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게 늙는 사회 : 가장 오래 살아야 할 세대, 건강통계로 생각하다

젊게 늙는 사회 : 가장 오래 살아야 할 세대, 건강통계로 생각하다

$19.29
저자

조병희,정영일

저자:조병희
서울대명예교수.우리나라보건사회학의1세대대표학자.서울대사회학과대학원재학중우연한기회에의과대학에서수행하는지역사회의학프로젝트에참여하면서사회와의료의관계에관심을갖게되었다.도미하여위스콘신-매디슨대학에서사회학박사학위를받고서울대보건대학원교수를역임했다.의사의권력화에대한연구로≪한국의사의위기와생존전략≫,≪의료개혁과의료권력≫을집필하였다.또한에이즈와동성애낙인과차별을탐구하여≪섹슈얼리티와위험연구≫를저술하고한국에이즈퇴치연맹부회장직을수행하기도했다.최근10년간통계청에서발간하는≪한국의사회동향≫편집에참여하면서보건통계의대중화작업을진행하였다.기타저서로는≪질병과의료의사회학≫,≪아픈사회를넘어≫(공저)등이있다.

저자:정영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보건환경학과교수.중앙대에서약학으로학사학위를취득하고보건학분야중건강정책과노인보건을전공하여서울대에서석사와박사학위를받았다.격변하는인구구조의변화속에서건강증진과건강노화를위한새로운전략마련에학문적관심을두고건강정보활용,개인역량강화,건강서비스개발과적용등에관한연구와과제를수행하고있다.≪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보건의사소통≫,≪보건교육방법론≫,≪조사방법론≫등의저서가있다.

목차


머리말

01.건강과통계의관계

일상과통계Statistics와State,통계와국가건강측정과지표건강통계프레임워크란공동의대응

02.가장오래생生,존하는세대

건강에대한관점긍정적그리고부정적건강관사회의학의탄생신체-정신-사회포괄하는전인적건강의료의과잉성장과의료사회학의저성장압축기대수명
사회적불평등과기대수명의관계생의마지막10년은아픈채로주관적건강의중요성과함정건강한출산보다출산률?웰빙,건강과행복

03.노쇠하는청靑,년기의몸

불건강할자유를허용하는사회피해자탓하기생물학적몸과사회적몸청소년비만율낮은생활만족도와운동음주·흡연의감소추세우울감과자살의상관흡연에도계급있다술권하는사회의건강성인의식이,비만,신체활동

04.질병病,발생의불평등

질병발생에대한사회적관점들역학적관점과개인탓건강불평등질병의사회적의미병에걸리는빈도감염병과보건안보만성질환에시달리는노년암
흔해져버린정신장애스트레스인지율가장높은30대여성우울감경험률높은70대여성삶의조건과정신건강그리고극단적선택

05.웰다잉을위한의醫,료

1990년,국가의본격개입의사는부족한가‘세계최고의병상수’의속뜻의료이용의과정경쟁,병원에자주가게되는이유종별진료환자수와요양급여비경상의료비

06.실현가능한건강노老,화

85세넘는인구의증가한국,기대수명90세돌파하는최초의국가알츠하이머가앗아간인지건강노인의료비부담증가는당연한가안전한의약품사용을위한전략장기요양,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건강노화의노란신호등‘노쇠전단계’건강노화결정요인

07.웰빙의연장존엄한사死,망

나쁜죽음과좋은죽음사망장소는삶의질사망원인통계집계과정죽음의역학적변천외인사,사고와스스로맞는죽음왜스스로삶을마감하는가안락한죽음을선택할권리?

08.오래살아야할세대의대응

왜누구는오래살고누구는일찍죽을까?건강한사회의교육과정책나의순수한의지인가불건강한생활습관,제도로바꿔라

출판사 서평

초고령사회의막대한의료비는숙명이아니다
건강은생물학적현상이자사회적현상!
질병예방과건강증진을위한우리의역할은무엇인가

초고령사회의건강에대한논의는주로노인개인의질병문제에국한되는경향이있다.그러나초고령사회의건강은'개인'과더불어'사회'차원에서도살펴야하며,노인의말년뿐만아니라젊은세대가건강하게나이드는일까지포함하여생각해야한다.

건강은생물학적현상이자사회적현상이다.이책에서다루는건강통계는우리사회가당면한건강문제의전체적인경향과지표를제공하여그속에서나의건강상태가어느정도인지가늠할수있도록돕는다.또한이를통해현재의개인치료중심보다질병예방체제의효율성을보여주어,건강이라는사회적현상에대한진일보한방향을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