 꿈”꾸기를 멈추지 않기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의 주체성과 고유성을 지우려는 폭력적인 시도가 계속되는 재난 같은 상황에서 “아주아주 희미해지면 우리/어떻게 되는 걸까”(「산책과 대화」)라는 의문을 가지면서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살아 있어 다행이야”(「흰」)라고 용기 내어 말하고, “영원에 관한 이야기들”(「겨울 영혼」)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이다. “몸 절반이 빛 속에 있었으니 어둠도 있”(「팔레트」)다는 진실을 깨닫듯이, 이들은 어둠의 지근거리에 빛이 있다는 아이러니뿐만 아니라 슬픔과 아름다움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해낸다.
세 시인은 부조리와 불합리, 폭력과 배제, 차별과 혐오와 불화하지만, 그것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를 집요하게 목격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동시에 아름다움을 끊임없이 찾아 나서면서도 어떤 아름다움은 누군가를 죽게 만든다는 잔인한 비밀까지 빠짐없이 목도하고자 한다. 아름다움의 양면성을 세심하게 관찰하면서도 이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아름다워지려고 하는 이유는 그래야만 미래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어둡고 불안한 오늘날의 세계를 대처할 미래의 다른 이름은 다름 아닌 ‘너’다. 세 시인이 계속해서 호명하는 ‘너’는 미래의 현신이자 시집을 펼친 당신이다. 너 없이 미래가 없는 게 아니라 ‘너’가 곧 미래인 것이다. 청년 세대의 현재를 함축하는 세 시인의 목소리는 ‘우리’가 함께 희망과 애도의 세계를 회복해낼 무한하고도 아름다운 가능성을 내포한다.
너는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 걷는사람 시인선 115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