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
저자

한승혜,박정훈,김용언,심진경,이라영,조이한,정희진,장은수

이름이많은사람.한국인,여성,엄마,아내,가사노동자,마감노동자,독자,작가,모든것에해당하는동시에무엇으로도설명되지않는사람.여러매체에칼럼을기고중이며,베스트셀러서평집인《제가한번읽어보겠습니다》를썼다.
오롯이한사람으로서서기위해개인주의를연습하는중이다.주로부엌에서쓴다.

목차

서문‘걸작’은누구를모욕하는가

말괄량이는정말로길들었을까?_한승혜
셰익스피어,〈말괄량이길들이기〉

‘미투이후’의세상에서《달과6펜스》읽기_박정훈
서머싯몸,《달과6펜스》

그여자를찾아내퇴치하라_김용언
레이먼드챈들러,《안녕내사랑》

‘위대함’은어떻게만들어지는가?_심진경
F.스콧피츠제럴드,《위대한개츠비》

아름답게미친여자들,그들은누구인가_이라영
앙드레브르통,《나자》

그리스인조르바,‘자유로운남자’라는환상_조이한
니코스카잔차키스,《그리스인조르바》

식민지남성성과미소지니_정희진
이상,〈날개〉

고통을대가로자유를선택한해방의여신_장은수
에우리피데스,〈메데이아〉

출판사 서평

“타자를주체로서존중하지않고
아름다움을말하는것은예술적사기다.”

타자화된채박제된여성들을위한문학적진혼굿
여성의관점으로‘고전’,‘걸작’의조건을질문하다

〈말괄량이길들이기〉,『달과6펜스』,『안녕내사랑』,『위대한개츠비』,『나자』,『그리스인조르바』,〈날개〉,〈메데이아〉.이들은서로다른시기에서로다른국가에서쓰인작품이다.하지만공통점이있다.첫째,‘걸작’으로불리며오래도록읽혔다는점.둘째,모두여성을모욕하여‘예술적성취’를이뤘다는점.

『여자를모욕하는걸작들』은소위‘고전’,‘걸작’으로소개되고읽혀온이들작품을비판적으로재독해하여고전,걸작의조건을질문한다.핵심질문은두가지다.문학을지배하는시선은누구의시선인가.문학작품속에서여성은어떻게정의되는가.

위작품에서여성인물은대개악녀,속물,거짓말쟁이,정신질환자,마녀,억압자,예술적객체등으로재현되었다.긍정적으로그려질때도있지만,철저히남성에게종속되어그들에게돌봄과재생산노동을제공했을때만그러했다.반면남성들은여성들이모욕을감내하는동안위대해지고,자유를얻으며,초월적지위를얻고,보편적인권위를확보했다.문제는이모든게‘예술’이라는이름으로용인되었다는점이다.예술은세상을바라보는사람들의시선에영향을끼치며자신의관점을재생산한다.때문에이들작품의여성혐오는우리가어떤방식으로세상을바라보고살아가는지의문제이기도하다.모욕당한여성들을위한문학적진혼굿을통해그들의빼앗긴명예를복권하는일이시급한이유다.

악녀,속물,거짓말쟁이,정신질환자,예술적객체…
모욕당한여성을복권하기위한여덟가지질문

『여자를모욕하는걸작들』을쓴여덟명의저자는자신만의관점으로여성을모욕한걸작을고발한다.먼저한승혜는사회가여성을통제하는수단으로‘정신병’을활용해온역사의연장에서〈말괄량이길들이기〉를독해한다.단지남성에게자기의견을적극적으로말했다는이유로‘말괄량이’취급받고폭력적인방식으로‘교정’당하는주인공카타리나에게서‘미치광이’로몰린모든여성의초상을발견할수있다.박정훈은실존화가폴고갱을모델로삼은『달과6펜스』를거슬러읽으며‘위대한남성예술가신화’가어떻게구축되는지를추적한다.여성을철저히도구취급하는남성예술가의폭력성이‘천재성’으로해석되어온역사에반기를드는것이다.

김용언은하드보일드장르의대가레이먼드챈들러의『안녕내사랑』을좌절된남성성의어긋난발현이라는맥락에서해석한다.전쟁후남성들이겪은존재론적위기가‘여성을퇴치하라’라는장르문법의확립으로이어졌다는독해는‘중립적’이라여겨지는장르를비판적으로성찰할기회를제공한다.심진경은낭만의화신으로일컬어지는『위대한개츠비』의개츠비가정말위대한지를질문한다.개츠비의위대함은미국의신여성인‘플래퍼’를타자화한후에야가능할수있었다는것이그의진단이다.

이라영은초현실주의의주창자앙드레브르통의『나자』를거슬러읽으며초현실주의자들이예찬한‘발작적아름다움’이무엇을대가로했는지를심문한다.노동계급여성나자의삶에초점을맞추는그는,초현실주의자들이현실을살아가는여성의구체적삶을보기를거부했을때만‘발작적아름다움’에도달할수있었다고고발한다.조이한은현대인들이자유의대명사로여기는『그리스인조르바』의자유가철저히남성에게만허락된영역이었다는점을성토한다.『그리스인조르바』에서여성혐오적언어를적극적으로찾아내고그안에담긴남성중심적인식을폭로하기도한다.

정희진은‘식민지남성성’이라는키워드로〈날개〉를독해한다.식민지남성성개념을통해,우리는아내에게절대적으로의존하는남성이오히려자신을‘피해자’라주장하는역설을중층적맥락에서살펴볼수있다.마지막으로장은수는모든‘마녀’의원형인〈메데이아〉의주인공을탈식민주의페미니스트전사로재해석한다.메데이아의‘악행’이사실은능력있는이방인여성을향한당대의차별적시선에서연유했다는점을밝혀그녀의억울함을달래주는것이다.

여성을모욕하는문학적관습에서벗어나
고전목록을어떻게다시쓸것인가

여성이문학에서어떻게모욕당해왔는지를살펴보는보다간편한방법도있다.몇명의저자가공통으로사용한방법은작품의성별뒤집기다.아무도천방지축남성을‘말괄량이’로부르지않고,남편을두고‘길들인다’고표현하지않는다(〈말괄량이길들이기〉).남자가자신을유혹한다며‘악마’라고손가락질하는여성은상상할수없다(『그리스인조르바』).남성성을팔아가족을부양하고돌봄노동을제공하는데도남편이자신을억압한다며비난하는아내(〈날개〉),아내를위해모든것을버리고헌신했으나처참하게버려지는남편(〈메데이아〉)도마찬가지다.즉,수많은‘걸작’은여성을남성보다낮은위치에고정시켰을때만가능한이야기구조를활용한다.

중립을가장한남성화자를내세우는것도하나의방법이다.『달과6펜스』,『안녕내사랑』,『위대한개츠비』,『나자』,『그리스인조르바』등의작품에등장하는남성화자는‘객관적관찰자’를표방한다.그러나모두에게적당한거리를두며비판적거리를두는것처럼보이는작중남성화자는끝내남성주인공이설파하는가치를독자에게설득시키기는데결정적역할을수행한다.중립적,객관적관찰자는여성타자화를그럴듯하게만드는허울좋은핑계에불과하다.

여성의관점에서걸작을다시읽는『여자를모욕하는걸작들』의시도는고전의의미를확장적으로재정의한다.고전은의미가고정된채절대적권위를뿜는작품이아니다.오히려시대에따라다르게해석될거리를풍부하게가진작품이야말로고전이라불릴만하다.『여자를모욕하는걸작들』은동시대의관점에서고전의가치를다시금고민해보는소중한계기가되어줄것이다.나아가이를통해우리는고전의목록을다시작성할수도있다.여성을타자화하지않는걸작,여성을주체로존중하는고전의목록은아직쓰이지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