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역사상의 탐색

고려 역사상의 탐색

$25.00
Description
『고려 역사상의 탐색』은 고려시대의 국제관계와 국가체제부터 삶의 문제까지 네 범주의 큰 주제 안에 각기 다섯 주제씩 모두 스무 개의 세부 주제로 나누어, 여러 측면의 역사적 모습을 살펴보려 하였다. 그 세부 주제들은 집필자들의 연구주제를 살리면서 학계의 관련 연구 결과들을 다룬 것이다. 이 책의 서술 원칙은 일반 독자들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문장은 되도록 쉽게 풀어쓰는 한편, 서술 형식에서도 장절의 제목에 번호를 달지 않고, 각주 등도 붙이지 않았다. 참고문헌도 10개 이내로 줄여 제시하도록 하였다.

저자

모리히라마사히코

지은이:노명호
서울대학교국사학과명예교수
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학사,석사,박사학위를받았다.전남대학교사학과,중앙대학교사학과를거쳐서울대학교국사학과교수로재직하였다.대표적인저서로『고려국가와집단의식』,『고려태조왕건의동상』등이있고,이외에고려시대친족제도와관련한다수의논문이있다.  

지은이:서성호
국립중앙박물관학예연구관
「高麗前期手工業硏究」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의수공업과도시,생활,그리고유물등다양한분야에관심을가지고공부하고있다.  

지은이:이익주
서울대학교인문대학국사학과,서울대학교국사학과대학원을졸업(문학박사)했으며,현재서울시립대학교국사학과교수로학생들을가르치고있어요.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장,서울학연구소장을역임했으며,[KBS역사저널그날]고정패널로출연중이에요.  

지은이:박재우
성균관대학교사학과부교수
[고려전기재추제도와국정운영체계연구?\]라는제목으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의중앙정치체제와지배층에대해관심을가지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윤경진
경상대학교인문대학사학과교수
[고려군현제의구조와운영]이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지방제도를중심으로연구를수행하고있다  

지은이:최연식
동국대학교사학과교수
[균여화엄사상연구]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불교를중심으로한한국고대및중세의사상사에관심을가지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이종서
울산대학교역사·문화학과교수
「14~16세기韓國의親族用語와日常親族關係」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전근대생활사와심성사에관심을가지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추명엽
세종과학고등학교교사
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고려12세기초여진정벌과정국동향을주제로석사논문을쓰고박사과정수료이후「고려시기해동인식과해동천하」등의글을발표하였다.고려시기국제관계와정치사회사에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정요근
덕성여자대학교사학과부교수
[高麗·朝鮮初의驛路網과驛制연구]라는제목으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지방사회와지방제도,그리고전근대시기역사지리전반에대한주제를연구하고있다.  

지은이:이강한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한국사학전공부교수
「13-14세기고려-원교역의전개와성격?이라는주제로서울대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와원제국간교역의역사및양국간제도교류의실태를연구하고있다.  

지은이:최종석
서울대학교역사교육과졸업
서울대학교대학원국사학과문학박사
서울대학교역사연구소세광펠로우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박사후연구원
현재동덕여자대학교국사학과교수
주요논저
『한국군사사3-고려1-』(공저)
『한국군사사14-성곽-』(공저)
「『고려사』세가편목설정의문화사적함의탐색」
「고려시대朝賀儀의례구조의변동과국가위상」
「조선초기제후국체제운영의특징과그에대한
맥락적이해」외다수  

지은이:강호선
성신여대인문과학대학사학과조교수
「高麗末懶翁慧勤硏究?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후기~조선전기불교사에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이영미
서울대학교인문대학인문학연구원연구원
[고려-몽골관계와고려국왕위상의변화]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후기대외관계와정치사에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김우택
서울대학교국사학과시간강사
고려시대의과거제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준비중이다.고려시대의정치문화와선거제도에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정동훈
서울시립대학교박사후연구원
[고려시대외교문서연구]라는제목으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부터조선초에걸쳐중국왕조와의외교에서시행된제도적요소들에관심을가지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황향주
서울대학교국사학과시간강사
「고려起復制와14세기말起復論爭」이라는주제로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석사학위를받았다.고려왕실을중심으로고려시대의정치사를검토해보고자한다.  

지은이:오희은
서울대학교국사학과박사과정
[고려시대‘연고지유배형’의성격과전개]로석사학위를받았다.고려시대법제사,형벌제도에관심을갖고연구하고있다.  

지은이:렘코브뢰커(RemcoE.Breuker)
ProfessorandChairofKoreanStudies,LeidenUniversity
네덜란드출신한국사연구자로서고려중기와후기역사를연구하고있다.  

지은이:모리히라마사히코(森平雅彦)
일본규슈대학九州大學인문과학연구원人文科學硏究院교수
[고려-원관계의기본구조:몽골제국의패권과고려왕가]라는제목으로일본동경대학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고려후기정치사,한국중세근세국제교류사,물환경을중심으로한환경사등에관심을가지고연구하고있다.  

목차

주제1.국왕위상과국가정체성
고려전기천하관과황제국체제(노명호)
뒤늦게주목된고려의황제제도와다원적천하관
동아시아의국제정세와고려황제제도의기능
고려황제제도의구성요소
고려황제제도의사상적배경:세가지천하관
10~14세기세계속의고려(이익주)
이승휴가본‘고려국황제’
고려와금의형제관계
황제의조공
고려후기의부마고려국왕
다시이승휴를읽다
고려와원제국,격절과융합(이강한)
고려와원제국의‘관계關係’
허물어지는벽,남아있는경계境界
다른시장市場,다른통화通貨
새로운질서,공존의미학
‘원간섭기’를어떻게볼것인가
고려의국왕복식服飾과국가위상(이종서)
황제의복식과제후의복식
역대한족왕조통치자의복식
고려전기복식제도의이중성
고려후기복식등급의강등과자의식의변화
공민왕의복식제도회복노력과좌절
청포를착용한조선태조초상의의미
작위에서관직으로-한중관계외교제도에서고려국왕위상의변화-(정동훈)
사람의등급을나누는두가지기준:작제와관료제
자리가먼저인가사람이먼저인가:책봉호의구성
임명장은무엇으로만들었나:책冊과고명誥命
국왕에게는어떤옷과도장을사여했나:면복冕服과조복朝服
외교문서는무엇을사용했나:표문表文과자문咨文
사신은어떻게맞이했나:빈례賓禮의구성원리
작제에서관료제로변화한배경
국내문제와는어떻게연관되었나

주제2.중앙지배층과정치문화
고려문벌의형성과성격(박재우)
문벌귀족,새로운이해가필요하다
고려문벌은어떻게형성되었나?
고려문벌은어떤존재인가?
문벌은권력을장악했는가?
고려문벌,이렇게보아야한다
과거제를활용한고려중기의다양한조정진출시도(김우택)
선망의대상,‘조정의관리’되기
호장가문출신이영,서리와문신의갈림길에서다
군인의아들이탄지,법률을공부한의관이되다
혈통의제약을뚫지못한강사후의형설지공
‘좁은’길과좁은‘길’,두개의초점
고려문·무반확립의이면,문무겸비의형태와기풍(추명엽)
문무대립의역사상과해동공자최충의문무겸비기풍
고려초문무겸비의논리와구성형태
문·무반확립이후문무겸비형태와기풍
무신정변이후문무겸비기풍과지향
조선의문무겸비기풍과유장儒將
고려말권력구조의한측면-우왕의즉위와폐위를둘러싼상황들-(이명미)
몽골과의관계,그이후:고려말의정치·권력구조
모니노牟尼奴,강녕대군왕우王禑가되다
비첩婢妾의아들,왕위를계승하다
우왕,사대事大에의불성실을이유로선위禪位하다
왕우王禑에서신우辛禑로,천자天子께서말씀하신‘충忠’과‘역逆’
13세기한반도의전사단-중국적군제를덮친동북아시아로부터의영향들-(RemcoBreuker)
전사단과한반도
전사단의정의
전사단여파의충격:중국적군제의변화
고려의별초군
경대승의사례
전사단의변질
전사단의의의

주제3.지역사회운영과주도계층
고려의지방제도운영과지방사회:진주정방의난의분석(윤경진)
고려지방제도의구성
향리의활동
외관의활동
안찰사와별명사신
재지세력과지방사회
고려특수행정구역사람들의문화·경제적면모-향리층을중심으로-(서성호)
다시특수행정구역사람들을보다
불사佛事에시주하는특수행정구역사람들
물건으로보는특수행정구역사람들
그들도능력껏삶과죽음의문화를누렸다
고려시대월경지의발생과지속(정요근)
월경지의개념과기원
조선시대의월경지
고려시대지방행정제도의변동과월경지
고려시대국가필요지역에설정된월경지
고려후기전란으로인하여발생한월경지
월경지이해의심화를위한전망
고려시대의‘연고지유배형’:형벌제도운영의일면(오희은)
귀양?귀향!
형벌이된귀향
귀향형은어떻게운영되었는가
‘향鄕이아닌연고지’로유배하다
‘연고지유배형’이남긴것
한중교류를지탱한섬들과섬사람들(모리히라마사히코)
송사신이탔던배
고려-송통교의항로와항해의담당자
시스템으로서의해상교통
연안부항로의중요성
안정된항해를위한조건들:랜드마크,기항지,항해신앙
한중해상통교를지탱한한반도의맨파워

주제4.종교신앙과사회적심성
제의와영험(최종석)
인디언기우제
[고려사]함유일열전이말해주는것
제사,신의영험에의의지
제의의결과를바라는방식
불교의례와국왕(강호선)
부처와하늘이도우시는황제
고려시대국가의례의복합적구성
고려불교에나타난제왕관
왕의의례로서의불교의례
고승탑비의건립과사원의계승(최연식)
고려시대불교사의1차사료,고승탑비
고승의탑비와법손사찰
인멸될뻔했던선각국사도선의탑비
선각국사비폐기의정치적배경
선각국사비건립의실질적주체
고려시대의혈연의식과가족·친족관계(이종서)
가족·친족의구조와통념
부처형태의선택가능성
부처관계의유동성과‘정조貞操’의개념
여성중심의가족구성과자녀양육
양측적혈연의식에근거한가족·친족구성
양측적혈연의식에근거한균분상속관행
포괄적친족용어와부계를표상하지않는성씨
고려시기가족·친족관계의현재적의미
삶과죽음의경계에서:고려시대삼년상의시행방식과그의미(황향주)
삼년상의의미변환과기복논쟁起復論爭
‘변이된’고려기복제와삼년상의진면모
성리학이해의심화,그리고정상의비정상화
‘다름’과‘틀림’의사이
효에대한성리학적신념과그구현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이책의집필자들은서울대학교국사학과대학원에서필자의고려시대강의에함께한바있었던학계의중견학자들과신진학자들이다.각기전문연구성과를쌓아올리며학계에서활약하고있는학자들과참신하고예리한시각의연구성과를내고있는신예연구자들이함께이책을기획하고집필하였다.

이책의기획방향은,집필자들이연구해온전문영역과관련하여,고려시대에대한근래의연구들에서밝혀진새로운사실들을학부생이나일반독자들에게쉽게풀어서소개하는것이다.그새로운사실들은한국사인식의폭과깊이를더하는데의미있는것이지만,일반개설서에는아직거의제대로소개되지않은것들이다.이책은학계의전문연구와일반개설서사이의큰간극사이에서징검다리역할을하는것이다.이책에서다루어지는내용은크게두가지로볼수있다.하나는학계의고려시대연구결과의새로운내용가운데에서사실의윤곽이나내면에대한증거자료의확보와분석의합리성에서의미있는완성도에도달한것들이다.그리고다른하나는보완연구가좀더필요하지만현시점에서일반의관심을받는역사적사실등에대해관련자료나주요연구동향을정리하여소개한내용이다.

이책은고려시대의국제관계와국가체제부터삶의문제까지네범주의큰주제안에각기다섯주제씩모두스무개의세부주제로나누어,여러측면의역사적모습을살펴보려하였다.그세부주제들은집필자들의연구주제를살리면서학계의관련연구결과들을다룬것이다.

이책의서술원칙은일반독자들에게보다친근하게다가갈수있게하는것이다.그에따라문장은되도록쉽게풀어쓰는한편,서술형식에서도장절의제목에번호를달지않고,각주등도붙이지않았다.참고문헌도10개이내로줄여제시하도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