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이 책은 우리 시대의 '보기(seeing)'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 온갖 미디어를 통해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영상 이미지들을 우리는 어떻게 보고 있는가? 무기력하게 현혹되는가, 저항적으로 해석하는가? 영상 콘텐츠들을 공들여 보기보다는 데이터처럼 무감하게 처리하는 데에 급급한 시대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점점 더 '미학적 시선'을 잃어가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시대에 주체적으로 본다는 것, 지혜롭게 본다는 것, 인간적이고 윤리적으로 본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1부 '“I am kino-eye”, 시각의 우상화'는, 카메라와 영화로 대표되는 기계의 눈이 보편화되면서 발생하는 보기와 앎의 긴장관계, 상시적인 감시의 문제점을 다루었고, 2부 시각의 유토피아 혹은 디스토피아'에서는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영상 콘텐츠들이 특정한 '보기'의 태도를 유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윤리적 난점을 다루었다. 이어 3부 ''타인의 고통과 '보기'의 윤리학'에서는 영상 미디어가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다루는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재현의 윤리'와 '보기의 윤리'를 탐구하였으며, 마지막 4장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 시각과 속도'에서는 시각과 속도를 핵심 명제로 추구한 프랑스의 철학자 폴 비릴리오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텍스트들을 분석하였다.
누구나 스마트폰과 같은 자기만의 기계의 눈을 소유하게 된 시대다. 우리는 기계를 사용하는 사람과 기계에게 사용당하는 사람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모든 진정한 이해는 세계를 보이는 대로 보지 않을 때, 보이는 대로 보는 것을 거부할 때 시작된다. 영화가 예술인 이유는 보이는 것을 보이는 대로 담아 전달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카메라라는 미학적 눈으로 대상과 현상을 의심하고 회의하고 숙고하면서 그 대상과 현상을 꿰뚫어 보고자 분투한다. 눈만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온 지성, 감성, 상상력, 나아가 마음의 눈까지 종합해서 보려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1부 '“I am kino-eye”, 시각의 우상화'는, 카메라와 영화로 대표되는 기계의 눈이 보편화되면서 발생하는 보기와 앎의 긴장관계, 상시적인 감시의 문제점을 다루었고, 2부 시각의 유토피아 혹은 디스토피아'에서는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영상 콘텐츠들이 특정한 '보기'의 태도를 유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윤리적 난점을 다루었다. 이어 3부 ''타인의 고통과 '보기'의 윤리학'에서는 영상 미디어가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다루는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재현의 윤리'와 '보기의 윤리'를 탐구하였으며, 마지막 4장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 시각과 속도'에서는 시각과 속도를 핵심 명제로 추구한 프랑스의 철학자 폴 비릴리오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텍스트들을 분석하였다.
누구나 스마트폰과 같은 자기만의 기계의 눈을 소유하게 된 시대다. 우리는 기계를 사용하는 사람과 기계에게 사용당하는 사람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모든 진정한 이해는 세계를 보이는 대로 보지 않을 때, 보이는 대로 보는 것을 거부할 때 시작된다. 영화가 예술인 이유는 보이는 것을 보이는 대로 담아 전달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카메라라는 미학적 눈으로 대상과 현상을 의심하고 회의하고 숙고하면서 그 대상과 현상을 꿰뚫어 보고자 분투한다. 눈만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온 지성, 감성, 상상력, 나아가 마음의 눈까지 종합해서 보려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디지털 시각 테크놀로지와 광학(光學) : 새로운 영화 눈Kino-Eye의 상상력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