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20세기의 ‘무혈 설계 전환 혁명가’
건축가, 디자이너, 발명가, 사상가, 철학자, 시인, 미래학자, 환경주의자 등으로 불리는 벅민스터 풀러(R. Buckminster Fuller, 1895-1983)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하지만, 그가 처음 고안한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은 어디선가 한번쯤 보았을 것이다. 과학관이나 과학엑스포 광장에는 꼭 하나씩 서 있는 반원형 건축물이 그것인데, 곡면의 뼈대로 무게를 분산시켜 별도의 기둥이 필요없는 가볍고 효율적인 구조체다. 또한 화학 전공자들이라면 모를 리 없는 ‘풀러렌(Fullerene)’은 탄소원자 60개로 이루어진 분자 ‘C60’의 별칭으로, 이 분자가 지오데식 돔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여서 그의 이름을 빌려 왔다.
건축가인 그가 원시시대 움막 같으면서도 미래주의적인 구조물을 개발한 이유는 뭘까? 20세기 초중반 미국, 풀러의 눈에 인류는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은 비용을 들여 많은 일을 해야(doing more with less)’ 했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재료로 효율적인 거주 장소를 만들어내는 지오데식 돔은 기하학 측면에서도 완벽하지만, 무엇보다 경제적이다. 사실 그의 혁신적 아이디어의 시작은 양차대전 사이인 192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술이 가져온 새로운 시대에 주거 역시 ‘살기 위한 기계’로 거듭나 인간 미래의 삶을 제시해야 했다. 다이맥시온(Dymaxion) 주택 시리즈, 다이맥시온 자동차, 막사(幕舍), 화장실 등의 프로토타입은 바로 그가 열망한 혁신의 결과물들이었다. 스스로 표현한 대로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파괴적인 유혈 혁명에 맞서, 건설적인 무혈 설계 전환 혁명(bloodless, constructive, design transformation revolution)을 시작”했던 것이다.
풀러의 실험은 지금 우리 일상에 보편화하지 못했지만,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늘 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우주에 위치하길 바랐던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자신의 작품에 풀러의 글을 인용하고 ‘지구호 우주선’이라는 어휘를 사용하기도 했다. 건축가 노먼 포스터(Norman Foster)는 인간의 거주지인 지구의 연약함, 그걸 알고 보호해야 하는 책임을 기술적으로 고민하고 실천한 풀러의 윤리에 존경심을 표했다.
건축가, 디자이너, 발명가, 사상가, 철학자, 시인, 미래학자, 환경주의자 등으로 불리는 벅민스터 풀러(R. Buckminster Fuller, 1895-1983)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하지만, 그가 처음 고안한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은 어디선가 한번쯤 보았을 것이다. 과학관이나 과학엑스포 광장에는 꼭 하나씩 서 있는 반원형 건축물이 그것인데, 곡면의 뼈대로 무게를 분산시켜 별도의 기둥이 필요없는 가볍고 효율적인 구조체다. 또한 화학 전공자들이라면 모를 리 없는 ‘풀러렌(Fullerene)’은 탄소원자 60개로 이루어진 분자 ‘C60’의 별칭으로, 이 분자가 지오데식 돔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여서 그의 이름을 빌려 왔다.
건축가인 그가 원시시대 움막 같으면서도 미래주의적인 구조물을 개발한 이유는 뭘까? 20세기 초중반 미국, 풀러의 눈에 인류는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은 비용을 들여 많은 일을 해야(doing more with less)’ 했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재료로 효율적인 거주 장소를 만들어내는 지오데식 돔은 기하학 측면에서도 완벽하지만, 무엇보다 경제적이다. 사실 그의 혁신적 아이디어의 시작은 양차대전 사이인 192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술이 가져온 새로운 시대에 주거 역시 ‘살기 위한 기계’로 거듭나 인간 미래의 삶을 제시해야 했다. 다이맥시온(Dymaxion) 주택 시리즈, 다이맥시온 자동차, 막사(幕舍), 화장실 등의 프로토타입은 바로 그가 열망한 혁신의 결과물들이었다. 스스로 표현한 대로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파괴적인 유혈 혁명에 맞서, 건설적인 무혈 설계 전환 혁명(bloodless, constructive, design transformation revolution)을 시작”했던 것이다.
풀러의 실험은 지금 우리 일상에 보편화하지 못했지만,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늘 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우주에 위치하길 바랐던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자신의 작품에 풀러의 글을 인용하고 ‘지구호 우주선’이라는 어휘를 사용하기도 했다. 건축가 노먼 포스터(Norman Foster)는 인간의 거주지인 지구의 연약함, 그걸 알고 보호해야 하는 책임을 기술적으로 고민하고 실천한 풀러의 윤리에 존경심을 표했다.
우주선 지구호 사용설명서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