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한국최초의종합잡지『조선지광』영인본발간
연세대학교근대한국학연구소(소장고석주)는근대한국학10번째자료총서로『조선지광(朝鮮之光)』의영인본(전12권)을발간했다.
1922년11월창간호가발간된조선지광은1932년3월101호를마지막으로종간될때까지10년을지속한근대한국최초의종합잡지중하나이다.1920년대전반기와후반기출판기록을동시에가지고있는유일한종합잡지이며,1920년대후반유물론논쟁을주도하는등사회주의적논조를대변했다.
기존에간행된『조선지광』영인본이인쇄품질이떨어지고누락권호가많아연구자들사이에서활용도가떨어진다는지적이있었기에,이번영인본은원본잡지를고해상도로스캔한사본을기반으로제작되었다.비틀어진열을편집기술을통해바로잡고,영인본기준의쪽수를표기해인용의용이성을높였다.
특히지금까지영인본에수록되지않았던17개호의자료가(2호,21~24호,호외,27~28호,58~59호,61~62호,66호,71호,93호,96호,100호)이번에새로소개된다.여기에는1920년대전반사회주의사상도입기의이론수용의과정과1920년대후반비판적농촌경제담론의전개양상,그리고프롤레타리아소설등사료적가치가높은기사들이많이수록되어있다.
해제를작성한한국학중앙연구원장신교수는새영인본의출간으로언론사뿐아니라사회주의사상사와운동사등에서도새로운평가를기대할수있게되었다”라고평했다.
근대한국학연구소는‘『조선지광』으로읽는식민지사회주의와조선학의지형’이란제목으로학술대회를개최하기도했으며관련논문을모아연구총서로간행할계획이다.연구소는이번영인본간행이일제의식민통치에맞서새로운지식을수용하고발전시키고자한근대한국의면모를밝히는계기가되기를희망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