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하는 여자들 : 압제를 걷어차고 나쁜 결말을 맺는 평범한 자들의 이야기 (양장)

살인하는 여자들 : 압제를 걷어차고 나쁜 결말을 맺는 평범한 자들의 이야기 (양장)

$35.00
Description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수전 앤서니, 그림케 자매 등 억압과 차별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며 역사의 한 장에 씌어진 여성들이 있다. 그리고 그 뒤에는 자신에게 가해진 것을 억압이라 말하지 못한 채 내밀한 억압으로 시들어 간 여성들이 있다. 앤 존스(Ann Jones)는 이 시들어 간 여성들의 삶에 주목하며, “압제를 걷어차고 나쁜 결말을 맺는 평범한 여자에 관한 여자의 역사책을 쓰겠다”고 말한다. 여성과 사회의 약자들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사회의 부당함을 영속화하는 역사, 사회, 정치적 구조에 관해 써 온 저자는 사 년간의 연구 끝에 1980년 『살인하는 여자들(Women Who Kill)』의 초판을 출간했다. 미국의 긴 역사 속에서 살인을 저지른 여자들을 그 구조적 원인과 함께 살펴보는 이 연구서는 사회 기저에 깔린 여성혐오와 그로부터 구성된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 어떻게 범죄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그 범죄가 어떻게 사람들에게 비추어지는지를 첨예하게 제시한다.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불평등과 차별, 여성혐오의 문제가 꾸준히 논쟁에 오르는 지금, 이곳의 우리가 당면한 주제이기도 하다.
식민지 시기부터 이십세기까지 사 세기에 이르는 시간을 톺아보며 저자는 억압의 체계를 분석하고, 여성의 불평등한 삶 속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의 유형을 서술한다. 술에 취해 낯선 사람과 드잡이를 하다 칼로 찌르거나 무차별적으로 총을 쏘는 남자와 달리 여자는 남편과 연인, 아이와 같이 친밀한 사이의 사람을 죽인다. 저자에 따르면 이러한 살인 사건들은 너무나 다르고, 너무나 예상 가능하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화적 기형의 그림자’다. 자극적으로 부풀리거나 외면하지 않은 채, 최대한 많은 통계 자료를 제시하며 여성과 사회, 살인의 연관성을 검토함으로써 저자는 사회 구조의 모양을 분명하게 그려내 보여준다.

저자

앤존스

저자:앤존스
독립연구자,기자,사진가이자작가이다.위스콘신대학교에서역사학과영문학으로박사학위를받았고,이후뉴욕시립대학교에서영어를가르쳤으며,매사추세츠대학교애머스트캠퍼스에서여성학코디네이터로재직했다.여성과사회의약자들에대한깊은관심으로사회의부당함을영속화하는역사,사회,정치적구조에관해,특히아프가니스탄,아프리카,동남아시아와중동에서일어난전쟁으로민간인이입은피해와여성에게가해진폭력에대해많은기사와글을썼다.그중『겨울의카불(KabulinWinter)』은아프가니스탄에서영어교사로일하면서전쟁으로파괴된도시에서직접겪은경험을토대로가정폭력과미군의만행에관해쓴책이다.그밖의저서로는『그들은군인이었다(TheyWereSoldiers)』『전쟁은끝났을때끝나지않았다(WarIsNotOverWhenIt’sOver)』『러브두부족을찾아서(LookingForLovedu)』『다음번에그녀는죽었을것이다(NextTimeShe’llBeDead)』『사랑이잘못되었을때(WhenLoveGoesWrong)』등이있다.

역자:마정화
드라마터지,번역가로일하면서연극에관한일을한다.「한여름밤의꿈」「작가」「햄릿의비극」「4분12초」「지워진목소리,어두운공간」등의작품을번역하거나써서무대에올렸다.역서로『래러미프로젝트그리고래러미프로젝트:십년후』가있다.

목차


개정판서론
서문
초판서론

1.미국을세운어머니들:여러음란한여자들
2.가정의참극
3.처녀망치기
4.법과는무관하게
5.그게교훈이되도록
6.여자부수기
7.여자들의권리와잘못

주(註)
감사의말
옮긴이의말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엘리자베스케이디스탠턴,수전앤서니,그림케자매등억압과차별에대해목소리를높이며역사의한장에씌어진여성들이있다.그리고그뒤에는자신에게가해진것을억압이라말하지못한채내밀한억압으로시들어간여성들이있다.앤존스(AnnJones)는이시들어간여성들의삶에주목하며,“압제를걷어차고나쁜결말을맺는평범한여자에관한여자의역사책을쓰겠다”고말한다.여성과사회의약자들에대한깊은관심으로사회의부당함을영속화하는역사,사회,정치적구조에관해써온저자는사년간의연구끝에1980년『살인하는여자들(WomenWhoKill)』의초판을출간했다.미국의긴역사속에서살인을저지른여자들을그구조적원인과함께살펴보는이연구서는사회기저에깔린여성혐오와그로부터구성된불평등한구조속에서어떻게범죄가발생하는지,그리고그범죄가어떻게사람들에게비추어지는지를첨예하게제시한다.미국의사례를중심으로하고있지만,불평등과차별,여성혐오의문제가꾸준히논쟁에오르는지금,이곳의우리가당면한주제이기도하다.
식민지시기부터이십세기까지사세기에이르는시간을톺아보며저자는억압의체계를분석하고,여성의불평등한삶속에서일어난살인사건의유형을서술한다.술에취해낯선사람과드잡이를하다칼로찌르거나무차별적으로총을쏘는남자와달리여자는남편과연인,아이와같이친밀한사이의사람을죽인다.저자에따르면이러한살인사건들은너무나다르고,너무나예상가능하다는점에서‘심각한문화적기형의그림자’다.자극적으로부풀리거나외면하지않은채,최대한많은통계자료를제시하며여성과사회,살인의연관성을검토함으로써저자는사회구조의모양을분명하게그려내보여준다.

불평등한제도와구속에서비롯된참극
본문은시대순으로흐르는일곱개의장으로구성되었다.첫번째장「미국을세운어머니들:여러음란한여자들」에서저자는식민지시기남자와동일한노동으로국가를건설했으나살인자가된여자들을그린다.이시기의여자들은주로혼외의관계에서태어난아이를살해했는데,이는혼외출산을한하인의고용기간을늘림으로써그주인으로하여금혼외관계를유리하게사용하도록조장한법에의해생겨난문제였다.혼외아를몰래없앤여자들은그영혼을살해했다는종교적인믿음아래사형을선고받았고,이를통해법자체가조장한사회적구조는은폐되었다.이렇게은폐된구조에대한문제의식없이여성의지위는나날이하락했고,결과적으로더이상시민권을소유하지않게된‘여자’는범죄에대한책임에서면제되어,아버지나남편에의해보호되어야하는‘숙녀’가되었다.
두번째장「가정의참극」은미국독립전쟁이후의시기바로이숙녀들의이야기다.결혼후외부와분리된채과하게보호된숙녀들은곧소유권,양육권,그리고투표권을잃게되었는데,이에저항한많은여성단체들은남자들,즉‘사회의아버지’들을불안하게만들었다.그들은힘으로여자들을억압했고,이에맞서여자들은남자들에게독을먹였다.그러나권리를잃은여자들은그자체로남자들에의해무구한여성성으로보호되었기에풀려났고,이는결혼이‘신의제도’라는가정의신화를공고히할뿐이었다.그리고구속과가난에서벗어나고자여자들은계속해서남편과아이들을독살했다.저자에따르면이는저임금과완화되지않는이혼법,여자들에게교육과자리를제공하지못하는사회가만나는지점에서생겨난예상가능한산물이었다.

법의바깥에서재판받는사건들
3장「처녀망치기」의여자들은자신을‘유혹’한뒤버리고떠난‘유혹자(seducer)’들을죽인다.이러한여자들은줄곧정확한증거가아닌도덕적충격에의한정신이상,심지어는비정상적인월경을이유로변호되었다.그들에따르면,유혹당해버려진경험으로미친여자가자궁의교란으로악화되어살인을저질렀다는것이었다.이를이해한판사와동정적인여론은살인을저지른여자들을무죄로풀어주었다.그리고법이아닌감정에의해사건이마무리됨으로써어린여성들을성적으로약탈한남성에대한법의논점은흐려지기마련이었다.
법에대한논쟁은4장「법과는무관하게」에서좀더구체화된다.저자는여성이같은성별의배심원에의해재판받아야할권리를논의하는데,실제로남자들로만이루어진배심원들은한편으로는여자들을보호하고,다른한편으로는자신들이부당하지않다는것을보여주기위해과한평결을내렸다.법을내려놓고,법과는무관하게자신들의재량권으로살인을저지른여성들을단죄한이들이었다.이장을대표하는사건은1892년에일어난유명한도끼살인마‘리지보든(LizzieBorden)’의사건인데,같은시기고용인을죽인하녀브리짓더건(BridgetDurgan)이인간이하의존재로취급받으며교수형에처해진것과는상반되는결과를보여주었다.올바른숙녀가부친을살해한혐의를인정하는것은가부장제자체에대한공격이되었기에리지보든은판사와배심원들,즉다른가부장들에의해무죄판결을받았다.

선정적살인과죽이는여자들
5장「그게교훈이되도록」에서는이십세기에이르러주목받게된여성의권리중하나인성적해방과여성의살인사건이교차된다.여성의성적자유가논의의대상으로떠오른이시기에사람들은살인하는여자들을성적인편견,선정적인시각과함께바라보았다.저자는남편을살해한혐의를받은루스스나이더(RuthSnyder)와아이들을살해한혐의를받은앨리스크리민스(AliceCrimmins)의사건을대표적으로제시한다.그러나이두사건에서주목받은것은살인자체보다도두여성의성적인생활이었다.당시의신문들에서는그들의사생활을자세히보도했고,스나이더와크리민스는점점더‘나쁜’여자가되어감으로써그들을처벌하는일이곧사회의교훈을제시하는일이라는명목하에일종의도덕적기준을정립하는데동원되었다.특히크리민스의경우경찰들은살인의증거를수집하기보다크리민스의성생활을녹취했고,그녀가‘그런여자’라살인을저질렀을것이라고추정했다.이에대해저자는자신의오명에대한크리민스의발언을그대로옮김으로써그릇된사회의교훈이되어버린여자들의목소리를되찾아주고있다.“과거에당신들이나한테했던일중어떤것도(…)지금나에게하고있는일중어떤것도(…)그리고미래에나한테할수도있는어떤것도,아이들이유괴되어살해되었던육년전에나한테저지른일보다더나쁠수는없어요.그리고난당신들모두가나한테저지른거짓과음모를세상이보게되기만을그저바라고기도하고있어요.”

매맞는여성증후군과정당방위의현실
6장「여자부수기」에서주목할부분은사회에만연한,가정내여성에대한학대이다.‘매맞는여성증후군(batteredwomansyndrome)’으로요약해볼수있는이장에서의살인사건들은일종의사회적현상으로까지그려진다.신고에도불구하고아무런조치를취하지않는경찰들로부터여자들은무기력을학습한다.그리고오랜학대에시달린피해자가그마지막선택으로학대자를공격했을때이에대한변론으로이증후군을제시할수있는지여부는아직논쟁중에있다.
초판에는없었던마지막장「여자들의권리와잘못」은1981년페이퍼백을출간할때덧붙인후기에서출발해1996년다시책을내면서하나의장으로확장되었다.저자는새로운사건은여성에대한압제와부당함이라는면에서미국사의새로운국면을드러낸다고말한다.여기에서도여전히아내구타에대한문제가논의되나.저자는학대받는여성을위한피난처가늘어감에따라남성에대한여성의살인사건이줄어든것과달리여성에대한남성의폭력범죄는여전히증가하고있다는,씁쓸한통계를제시한다.법에의해보호받을권리,정당방위로스스로를보호할여자들의권리와이를보장해주지못하는사회적구조와법에대한관심이지속되어야할이유이다.

1980년미국에서초판출간된『살인하는여자들』은마지막장을추가해1996년재출간되었다가긴서론을보태어2009년개정판으로출간되었다.개정판서론에서저자는‘여성대상폭력방지법(ViolenceAgainstWomenAct,VAWA)’등여성의권리를보호하는제도로개선된상황을언급하면서도한편으로는구일일테러이후전쟁이라는긴박한뉴스에가려사라져간여성에대한차별과억압문제를수면위로올리고있다.책에대해미국의시인이자비평가,페미니즘운동가에이드리언리치(AdrienneRich)는“우리사회의태도를바꿀수있는고전이자역작”이라평했으며,또한미국의저널리스트이자작가,페미니즘운동가인수전브라운밀러(SusanBrownmiller)는“매페이지마다독창성이가득한획기적인책”이라고일컬었다.덧붙여『뉴욕타임스북리뷰(TheNewYorkTimesBookReview)』는이책이“여성들이분노할권리가있다는사실을다시한번상기시켜준다”고설명했다.여성의살인을특수한주제로논의해야하는까닭에대해질문하면서살인을저지른여성들을입체적으로들여다보는책은또다른미국의역사를그려내고있다.자유와인권을위해새로운땅으로건너가서민주주의를토대로세워진나라가여성을어떻게다루고,여성들의범죄를어떻게양산하는지를보여주면서,우리사회가알고싶어하지않는,또는알고있지만밝히고싶지않은여성인권의모습을적나라하게드러낸다.
또한「옮긴이의말」에서역자는이책에등장하는살인사건들이너무나흔하면서도너무나새롭다고말하며,지금이시점에서우리가책을읽고이에대해이야기를나누어야하는필요성을언급한다.역자는그러한사건들을좀더정확하게,좀더구체적으로기술함으로써사건의본질에객관적으로다가가려한저자의의도를헤아려긴문장을그대로옮겼으며,이책에서‘그녀’가‘그녀’로읽히는일의중요성을고려해꼼꼼히구분했다.길게이어지는문장들을따라읽으며여성의살인의배후에있는동기를발견하고,여전히유효한그것이오늘날에도중요한논점이되는구조적불평등,여성혐오문제와어떻게연결되는지그실마리를찾을수있기를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