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ㆍ동물 민속지 : 역사와 문화를 읽는 또 하나의 코드 - 문화와 역사를 담다 68

인간ㆍ동물 민속지 : 역사와 문화를 읽는 또 하나의 코드 - 문화와 역사를 담다 68

$25.55
Description
이 책은 한국민속학의 미개척 분야 중 하나인 ‘동물 민속’에 관한 연구이다.
동물 민속 연구는 다른 분야의 민속 연구와 달리 고고 출토품 및 미술 자료 등 구체적인 동물 표현물(表現物)과 그 기본 속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민속학적 연구 성과뿐 아니라, 고고학적 발굴과 성과물, 동물이 묘사된 미술사적 유적과 유물, 동물 자체에 대한 동물학(動物學) 등을 아우르는 접근과 방법론을 찾아야 한다. 그동안의 동물 민속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이고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동물과 관련된 문화 현상에 접근할 때 과학적(생태학적) 연구 개념은 배제하고, 그 동물과 관련된 역사ㆍ문화적 측면만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있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 동물 자체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함께 동물의 어떤 과학적 특성이 일련의 민속체계(民俗體系, folk system)를 만들어냈는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저자

천진기

저자:천진기
1961년경북안동출생
안동대학교민속학과졸업
영남대학교대학원문화인류학과석사(민속학전공)
중앙대학교대학원국어국문학과박사(고전문학전공)
국립중앙박물관,국립문화재연구소,국립민속박물관장,국립전주박물관장등을거쳐현재국가유산청무형유산위윈회위원장,문화유산위원회민속유산분과위원회위원,(사)울릉우산국문화재단이사장,(사)경상북도박물관협의회장,영천역사박물관장,(재)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충남역사문화재연구원이사,경북문화재단이사등으로활동중이다.
저서
『동물민속학자가들려주는열두띠이야기』,리젬,2013.
『운명을읽는코드열두동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8.
『한국동물민속론』,민속원,2003.
『한국의말(馬)민속론』(공저),집문당,1998.
『한국의중요무형문화재』시리즈(공저)①제와장②평택농악
③전통장⑥강릉농악⑧경주교동법주⑬윤도장등.

목차


제1부한국문화에등장하는동물상

제2부동물민속연구의관점과방법론

01동물민속動物民俗연구시론試論
1.한국문화에등장하는동물상動物相
2.동물민속론動物民俗論의기본관점
3.동물민속연구의세가지방법론
4.문화의비밀을푸는또하나의열쇠,동물상징

02동물민속연구의관점과방법론
1.동물민속연구의관점
2.기존연구의한계점
3.동물민속연구의방법론
4.운명을읽는코드열두동물:띠와팔자
5.현대인들은매일말을타거나신고다닌다

제3부인간ㆍ동물민속연구
03신라토우에나타난신라속新羅俗연구94
1.서론
2.가무歌舞ㆍ주악奏樂ㆍ잡기雜技의신라종합제전綜合祭典
3.신라인의성性풍속
4.동물상징으로표현된신라인의세계관
5.결론

04바위그림의동물상징해석을위한시론
1.실마리풀기:한국문화속에자리잡은동물상징들
2.동물상징의접근모색
3.울산의바위그림동물상징이해
4.매듭짓기:교육敎育과종합제전綜合祭典의기록화

05신라의나무인형사자木偶獅子고찰
1.사자와한반도
2.나무인형사자木偶師子와이사부
3.사자獅子문화의전개

06지역상징동물연구
1.서론
2.지역동물기호와상징분석
3.결론

07한국호랑이석상石像현장연구
1.서序:호랑이의나라,한국
2.본本:돌이되어마을로내려온호랑이
3.결結:호랑이는살아있다

08나무의문화문법과박물관활용방안시론:지역상징나무를중심으로
1.서론
2.전통사회공간별나무문법이해
3.지방자치단체의상징나무의현황과의미
4.박물관에서나무연구와활용방안모색
5.결론

09김교각스님과동행한“흰개”의상징고찰
1.김교각스님과한ㆍ중ㆍ일동아시아의국제교류
2.김교각스님의생애와삶
3.김교각스님과동행한흰개의고찰
4.김교각스님과흰색삽살개의상징성

10경북동해권의미역인문학
1.미역의해양과학지식체계
2.미역의전통어로지식체계
3.미역인문학의미래

11견훤설화의색色ㆍ동물動物화소話素연구
1.역사적인물견훤과역사의식을반영한견훤설화
2.견훤설화색ㆍ동물화소의의미와상징
3.지역역사문화교류의가교로서견훤과후백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이책은한국민속학의미개척분야중하나인‘동물민속’에관한연구이다.
동물민속연구는다른분야의민속연구와달리고고출토품및미술자료등구체적인동물표현물(表現物)과그기본속성에대한이해가매우중요하다.따라서민속학적연구성과뿐아니라,고고학적발굴과성과물,동물이묘사된미술사적유적과유물,동물자체에대한동물학(動物學)등을아우르는접근과방법론을찾아야한다.그동안의동물민속연구는대부분단편적이고부분적으로이루어져왔다.일반적으로동물과관련된문화현상에접근할때과학적(생태학적)연구개념은배제하고,그동물과관련된역사ㆍ문화적측면만연구대상으로삼는경향이있었다.이책은이러한한계에서벗어나동물자체에대한과학적연구와함께동물의어떤과학적특성이일련의민속체계(民俗體系,folksystem)를만들어냈는가를밝혀내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