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혼란한 시대, 불세출의 영웅을 통해 반복되는 역사와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그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한반도의 전쟁 역사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을 무패의 신화, 풍전등화의 조선을 구한 성웅(聖雄)이자 군신(軍神). 그의 놀라운 성과는 끊임없이 신격화되어왔고 그의 인생 역시 여러 방면으로 오랫동안 탐구와 창작의 대상이 되어 왔다.
소설 『노량, 지지 않는 별』은 이렇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전쟁과 죽음을 다룬 수많은 소설 중 하나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책은 2014년 400여 명의 애꿎은 목숨을 앗아간 맹골수도(孟骨水道)의 무정한 바다와 딸을 바다에 묻고 고통에 신음하는 아버지의 시선에서 시작하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조선을 방어하던 1598년의 전라좌수영으로 이동하면서 이 책이 단순히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고통과 영광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조선과 명, 청과 일본이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놓고 끊임없이 경쟁하며 대립하던 그때에서부터 대한민국이 세계 선진국으로 발전한 현재까지, 반복되는 역사를 거시적으로 바라보면서 책을 서술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책은 이순신의 전쟁 기록 중에서도 일본군의 음모로 인한 모함과 백의종군, 이후 노량에서의 영웅적인 승리와 죽음을 과감하게 연결하면서 ‘선조는 이순신 장군을 암살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라는 대담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신하로서 그 누구보다 충성을 다했음에도 왕에게 증오와 질투를 받아야 했고, 때로는 조선을 구하기 위해 억울한 자들을 베기도 해야만 했던 이순신의 고뇌, 서로조차 믿을 수 없었던 아버지(선조)와 아들(광해)의 비극에서 드러나는 냉혹한 권력 투쟁의 궁궐, 조선을 멸시하지만 이순신은 존경했던 명나라와 일본의 장수들, 같은 백두산의 후예로서 형제의 나라라는 의식과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에 빠져 자신들을 멸시하는 조선에 대한 증오가 공존하는 청나라 세력의 개입까지… 신념과 신념, 욕망과 욕망이 교차하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이 만들어가는 희비극 속에서 장한성 저자는 오늘날까지도 반복되는 국가와 권력에 대한 거대한 질문을 독자들에게 던진다.
“나라의 근본이 되는 것은 왕(王)인가 백성(民)인가?”
“신하에게 있어서 왕에 대한 충(忠)이 먼저인가 백성에 대한 애(愛)가 먼저인가?”
소설 『노량, 지지 않는 별』은 이렇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전쟁과 죽음을 다룬 수많은 소설 중 하나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책은 2014년 400여 명의 애꿎은 목숨을 앗아간 맹골수도(孟骨水道)의 무정한 바다와 딸을 바다에 묻고 고통에 신음하는 아버지의 시선에서 시작하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조선을 방어하던 1598년의 전라좌수영으로 이동하면서 이 책이 단순히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고통과 영광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조선과 명, 청과 일본이 동아시아의 주도권을 놓고 끊임없이 경쟁하며 대립하던 그때에서부터 대한민국이 세계 선진국으로 발전한 현재까지, 반복되는 역사를 거시적으로 바라보면서 책을 서술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책은 이순신의 전쟁 기록 중에서도 일본군의 음모로 인한 모함과 백의종군, 이후 노량에서의 영웅적인 승리와 죽음을 과감하게 연결하면서 ‘선조는 이순신 장군을 암살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라는 대담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신하로서 그 누구보다 충성을 다했음에도 왕에게 증오와 질투를 받아야 했고, 때로는 조선을 구하기 위해 억울한 자들을 베기도 해야만 했던 이순신의 고뇌, 서로조차 믿을 수 없었던 아버지(선조)와 아들(광해)의 비극에서 드러나는 냉혹한 권력 투쟁의 궁궐, 조선을 멸시하지만 이순신은 존경했던 명나라와 일본의 장수들, 같은 백두산의 후예로서 형제의 나라라는 의식과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에 빠져 자신들을 멸시하는 조선에 대한 증오가 공존하는 청나라 세력의 개입까지… 신념과 신념, 욕망과 욕망이 교차하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이 만들어가는 희비극 속에서 장한성 저자는 오늘날까지도 반복되는 국가와 권력에 대한 거대한 질문을 독자들에게 던진다.
“나라의 근본이 되는 것은 왕(王)인가 백성(民)인가?”
“신하에게 있어서 왕에 대한 충(忠)이 먼저인가 백성에 대한 애(愛)가 먼저인가?”
노량, 지지 않는 별 : 1598년 11월 19일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