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달도 가짜라는 소문 들었어
그래도 네가 편안한 밤 보내면 좋겠다”
지금, 여기로부터 멀어짐으로써 가닿는
신예 조시현의 빛나는 상상력
★ 한국 시의 SF적 상상력! 조시현 첫 시집 출간★
그래도 네가 편안한 밤 보내면 좋겠다”
지금, 여기로부터 멀어짐으로써 가닿는
신예 조시현의 빛나는 상상력
★ 한국 시의 SF적 상상력! 조시현 첫 시집 출간★
왜 쓰냐고 나에게 자주 묻는다. 어떤 것은 대답이 되고 어떤 것은 되지 않는다. 다만 계속 싸우는 사람이고 싶다.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쓰고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산다고 적은 적 있다. [......] 그 안에서 진실했다고, 실패했거나 실수했을지언정 그것이 부끄럽지 않다고 말할 수 있으면 좋겠다.
_「해가 세 번 뜨는 디스토피아」 시작 노트(『뉴스페이퍼』)
2019년 『현대시』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조시현의 첫 시집 『아이들 타임』이 문학과지성사 2023년 시인선 첫 책으로 출간되었다. 데뷔 당시 일반적인 서사 구조를 탈피한 독특한 상상력으로 이목을 모았던 조시현, 사실 그는 2018년 『실천문학』 신인상에서 단편소설 「동양식 정원」을 발표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시와 소설의 경계를 허물고 오롯이 자신의 문학적 상상력을 확장해 나가는 신예 조시현은 일찍이 테마소설 『이 사랑은 처음이라서(공저)』를 통해 독자들의 관심을 받았고, 문학지 『현대시』 『문학동네』 『창작과비평』 『AnA Vol.01』는 물론 웹진 〈시산맥〉, 〈뉴스페이퍼〉를 통해 평단에도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켜왔다. 60편의 시를 5부로 나눠 수록한 이번 시집은 멸종된 ‘지구 인간’을 중심으로 지구 안팎의 이야기를 이채롭고 방대하게 담아낸다.
시집의 제목 “아이들 타임”은 컴퓨터를 작동시키지 않고 입력과 출력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만 하는 현대인에게는 사뭇 낯선 개념이다. 기계의 쓰임이 보다 명확한 오늘날에는 작동과 오작동만을 구분한 채 일련의 단계는 생략되곤 한다. 하지만 시인은 자신이 존재하는 세계를 온전히 감각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한다.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이자 오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예술가 제니 오델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실제로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서 그 자리에 가만히 머무는 것”(제니오델,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 김하현 옮김, 필로우, 2021)이라 말했다. 조시현 역시 자신의 시 속에서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시공간의 ‘이동’이 아닌 ‘멈춤’을 택함으로써 자신이 발을 디딘 자리에서 상상력을 무한대로 확장해나간다. 이렇듯 장소성 혹은 시간성에 기대하지 않고 매번 새로운 이야기를 찾아내는 조시현이야말로 ‘한국 문학의 새로운 ‘스토리텔러’로 그 가능성을 이번 시집 『아이들 타임』에서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자신의 세계를 부정하는 게 아닌,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지구로부터 멀어지기를 택하는데, 문학평론가 홍성희는 그러한 그의 작업 방식을 “멀어짐은 멀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멀어짐으로써 닿으려는 것”이라 했다. 조시현이 시에서 돋보이는 SF적 상상력은 소설 분야에서는 이미 수많은 독자에게 각광을 받아왔지만, 시에서만은 막연히 먼 세계나 상징적인 의미로 그치곤 하였다. 하지만 조시현은 자신이 상상한 세계에 이야기를 덧입힘으로써 독자들을 전혀 다른 우주의 공간으로 초대한다.
조시현의 시는 반복되는 무늬로 가득한 이야기로부터 공간적, 시간적, 감각적으로 분리되기 위해 지구 바깥에서 지구를, 지구 인간이 멸종된 시점에서 지구 인간을, 인간이 없는 지구에서 인간이 있던 지구를 바라보고 기억하는 되새기는 방법을 활용한다. 그것은 단지 지금 여기로부터 아주 멀어져 초연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다. 멀어짐은 멀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멀어짐으로써 닿으려는 것이고, 멀어짐을 멀어짐으로 정당화하는 언어들에 멀어짐의 방식으로 맞서는 일이다.
_홍성희, 해설 「흰동가리 구하기」에서
_「해가 세 번 뜨는 디스토피아」 시작 노트(『뉴스페이퍼』)
2019년 『현대시』 신인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조시현의 첫 시집 『아이들 타임』이 문학과지성사 2023년 시인선 첫 책으로 출간되었다. 데뷔 당시 일반적인 서사 구조를 탈피한 독특한 상상력으로 이목을 모았던 조시현, 사실 그는 2018년 『실천문학』 신인상에서 단편소설 「동양식 정원」을 발표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시와 소설의 경계를 허물고 오롯이 자신의 문학적 상상력을 확장해 나가는 신예 조시현은 일찍이 테마소설 『이 사랑은 처음이라서(공저)』를 통해 독자들의 관심을 받았고, 문학지 『현대시』 『문학동네』 『창작과비평』 『AnA Vol.01』는 물론 웹진 〈시산맥〉, 〈뉴스페이퍼〉를 통해 평단에도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켜왔다. 60편의 시를 5부로 나눠 수록한 이번 시집은 멸종된 ‘지구 인간’을 중심으로 지구 안팎의 이야기를 이채롭고 방대하게 담아낸다.
시집의 제목 “아이들 타임”은 컴퓨터를 작동시키지 않고 입력과 출력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만 하는 현대인에게는 사뭇 낯선 개념이다. 기계의 쓰임이 보다 명확한 오늘날에는 작동과 오작동만을 구분한 채 일련의 단계는 생략되곤 한다. 하지만 시인은 자신이 존재하는 세계를 온전히 감각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한다. 스탠퍼드대학교 교수이자 오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예술가 제니 오델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실제로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서 그 자리에 가만히 머무는 것”(제니오델,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 김하현 옮김, 필로우, 2021)이라 말했다. 조시현 역시 자신의 시 속에서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시공간의 ‘이동’이 아닌 ‘멈춤’을 택함으로써 자신이 발을 디딘 자리에서 상상력을 무한대로 확장해나간다. 이렇듯 장소성 혹은 시간성에 기대하지 않고 매번 새로운 이야기를 찾아내는 조시현이야말로 ‘한국 문학의 새로운 ‘스토리텔러’로 그 가능성을 이번 시집 『아이들 타임』에서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자신의 세계를 부정하는 게 아닌,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지구로부터 멀어지기를 택하는데, 문학평론가 홍성희는 그러한 그의 작업 방식을 “멀어짐은 멀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멀어짐으로써 닿으려는 것”이라 했다. 조시현이 시에서 돋보이는 SF적 상상력은 소설 분야에서는 이미 수많은 독자에게 각광을 받아왔지만, 시에서만은 막연히 먼 세계나 상징적인 의미로 그치곤 하였다. 하지만 조시현은 자신이 상상한 세계에 이야기를 덧입힘으로써 독자들을 전혀 다른 우주의 공간으로 초대한다.
조시현의 시는 반복되는 무늬로 가득한 이야기로부터 공간적, 시간적, 감각적으로 분리되기 위해 지구 바깥에서 지구를, 지구 인간이 멸종된 시점에서 지구 인간을, 인간이 없는 지구에서 인간이 있던 지구를 바라보고 기억하는 되새기는 방법을 활용한다. 그것은 단지 지금 여기로부터 아주 멀어져 초연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다. 멀어짐은 멀어져버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멀어짐으로써 닿으려는 것이고, 멀어짐을 멀어짐으로 정당화하는 언어들에 멀어짐의 방식으로 맞서는 일이다.
_홍성희, 해설 「흰동가리 구하기」에서
아이들 타임 - 문학과지성 시인선 579
$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