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인간은 결코 중립적인 용어인 적 없었다
서양사 전반을 지배해 온 인간 중심적 이분법,
동물·생태·사물을 주변에 놓고 인간에게 너무 많은 것을
부여한 인간 중심주의 이후에는 무엇이 오는가?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시각을 한데 모은
『인간 이후: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
이 책은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의 학술연구총서 시리즈의 열한 번째 책이다. 사업단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의 일환으로 ‘혐오 시대, 인문학의 대응’이라는 어젠다 연구를 진행 중으로, 혐오 현상의 복잡성에 부응하는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의 포스트휴머니즘은 패권적 인식론이 배제해 온 세계에 대한 문제의식과 대멸종, 기후 변화,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가 불러온 시의성으로 인해 중요성이 환기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사상적 뿌리들은 ‘포스트휴먼’이 똑같은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저자들은 인간 이후의 지식 생산의 실천과 정치는 무엇일지를 자세히 기록하면서,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지형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의 공간들을 모색해 나간다.
패권적 인식론은 세계의 너무 많은 부분을 배제해 왔다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와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시의성
1960년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출발은 백인 남성 성인 이성애자 비장애인 중심의 ‘휴머니즘’을 해체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 의장은 ‘제4차 산업혁명’ 논의와 함께 ‘포스트휴먼’을 언급했다. 2025년 현재 포스트휴머니즘은 공인된 서구 지식 체계의 편협성에 대해 저항하고 인간 이후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문화이며 이론이자 비평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너무 많은 특권을 부여받아 온 인간은 중립적인 용어인 적 없었던 것처럼, 인종주의, 능력주의 성차별주의, 계급주의와 공동으로 잉태된 산물이기도 하다. 우리가 매일 목도하는 기후 변화, 대멸종,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들은 동물, 생태, 사물을 주변에 놓았던 과거와 인간에게 부여했던 특권을 중지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킨다.
“『인간 이후』에 실린 연구들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지 않은 지식 대상과 영역에 비평적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모든 장들은 서구 사상의 근거가 된 위계적 이분법과 ‘인간’이 그 안에서 차지해 온 특권적 지위를 심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부함으로써 지식과 나아가 세계를 재생산하는 작업의 윤리적·정치적 기획에 참여한다.”(편저자 셰릴 빈트의 「서론」 중에서)
『에스에프 에스프리』의 저자 셰릴 빈트, 『말, 살, 흙』의 스테이시 앨러이모, 『포스트휴머니즘』의 슈테판 헤르브레히터를 비롯한 저자 17인은 현재의 포스트휴머니즘 분야를 구성하는 다양한 대화들을 기록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고 ‘포스트’의 중의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대화가 등장할 수 있는 지점들을 주목하고 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살피다
‘포스트휴먼’ 정의의 어려움과 ‘포스트’의 중의성은 ‘포스트휴머니즘’이 향하는 방향의 성질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포스트휴먼을 인간을 넘어서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인간’이라는 범주를 온전히 부여받은 적 없는, 배제되어 온 사람들에게 ‘인간 너머’는 잘못된 방향으로 여겨질 것이다. 저자들이 포스트휴먼을 ‘인간 이후’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는 포스트휴먼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이 논의를 구성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즉 이제까지 간과되어 온 다수의 목소리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담론 안에서 포착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간 이후』를 읽어 나가는 첫 번째 관점은 과학 기술에 포화 또는 의존하는 광범위한 일상생활을 의식하는 것이다. 이 관점은 인간 이후에 무엇이 올지를 다루는 논의로 포스트휴머니즘이 시의적절함을 알게 한다. 두 번째 관점은 비인간에 대한 관심이다. 이제는 널리 알려진 인류세라는 시대 구분은 세계의 다양한 종과 물질, 즉 기계, 동물, 생명, 무기물에 대해 그리고 그들과 함께 생각하기를 요청한다. 세 번째 관점은 인간 이후의 세계를 지각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이다. 철학에서는 신유물론과 사변적 실재론을, 새로운 연구 주제로서 생명 정치와 비판적 인종 연구를,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는 사변 소설(SF)와 바이오아트를 다룬다. 이 세 가지 관점을 통해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과 그 담론이 과다대표된 인간에 맞서는지 아니면 그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동물·생태·사물을 주변에 놓고 인간에게 너무 많은 것을
부여한 인간 중심주의 이후에는 무엇이 오는가?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시각을 한데 모은
『인간 이후: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
이 책은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의 학술연구총서 시리즈의 열한 번째 책이다. 사업단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의 일환으로 ‘혐오 시대, 인문학의 대응’이라는 어젠다 연구를 진행 중으로, 혐오 현상의 복잡성에 부응하는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의 포스트휴머니즘은 패권적 인식론이 배제해 온 세계에 대한 문제의식과 대멸종, 기후 변화,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가 불러온 시의성으로 인해 중요성이 환기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사상적 뿌리들은 ‘포스트휴먼’이 똑같은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저자들은 인간 이후의 지식 생산의 실천과 정치는 무엇일지를 자세히 기록하면서,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지형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의 공간들을 모색해 나간다.
패권적 인식론은 세계의 너무 많은 부분을 배제해 왔다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와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시의성
1960년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출발은 백인 남성 성인 이성애자 비장애인 중심의 ‘휴머니즘’을 해체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 의장은 ‘제4차 산업혁명’ 논의와 함께 ‘포스트휴먼’을 언급했다. 2025년 현재 포스트휴머니즘은 공인된 서구 지식 체계의 편협성에 대해 저항하고 인간 이후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문화이며 이론이자 비평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너무 많은 특권을 부여받아 온 인간은 중립적인 용어인 적 없었던 것처럼, 인종주의, 능력주의 성차별주의, 계급주의와 공동으로 잉태된 산물이기도 하다. 우리가 매일 목도하는 기후 변화, 대멸종,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들은 동물, 생태, 사물을 주변에 놓았던 과거와 인간에게 부여했던 특권을 중지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킨다.
“『인간 이후』에 실린 연구들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지 않은 지식 대상과 영역에 비평적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모든 장들은 서구 사상의 근거가 된 위계적 이분법과 ‘인간’이 그 안에서 차지해 온 특권적 지위를 심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부함으로써 지식과 나아가 세계를 재생산하는 작업의 윤리적·정치적 기획에 참여한다.”(편저자 셰릴 빈트의 「서론」 중에서)
『에스에프 에스프리』의 저자 셰릴 빈트, 『말, 살, 흙』의 스테이시 앨러이모, 『포스트휴머니즘』의 슈테판 헤르브레히터를 비롯한 저자 17인은 현재의 포스트휴머니즘 분야를 구성하는 다양한 대화들을 기록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고 ‘포스트’의 중의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대화가 등장할 수 있는 지점들을 주목하고 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살피다
‘포스트휴먼’ 정의의 어려움과 ‘포스트’의 중의성은 ‘포스트휴머니즘’이 향하는 방향의 성질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포스트휴먼을 인간을 넘어서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인간’이라는 범주를 온전히 부여받은 적 없는, 배제되어 온 사람들에게 ‘인간 너머’는 잘못된 방향으로 여겨질 것이다. 저자들이 포스트휴먼을 ‘인간 이후’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는 포스트휴먼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이 논의를 구성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즉 이제까지 간과되어 온 다수의 목소리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담론 안에서 포착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간 이후』를 읽어 나가는 첫 번째 관점은 과학 기술에 포화 또는 의존하는 광범위한 일상생활을 의식하는 것이다. 이 관점은 인간 이후에 무엇이 올지를 다루는 논의로 포스트휴머니즘이 시의적절함을 알게 한다. 두 번째 관점은 비인간에 대한 관심이다. 이제는 널리 알려진 인류세라는 시대 구분은 세계의 다양한 종과 물질, 즉 기계, 동물, 생명, 무기물에 대해 그리고 그들과 함께 생각하기를 요청한다. 세 번째 관점은 인간 이후의 세계를 지각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이다. 철학에서는 신유물론과 사변적 실재론을, 새로운 연구 주제로서 생명 정치와 비판적 인종 연구를,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는 사변 소설(SF)와 바이오아트를 다룬다. 이 세 가지 관점을 통해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과 그 담론이 과다대표된 인간에 맞서는지 아니면 그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인간 이후 :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 (양장)
$5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