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학의 위안 : 유배지에서 읊은 우옹 송시열의 수미음 (양장)

도학의 위안 : 유배지에서 읊은 우옹 송시열의 수미음 (양장)

$35.63
Description
이 책은 우옹 송시열(1607-1689)이 1679년 73세 나이에 가시울타리가 쳐진 거제도 유배지에서 지은 7언율시 134수의 연작 수미음을 옮기고 해설한 것이다.
이 연작시는 그 형식에서 드러나듯 소옹(1011-1077)의 『격양집』에 있는 수미음 134수를 본뜬 것이다. 수미음 134수의 형식과 그 운을 따른 것이다. 그러나 전체의 내용이 그가 일생 학습하고 지향했던 도학을 주제로 했다는 것과, 나름의 전체적 기획 속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때그때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소옹의 수미음과 다르다.

우옹의 수미음 134수에는 전체 제목도 없고, 각각의 제목도 없다. 그런데 상세히 살펴보면 시 전체가 도학의 연원과 흐름을 주제로 하고 있고 또 도학자의 삶에서 드러나는 과제들을 소재로 삼고 있다. 모두 7언율음에 각운을 지니고 있지만 사실 이 시는 노래라기보다는 이야기에 가깝다. 곧 우옹의 수미음은 모두 함축된 이야기들로 되어 있다. 대부분의 시어가 경전적인 전거가 있거나 어떤 사건적 배경을 갖고 있다. 한 편의 시 속에 담긴 이야기가 대여섯 개나 되니 수미음 모두에 600개쯤 되는 각종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데 이들은 도학의 언저리에 있다. 그리고 134수가 나름의 단락을 이루면서 주제의 집중성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즉 도학적 삶의 주제, 도학의 연원, 도학 형성의 문헌과 도학자들, 도학의 주요 개념을 집중적으로 읊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학문 도학을 다시 음미하듯 정리하면서 자신의 사람의 정체성을 지키려 하고 있고 그 본질과 사례에서 위안을 얻으려 하고 있다. 그리고 나름의 크고 작은 단락을 이루면서 주제의 집중성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저자는 내용을 감안하여 우옹의 수미음 134수를 열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제1단락. 서음(序吟); 옛사람 옛 성현의 시대를 사모함을 읊고 있는데, 사실상 앞으로 다루는 모든 시제는 이 범주 안에 있음을 암시한다.
제2단락. 자경(自警)과 성찰(省察); 이 단락은 우옹의 자기반성과 경계 및 학문적 관심사 또는 지향을 보여준다. 대상과 내용이 도학자의 일상적 지향을 보여주는 수양과 경계이며 당시의 정치적 현안을 소재로 하지 않았다.
제3단락. 중국의 역사와 인물; 전기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상고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는 인물들에 대해서, 또 인물과 왕조대를 엮어서 서술하고 있다.
제4단락. 도학의 연원과 흐름; 주공으로부터 공자, 안연, 증참, 자사, 맹가, 순자와 양웅, 왕통과 한유, 주돈이, 정호, 정이, 소옹, 장재, 사마광, 주희, 장식, 여조겸, 정호·정이 형제의 문하 그리고 주희의 문인들이다.
제5단락. 우리의 역사; 이 단락에서는 우리나라가 바둑판만한 작은 나라라는 인상에서부터 삼한시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왕조를 차례로 읊고 있다.
제6단락. 경부(經部); 이 단락에서는 동양의 도서분류법인 경·사·자·집의 사부분류법에서 경부에 해당하는 6경4서와 사와 자부를 대상으로 하여 읊고 있다. 사와 자를 단 한 수만 배당한 것이 눈에 띈다.
제7단락. 집부(集部)1; 북송5현의 문집. 이 단락은 사부분류법의 집부에 해당하는데 해당 분량이 많아서 편의상 북송5현의 문집만 따로 나누어 집부1이라 하였다.
제8단락. 집부(集部)2; 주희의 문집과 저술. 이 단락의 24수 역시 집부에 속하는 것을 다루었는데 주희의 문집과 그의 저술만 따로 분류했다.
제9단락. 관물(觀物)과 함양; 이 단락의 10수는 도학자들이 격물의 일환으로 중시하던 관물과 함양을 다루고 있다. 정이가 “함양은 모름지기 경 공부에 있고 진학은 치지에 있다”라고 한 공부법과 같은 맥락이다. 서론격인 124번째의 시는 흥이 나는 대로 적음이라고 하였지만 초목, 곤충, 오곡, 금수에 대한 유관과 대관의 관찰, 그리고 큰 것, 작은 것, 근독, 계구에 이르는 깊은 사색과 지경(持敬)의 공부를 다루었다.
제10단락. 결음(結吟); 제134: 1수; 이는 공부의 최종 지점을 모든 다양성을 합일, 환원시키는 하나의 원두점에 도달함으로 설정하고, 그 경지는 인간의 어떤 언사도 필요하지 않은 곳임을 밝힌 것이다.

책의 제목을 『도학의 위안』으로 한 것은 수미음의 집필 정황과 동기가 도학에 대한 정리와 재음미를 통하여 그가 처한 고난의 이유와 의미 그리고 자신이 취할 태도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최후의 로마철학자로 불리는 보에티우스가 반역자로 모함을 받아 처형을 기다리는 감옥에서 저술한 『철학의 위안』이 억울한 처벌에 대한 위안을 스스로 찾고 또 이를 그런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 권면하고 있음과 유사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마치 못에 물이 다 빠져 버린 것과 같고, 말을 해도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 상황을 『주역』에서는 곤(困)이라 하고, 군자 대인은 이런 곤경에서도 기쁨으로 대처하고 목숨을 다하여 그 뜻을 이룬다고 했다. 우옹은 비록 처지는 험난했지만 죽으면 죽으리라의 강건한 중심을 유지하며 도학의 청명정대한 경지와 숭덕 광업의 정학이라는 신념을 이 연작시를 통해 유감없이 펼쳐내었다.
저자

송시열

저자:송시열
1607(선조40)~1689(숙종15).자는영보(英甫),호는우암(尤菴)·우재(尤齋)·파옹(巴翁)·화양동주(華陽洞主)등이며,시호는문정(文正),본관은은진(恩津)이다.부친은송갑조(宋甲祚)이고,모친은선산곽씨(善山郭氏)이다.사계(沙溪)김장생(金長生)과신독재(愼獨齋)김집(金集)을사사하여기호학파의종장(宗匠)이자노론의영수로활동하면서조선후기학문과정치에큰발자취를남겼다.효종의즉위이후청나라에대한복수설치를역설한<기축봉사(己丑封事)>를올려북벌론을제시하였고,학문적으로는주자성리학을정통으로삼아남인학자인윤휴와대립하였다.이후남인,소론과갈등이깊어지다가효종의천릉(遷陵),왕실복제를둘러싼예송(禮訟)으로논핵을받아삭탈관직되고덕원(德源),장기,거제도(巨濟島)에서유배생활을하였다.1689년원자책봉문제로제주(濟州)에유배되었다가서울로압송되던중정읍(井邑)에서사사(賜死)되었다.1756년(영조32)문묘(文廟)에배향되고영의정에추증되었다.저서로《송자대전》,《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정서분류(程書分類)》,《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考)》등이있다.

역자:곽신환
1954년충북옥천출생으로,대전고,숭실대학교철학과,성균관대학교대학원동양철학과를졸업,논문「주역의자연관과인간관」으로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1982년부터숭실대학교철학과교수로재직하면서성리학,주역철학,중국철학사,한국철학사등동아시아철학을연구하며강의하였고2019년가을정년퇴임후명예교수로있다.한국정신문화연구원파견교수,대만교육부한학연구중심초빙교수,미국뉴욕주립버펄로대학방문교수로연구하였고,숭실대학교에서학생처장,교무처장,대학원장,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을역임하였다.한중철학회회장,주역학회회장,율곡학회회장,철학연구회회장을역임하였고주자학술상,열암학술상,율곡학술대상,황조근정훈장을받았다.
주요저·역서로『주역의이해』(서광사,1990),『철학에의초대』(서광사,1992),『중국철학의정신』(서광사,1993),『직하철학』(철학과현실사,1995),『주자언론동이고』(소명출판,2002),『조선유학자의지향과갈등』(철학과현실사,2005),『태극해의』(소명출판,2009),『소강절의선천역학』(예문서원,2012),『우암송시열』(서광사,2012),『조선유학과소강절철학』(예문서원,2014),『윤산온-공의와배려의행로』(숭실대학교출판부,2017),『편하설-복음과구원의글로벌화』(숭실대학교출판부,2017),『주역의지혜』(서광사,2017),『1583년의율곡이이』(서광사,2019)등이있다.

목차

옮기고해설한이의서문5
일러두기10

제1단락.서음(序吟)17
1.옛날을사모함[慕古]18
2.눈여겨봄[著眼]22

제2단락.자경(自警)과성찰(省察)27
3.스스로경계함[自警]29
4.스스로탄식함[自歎]35
5.술마시기[飮酒]38
6.묵묵히셈함[默數]42
7.스스로탓함[自咎]45
8.송별-손자회석이고향에돌아감에써줌[送別]48
9.안분[安分]52
10.괴이한일들[怪事]54
11.늦은깨달음[晩悟]57
12.스스로기뻐함[自喜]59
13.전혀정률에매이지않음[都無平仄]62
14.혼잣말하기[獨語]66
15.낮꿈[午夢]69
16.우스갯말72
17.홀로섬[獨立]75
18.경계할줄앎[知戒]78
19.호변을흉내냄81
20.낮추보고높여봄84
21.글읽기기뻐하여[喜讀]87
22.두려워하지않음[不懼]90
23.멀리둘러봄[遠覽]94
24.두눈이밝아짐[明開兩眼]97
25.스스로말함[自語]100
26.아득한옛날을골똘히생각하기[冥思邃古]103
27.소인의정상을간파함[看破宵人情狀]106
28.작은행실도신중히생각함[思矜細行]109
29.우러러보고굽혀살핌[仰觀俯察]112

제3단락.중국의역사와인물115
30.전기를한가로이봄[閒看傳記]117
31.포희씨를직접만남[包犧親見]120
32.신농씨가꿈에나타남[神農夢見]123
33.황제에대하여말함[陳辭黃帝]126
34.전욱을깊이찾음129
35.제곡을탐구함131
36.당제를존숭함[欽惟唐帝]134
37.순씨를존숭함[欽惟舜氏]137
38.우왕은흠잡을수없다고말한것은중니[無間之言是仲尼]140
39.탕왕의부끄러움을풀어줌[爲湯慙解釋]144
40.문왕이상제를마주대함[文王對越]148
41.대무를마음껏관람함[縱觀大武]151
42.환공과문공의공과죄[桓文功罪]154
43.일곱나라에짜증남158
44.진관에서옛날을슬퍼함[秦關弔古]161
45.한나라의도를높이기림[揄揚漢道]164
46.후한을생각함[思量後漢]167
47.슬프다!촉한이여170
48.노적조조를깊이꾸짖음[深誅老賊]173
49.전오를차갑게바라봄[冷看典午]176
50.남북조시대가짜증남[南北之朝可厭]179
51.저런!저런!수나라[彼哉彼哉隋氏]182
52.선리당(唐)을추하게여김[醜差仙李]185
53.오계의분쟁[五季紛爭]188
54.송나라에눈이밝게열림[眼爲明開宋氏]190
55.남으로건너간것을길게탄식함[永嘆南渡]193
56.오랑캐원이뜻이룸을개탄함[感慨胡元得志]196
57.성군의시대를기쁘게맞이함[欣逢聖際]199
58.우주를훑어봄[流觀宇宙]202

제4단락.도학의연원과흐름205
59.많은말이일을해침[多言害事]207
60.주공이전과이후[周公上下]210
61.공자를죽도록뚫어보고우러러봄[鑽仰沒身宣聖]213
62.안회의호학을우러러봄216
63.증참을우러러봄[參乎仰止]219
64.중용에서깨닫지못한것을탐구함[玩索中庸未得]223
65.맹씨를추존함[推尊孟氏]226
66.순경·양웅의도를배반함을물리침[攘斥荀揚反道]229
67.왕통과한유의장단점[王韓長短]232
68.천지의개벽을다시봄[再見乾坤開闢]235
69.순공정명도를칭송하고찬탄함[頌歎程純明道]238
70.정이천의엄숙공경[伊川肅敬]241
71.요부의안락을자나깨나생각함[寤寐堯夫安樂]244
72.중성명자장재를살펴봄[夷考中誠明子]247
73.속수사마광을따르며본받음[追宗涑水]250
74.장강·한수와가을볕같은회보[江漢秋陽晦父]253
75.선공장식의벗사귐[宣公取友]257
76.성공여조겸이벗을얻음[成公得友]260
77.하남정호·정이문하생을상상함[緬想河南門下]263
78.멀리주문의여러선생을찾아[遠溯朱門諸子]266

제5단락.우리의역사269
79.부모와내나라가바둑판같이작지만270
80.삼한·삼국을탄식함[歎息三韓三國]273
81.고려오백년의시작과끝[終始高麗五百]276
82.조선왕조의만세를노래함[歌誦王家萬世]279

제6단락.도학의문헌,경부(經部)및사·자부283
83.『상서』를소리내어읽음[尙古之書誦讀]285
84.육의편장『시』를풍영함[六義篇章諷詠]288
85.『역』을읽음[讀易]291
86.『춘추』를이해하지못함[筆削之書不識]295
87.『예』를읽음[讀禮]298
88.『악』의결락을깊이안타까워함[深嗟樂缺]301
89.『대학편』을숙독함[大學之篇熟讀]304
90.『논어』에침잠함[沈潛論語]307
91.아성의책을쾌독함[亞聖之書快讀]310
92.『중용』을경건히대하여탐구하고풀이함[敬對中庸玩繹]314
93.역사서를읊음[詠史]317
94.제자서를개의치않음[諸子之書不管]320

제7단락.도학의문헌,집부(集部)1;북송5현의문집323
95.주돈이선생의책을극진히연구함[周子之書硏極]324
96.하남두정선생의문집익히기[熟習河南二集]326
97.안락시편에무릎을침[安樂詩篇擊節]329
98.『정몽』·『이굴』을탐색함[探索正蒙理窟]332
99.속수사마광의시와글을탐독함[涑水詩書把玩]335

제8단락.도학의문헌,집부(集部)2;주희의문집과저술339
100.회보의시와글을강독함[晦父詩書講讀]341
101.늙어가며『소학』을겸하여봄[老去兼看小學]344
102.『대학』을오로지『장구』에의거하여공부함[大學專依章句]347
103.『대학』을『혹문』과함께봄[大學兼看或問]350
104.『논어』를오로지『집주』로공부함[論語專治集註352
105.『논어』를『혹문』과함께봄[論語兼看或問]354
106.『7편주석』을상세히연구함[詳究七篇註釋]358
107.『7편혹문』을함께익힘[兼習七篇或問]361
108.『중용장구』를소리내어익힘[誦習中庸章句]363
109.『중용혹문』을반복하여읽음[反復中庸或問]365
110.『역』을오로지『본의』로봄[大易專看本義]368
111.『시전』에침잠하여싫증내지않음371
112.전례를오로지『의례경전통해』에의거함[典禮專依通解]374
113.『한천4례』를받들어지킴[敬守寒泉四禮]377
114.늘『통감강목』을봄[常看綱目]381
115.『이락연원록』에믿음이감[錄有淵源信及]384
116.『명신언행록』을열람함[看閱名臣言行]387
117.『초사집주』를봄[看到楚辭集註]390
118.무슨일로『참동계고이』를지었나[何事參同考異]393
119.『창려고이』를상세히연구함[詳究昌黎考異]396
120.『연평문답』을깊이음미함[深味延平問答]398
121.아침저녁으로『문공전집』을대함[早夜文公全集]401
122.『주문어류』를탐색함[探索朱門語類]404
123.자양의글을독실히좋아함[惟紫陽書篤好]407

제9단락.관물(觀物)과함양(涵養)411
124.절로흥이일어[漫興]412
125.초목을한가로이바라봄[閒看草木]415
126.곤충을묵묵히관찰함[默察昆蟲]417
127.오곡의파종420
128.털과깃달린짐승을훑어봄[流觀毛羽]423
129.크게보기[大觀]426
130.큰것을말함[語大]429
131.작은것을말함[語小]431
132.홀로있을때삼감[謹獨]434
133.경계하고두려워함[戒懼]437

제10단락.결음(結吟)439
134.하나의원두에이르러말이없음[到一原頭不語]441

해제445

출판사 서평

이책은우옹송시열(1607-1689)이1679년73세나이에가시울타리가쳐진거제도유배지에서지은7언율시134수의연작수미음을옮기고해설한것이다.
이연작시는그형식에서드러나듯소옹(1011-1077)의『격양집』에있는수미음134수를본뜬것이다.수미음134수의형식과그운을따른것이다.그러나전체의내용이그가일생학습하고지향했던도학을주제로했다는것과,나름의전체적기획속에이루어졌다는점에서그때그때즉흥적으로이루어진소옹의수미음과다르다.

우옹의수미음134수에는전체제목도없고,각각의제목도없다.그런데상세히살펴보면시전체가도학의연원과흐름을주제로하고있고또도학자의삶에서드러나는과제들을소재로삼고있다.모두7언율음에각운을지니고있지만사실이시는노래라기보다는이야기에가깝다.곧우옹의수미음은모두함축된이야기들로되어있다.대부분의시어가경전적인전거가있거나어떤사건적배경을갖고있다.한편의시속에담긴이야기가대여섯개나되니수미음모두에600개쯤되는각종이야기들이담겨있는데이들은도학의언저리에있다.그리고134수가나름의단락을이루면서주제의집중성과연관성을보이고있다.즉도학적삶의주제,도학의연원,도학형성의문헌과도학자들,도학의주요개념을집중적으로읊고있기때문이다.그는자신의학문도학을다시음미하듯정리하면서자신의사람의정체성을지키려하고있고그본질과사례에서위안을얻으려하고있다.그리고나름의크고작은단락을이루면서주제의집중성과연관성을보이고있다.
저자는내용을감안하여우옹의수미음134수를열개의단락으로구분하였다.

제1단락.서음(序吟);옛사람옛성현의시대를사모함을읊고있는데,사실상앞으로다루는모든시제는이범주안에있음을암시한다.
제2단락.자경(自警)과성찰(省察);이단락은우옹의자기반성과경계및학문적관심사또는지향을보여준다.대상과내용이도학자의일상적지향을보여주는수양과경계이며당시의정치적현안을소재로하지않았다.
제3단락.중국의역사와인물;전기를통해서볼수있는상고시대부터역사시대에이르는인물들에대해서,또인물과왕조대를엮어서서술하고있다.
제4단락.도학의연원과흐름;주공으로부터공자,안연,증참,자사,맹가,순자와양웅,왕통과한유,주돈이,정호,정이,소옹,장재,사마광,주희,장식,여조겸,정호·정이형제의문하그리고주희의문인들이다.
제5단락.우리의역사;이단락에서는우리나라가바둑판만한작은나라라는인상에서부터삼한시대,고려시대그리고조선왕조를차례로읊고있다.
제6단락.경부(經部);이단락에서는동양의도서분류법인경·사·자·집의사부분류법에서경부에해당하는6경4서와사와자부를대상으로하여읊고있다.사와자를단한수만배당한것이눈에띈다.
제7단락.집부(集部)1;북송5현의문집.이단락은사부분류법의집부에해당하는데해당분량이많아서편의상북송5현의문집만따로나누어집부1이라하였다.
제8단락.집부(集部)2;주희의문집과저술.이단락의24수역시집부에속하는것을다루었는데주희의문집과그의저술만따로분류했다.
제9단락.관물(觀物)과함양;이단락의10수는도학자들이격물의일환으로중시하던관물과함양을다루고있다.정이가“함양은모름지기경공부에있고진학은치지에있다”라고한공부법과같은맥락이다.서론격인124번째의시는흥이나는대로적음이라고하였지만초목,곤충,오곡,금수에대한유관과대관의관찰,그리고큰것,작은것,근독,계구에이르는깊은사색과지경(持敬)의공부를다루었다.
제10단락.결음(結吟);제134:1수;이는공부의최종지점을모든다양성을합일,환원시키는하나의원두점에도달함으로설정하고,그경지는인간의어떤언사도필요하지않은곳임을밝힌것이다.

책의제목을『도학의위안』으로한것은수미음의집필정황과동기가도학에대한정리와재음미를통하여그가처한고난의이유와의미그리고자신이취할태도에대한답을찾는것이었기때문이다.
또한최후의로마철학자로불리는보에티우스가반역자로모함을받아처형을기다리는감옥에서저술한『철학의위안』이억울한처벌에대한위안을스스로찾고또이를그런처지에있는사람에게권면하고있음과유사하다고보았기때문이다.

마치못에물이다빠져버린것과같고,말을해도아무도믿어주지않는상황을『주역』에서는곤(困)이라하고,군자대인은이런곤경에서도기쁨으로대처하고목숨을다하여그뜻을이룬다고했다.우옹은비록처지는험난했지만죽으면죽으리라의강건한중심을유지하며도학의청명정대한경지와숭덕광업의정학이라는신념을이연작시를통해유감없이펼쳐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