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생태적 참회를 촉구하는 예언자적 상상력
2000년 《문학세계》로 등단한 이후 우리 사회의 소외와 진실을 탐구하며 공존의 세계를 밀도 있게 그려온 이종인 시인의 네 번째 시집 『사라진 후』가 세종마루시선 열다섯 번째 시리즈로 나왔다.
이번 시집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지구생태계의 위기와 성찰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거나 곧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는 자연 생태계 고찰, 그리고 무분별한 자원 소비와 탐욕으로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대한 참회의 기록이다. 더불어 이를 극복할 치유책으로 모든 만물과 생명을 아끼고 사랑하는 영성적 의지를 그려내는 시인의 감각은 예리하면서도 간절하게 빚어진다.
이를테면 풍뎅이와 사람들이 떠나고 “울창한 숲도/절반이 깎이고, 사라지고”있는 시골 마을을 돌아보며 “아! 너무 오랫동안/나는 숲속을 떠나 있었구나.” 탄식하는 「떠난 풍뎅이」라든가 “하얀 눈이 작은 얼음으로/얼음 알갱이가 눈물이 되기까지/나는 몰랐다/거리를 지나다가 내 발을 붙잡는 것은/누군가의 눈물이었다”라는 「눈, 물」 등의 시가 그것이다.
이종인 시인은 스쳐가는 바람에서도 사랑의 숨결을 읽어내는 시인이다.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염려하면서 “생각만으로/세상은 움직이지 않는다”(「생각만으로」)라거나 “희망을 꿈꾸는 것도 사랑이리라”(「에덴의 그림자」)면서 지구상의 모든 것들과 함께 공존, 상생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 행동하는 자세를 제시한다. 그 마음이 〈시인 수첩〉에 잘 담겨 있다.
“나는 이 시집을 쓰면서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겪었다. 쉽지 않은 주제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실을 망각하고 뒷짐을 질 수는 없었다. 시인은 시를 써야 한다. 어쩌면 사명감인지도 모른다. 덕분에 시인의 감수성에 기대어 현실을 비판하고 대안을 찾고 그것을 시적인 언어로 다듬었다. 어떤 결과가 있을지 나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나는 시인의 감수성에 의존했다는 것이고, 시를 썼다는 것이고, 이제 독자가 읽을 차례라는 것이다.”(시인 수첩에서)
이번 시집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지구생태계의 위기와 성찰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거나 곧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는 자연 생태계 고찰, 그리고 무분별한 자원 소비와 탐욕으로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대한 참회의 기록이다. 더불어 이를 극복할 치유책으로 모든 만물과 생명을 아끼고 사랑하는 영성적 의지를 그려내는 시인의 감각은 예리하면서도 간절하게 빚어진다.
이를테면 풍뎅이와 사람들이 떠나고 “울창한 숲도/절반이 깎이고, 사라지고”있는 시골 마을을 돌아보며 “아! 너무 오랫동안/나는 숲속을 떠나 있었구나.” 탄식하는 「떠난 풍뎅이」라든가 “하얀 눈이 작은 얼음으로/얼음 알갱이가 눈물이 되기까지/나는 몰랐다/거리를 지나다가 내 발을 붙잡는 것은/누군가의 눈물이었다”라는 「눈, 물」 등의 시가 그것이다.
이종인 시인은 스쳐가는 바람에서도 사랑의 숨결을 읽어내는 시인이다.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염려하면서 “생각만으로/세상은 움직이지 않는다”(「생각만으로」)라거나 “희망을 꿈꾸는 것도 사랑이리라”(「에덴의 그림자」)면서 지구상의 모든 것들과 함께 공존, 상생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 행동하는 자세를 제시한다. 그 마음이 〈시인 수첩〉에 잘 담겨 있다.
“나는 이 시집을 쓰면서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겪었다. 쉽지 않은 주제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실을 망각하고 뒷짐을 질 수는 없었다. 시인은 시를 써야 한다. 어쩌면 사명감인지도 모른다. 덕분에 시인의 감수성에 기대어 현실을 비판하고 대안을 찾고 그것을 시적인 언어로 다듬었다. 어떤 결과가 있을지 나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나는 시인의 감수성에 의존했다는 것이고, 시를 썼다는 것이고, 이제 독자가 읽을 차례라는 것이다.”(시인 수첩에서)

사라진 후 - 세종마루시선 15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