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지광 세트 (12권) - 연세근대한국학자료총서 10 (양장)

조선지광 세트 (12권) - 연세근대한국학자료총서 10 (양장)

$1,600.00
Description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소장 고석주)는 근대한국학 10번째 자료총서로 『조선지광(朝鮮之光)』의 영인본(전12권)을 발간했다.

1922년 11월 창간호가 발간된 조선지광은 1932년 3월 101호를 마지막으로 종간될 때까지 10년을 지속한 근대 한국 최초의 종합잡지 중 하나이다. 1920년대 전반기와 후반기 출판 기록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유일한 종합잡지이며, 1920년대 후반 유물론 논쟁을 주도하는 등 사회주의적 논조를 대변했다.

기존에 간행된 『조선지광』 영인본이 인쇄 품질이 떨어지고 누락 권호가 많아 연구자들 사이에서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기에, 이번 영인본은 원본 잡지를 고해상도로 스캔한 사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비틀어진 열을 편집 기술을 통해 바로 잡고, 영인본 기준의 쪽수를 표기해 인용의 용이성을 높였다.

특히 지금까지 영인본에 수록되지 않았던 17개 호의 자료가(2호, 21~24호, 호외, 27~28호, 58~59호, 61~62호, 66호, 71호, 93호, 96호, 100호) 이번에 새로 소개된다. 여기에는 1920년대 전반 사회주의 사상 도입기의 이론 수용의 과정과 1920년대 후반 비판적 농촌 경제 담론의 전개 양상, 그리고 프롤레타리아 소설 등 사료적 가치가 높은 기사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해제를 작성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신 교수는 "새 영인본의 출간으로 언론사뿐 아니라 사회주의 사상사와 운동사 등에서도 새로운 평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평했다.

근대한국학연구소는 ‘『조선지광』으로 읽는 식민지 사회주의와 조선학의 지형’이란 제목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기도 했으며 관련 논문을 모아 연구 총서로 간행할 계획이다. 연구소는 이번 영인본 간행이 일제의 식민 통치에 맞서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고 발전시키고자 한 근대 한국의 면모를 밝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저자

심희찬,홍정완,현명호

저자:심희찬
일본릿쿄대학대학원문학박사.일본리쓰메이칸대학대학원문학박사.일본문부성외국인특별연구원,원광대학교한중관계연구원HK연구교수등을역임.대표논저로「해방이후북한의역사학계와박시형:혁명적역사학의조건들」(『한국사학보』83,2021),「조선적인것과‘모노노아와레’:식민지에서상징계구축하기」(『일본사상』39,2020),「근대전환기신문·잡지역사관련기사데이터베이스검토:‘한국사’서술의변화양상을중심으로」(『역사문제연구』24-1,2020)등다수.

저자:홍정완
한국근현대사상사를공부했다.연세대학교대학원사학과에서전후한국사회과학연구와근대화담론의형성을주제로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연세대학교근대한국학연구소HK연구교수로재직중이며,1960~80년대한국사회과학과역사학에관한공부를이어가고있다.저서로는『함께움직이는거울,‘아시아’』,『6·25전쟁과냉전지식체계의형
성』,『디지털인문학과근대한국학』(이상공저)등이있으며,논문으로는「전후재건과지식인층의‘道義’담론」,「해방이후남한‘국민운동(國民運動)’의국가·국민론과교토학파의철학」,「일제하~해방후한치진(韓稚振)의학문체계정립과‘민주주의’론」등이있다.

저자:현명호
연세대학교근대한국학연구소연구교수
뉴욕대학교동아시아학과박사졸업
논저:「원산총파업의공간적전개」외

목차


01권1922.11~1926.11(1~61호)
02권1926.12~1927.3(62~65호)
03권1927.4~1927.6(66~68호)
04권1927.7~1927.9(69~71호)
05권1927.1~1927.12(72~74호)
06권1928.1~1928.4(75~77호)
07권1928.5~1928.12(78~81호)
08권1929.1~1929.4(82~84호)
09권1929.6~1929.9(85~87호)
10권1929.11~1930.3(88~90호)
11권1930.6~1932.2(91~100호)
12권-주보·호외편1925.10~1925.11(21~28호)

출판사 서평


근대한국최초의종합잡지『조선지광』영인본발간

연세대학교근대한국학연구소(소장고석주)는근대한국학10번째자료총서로『조선지광(朝鮮之光)』의영인본(전12권)을발간했다.

1922년11월창간호가발간된조선지광은1932년3월101호를마지막으로종간될때까지10년을지속한근대한국최초의종합잡지중하나이다.1920년대전반기와후반기출판기록을동시에가지고있는유일한종합잡지이며,1920년대후반유물론논쟁을주도하는등사회주의적논조를대변했다.

기존에간행된『조선지광』영인본이인쇄품질이떨어지고누락권호가많아연구자들사이에서활용도가떨어진다는지적이있었기에,이번영인본은원본잡지를고해상도로스캔한사본을기반으로제작되었다.비틀어진열을편집기술을통해바로잡고,영인본기준의쪽수를표기해인용의용이성을높였다.

특히지금까지영인본에수록되지않았던17개호의자료가(2호,21~24호,호외,27~28호,58~59호,61~62호,66호,71호,93호,96호,100호)이번에새로소개된다.여기에는1920년대전반사회주의사상도입기의이론수용의과정과1920년대후반비판적농촌경제담론의전개양상,그리고프롤레타리아소설등사료적가치가높은기사들이많이수록되어있다.

해제를작성한한국학중앙연구원장신교수는새영인본의출간으로언론사뿐아니라사회주의사상사와운동사등에서도새로운평가를기대할수있게되었다”라고평했다.

근대한국학연구소는‘『조선지광』으로읽는식민지사회주의와조선학의지형’이란제목으로학술대회를개최하기도했으며관련논문을모아연구총서로간행할계획이다.연구소는이번영인본간행이일제의식민통치에맞서새로운지식을수용하고발전시키고자한근대한국의면모를밝히는계기가되기를희망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