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기행문 자료집 2 : 경기도ㆍ충청도

근대 기행문 자료집 2 : 경기도ㆍ충청도

$45.00
Description
191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1945년까지 근대 잡지에 실린 기행문
근대의 기행문에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이 호기심은 미지, 탐험, 설렘 등의 단어를 연상시키며 여행의 의미를 추가한다. 들추어보면 이는 외피일 뿐이다. 이를 통해 여행의 정치성은 멋지게 포장된다. 사실 여행이란 배움으로 미화된 예속의 길이자 발견과 확장으로 미화된 침탈의 길이다. 두 길 모두 미화된 명분에 유혹된 길임이 분명하다. 근대의 기행 자료들은 여행이 단순한 설렘의 기록을 넘어 타자 -개인이든 국가이든- 를 장악하려는 정체성의 정치 행위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근대의 기행문은 여행(자)이 이 세계와 관계 맺는 방식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이다.
이번에 펴내는 근대 기행문 자료집은 국내 기행문 편이다. 경성과 전국일주, 경기도와 충청도, 금강산을 포함한 강원도와 전라도 및 제주도, 경상도와 황해도, 평안도와 백두산을 포함한 함경도. 해방 이전의 지역 구분에 따라 각 지역을 다섯 편으로 엮었다. 각 편에 실린 해제가 말해주듯 이 시기 기행문은 근대 조선이라는 세계를 창출하고 변화시키는 데 여행자의 발걸음 하나하나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를 역동적으로 보여준다. 100여 년 전의 그 힘은 지금도 동일하다. 지금 세계를 향해 딛는 우리의 발걸음이 얼마나 무겁고 또 신중해야 하는지를 그 시절의 여행(자)들에서 배운다.

저자

서경석,김진량,김중철,우미영

저자:서경석
서울대학교인문대학을졸업하고동대학교에서문학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주요저서로는『한국근대문학사연구』,『한국근대리얼리즘문학사연구』등이있으며국내학술지에70여편의논문을발표했다.『한국문학』편집위원,『대산문화』편집위원,한국언어문화학회와우리말글학회회장등을역임했다.현재한양대학교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명예교수이다.

저자:김진량
한양대학교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문학석사및박사학위를받았다.평론“죽음,그환한바깥”으로2000년<문학과창작>신인상을수상하였으며,「유비쿼터스시대의융복합교양교육과정모델개발」,「스리랑카한국어교육의문제개선을위한제안」,「해외한국학의현지화연구」등의논문과『인터넷,게시판그리고판타지소설』,『디지털텍스트와문화읽기』,『식민지지식인의개화사상유학기』등의저서가있다.

저자:김중철
한양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같은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근대초기여행기에나타난활동사진의비유에대한연구」,「말하기,글쓰기에있어서거짓과진실의문제」등의논문과『소설과영화』,『소설을찾는영화,영화를찾는소설』,『영화에서글쓰기를보다』등의저서가있으며문학과상상,글쓰기와인문교양에대해탐구하고있다.한양대학교연구교수와한양사이버대학교전임강사를거쳐현재안양대학교부교수로재직중이다.

저자:우미영
한양대국어국문학과에서공부했다.근현대한국서사문학을텍스트로삼아여성ㆍ광기ㆍ장소ㆍ과학등을해명한글을발표했다.제국의도시도쿄,SF의상상력과서사의미래,기후변화내러티브등을탐색중이다.한양대창의융합교육원에몸담고있다.

목차


책을펴내며

경기도京畿道
해제-경성부시절의경기-서울근처라는타자성과자연ㆍ휴양의장소

충청도忠淸道
해제-황폐한삶의장소ㆍ고도부여의역사적관광지,충청도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1910년을전후한시기부터1945년까지근대잡지에실린기행문

근대의기행문에는미지의세계에대한호기심으로가득하다.이호기심은미지,탐험,설렘등의단어를연상시키며여행의의미를추가한다.들추어보면이는외피일뿐이다.이를통해여행의정치성은멋지게포장된다.사실여행이란배움으로미화된예속의길이자발견과확장으로미화된침탈의길이다.두길모두미화된명분에유혹된길임이분명하다.근대의기행자료들은여행이단순한설렘의기록을넘어타자-개인이든국가이든-를장악하려는정체성의정치행위임을여실히보여준다.이런점에서근대의기행문은여행(자)이이세계와관계맺는방식을복합적으로보여주는소중한자료이다.
이번에펴내는근대기행문자료집은국내기행문편이다.경성과전국일주,경기도와충청도,금강산을포함한강원도와전라도및제주도,경상도와황해도,평안도와백두산을포함한함경도.해방이전의지역구분에따라각지역을다섯편으로엮었다.각편에실린해제가말해주듯이시기기행문은근대조선이라는세계를창출하고변화시키는데여행자의발걸음하나하나가얼마나큰힘을발휘하는지를역동적으로보여준다.100여년전의그힘은지금도동일하다.지금세계를향해딛는우리의발걸음이얼마나무겁고또신중해야하는지를그시절의여행(자)들에서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