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사람이 그리고 사랑만이 기적이다”
소리 없이 남기고 간 뜨거운 눈물
아롱진 자국을 어루만지는 시인의 손길
소리 없이 남기고 간 뜨거운 눈물
아롱진 자국을 어루만지는 시인의 손길
특유의 예민함과 애정 어린 시선으로 시대의 풍경을 그려내는 시인 곽효환의 다섯번째 시집 『소리 없이 울다 간 사람』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4부로 나뉘어 총 68편의 시로 구성된 이번 시집은 전작 『너는』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것으로, 시련과 상처를 견디며 눈물짓는 이들을 너른 품으로 끌어안아 보듬는다.
시대의 곡절과 흐름을 이야기할 때 흔히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주로 나열하곤 하지만, 사실 우리의 터전을 이루어온 대다수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주어진 삶과 사랑하는 타인을 지키기 위해 고통의 순간순간을 소리 없는 눈물로 버텨낸다. 이때 소리 내지 않음은 자칫 힘없고 유약한 수용처럼 보이지만, 역경의 무게와 어둠을 기꺼이 감내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차라리 단단하고 뜨겁다. 이 무명의 눈물들이야말로 진정 우리 사회를 추동해온 동력이며, 『소리 없이 울다 간 사람』은 근현대사의 뒤꼍에 남아 있는 눈물 자국을 가만히 쓸어보고 기억하고 되짚어보려는 문학적 시도다.
‘소리 없이 울다 간’ 존재들을 조명하는 시인에게 “차단된 삶의 여로이고, 단절된 역사의 현장이며, 잊혀가는 오래된 정감의 고향이자, 채울 수 없는 결핍과 그리움의 진원지”(『슬픔의 뼈대』 해설)인 북방은 특히나 유의미한 공간이다. 이에 『지도에 없는 집』(2010)에서부터 꾸준하게 이어져온, 시원과 궁극을 찾으려는 그의 북방 여정은 이번 시집에서도 계속된다. 연해주, 북만 등을 폭넓게 아우르는 곽효환의 시편들은 거대한 북방의 원형을 차근히 완성해나가며, 그동안 시인이 계획하고 꾸려온 “고되고 길었던 여정”의 끝 또한 “마침내 저 너머에 보이는 듯하”다. 그러나 묵묵한 울음과 식지 않는 슬픔이 존재하는 한 그는 “오래지 않아 주섬주섬/다시 여장을 꾸릴 것”(‘시인의 말’)이다. 사람과 사랑만이 몸을 기댈 수 있는 기적이기에.
멀리는 만주와 시베리아를 넘는 북방 공간이나 베트남 등 남방 공간까지, 가까이는 그의 오랜 근무처 인근이었던 광화문이나 청계천까지 오감을 열어놓은 시인의 발걸음은 넓고 깊게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걷다가 때때로 ‘시대의 정거장’이나 ‘시대의 강가’에 머물며 서성거리고 귀 기울인다. 그렇게 귀 기울이다 보면 그 찻길과 물길의 내력에 관련되었던 사람들의 안부가 궁금해지는 것은 차라리 자연스럽다. 그래서 시인은 안부를 물어야겠다고 말한다. 소극적 수용 단계를 넘어서 적극적 회통과 그것을 위한 다가서기의 의지적 발화다. 그러다 보면 사연 많은 말들을 채록하게 되고 이런저런 소문들을 접하게 되는데, 그것들을 가로지르면 사람살이의 다채로운 풍경첩을 마련하게 된다. 그렇게 마련한 ‘사람-풍경’을 독자에게 전해주어야겠다는 것, 이것이 바로 시인 곽효환의 시적 의지이고, 그 결실이 바로 이 시집이다.
-우찬제, 해설 「사람-풍경의 고현학」에서
시대의 곡절과 흐름을 이야기할 때 흔히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주로 나열하곤 하지만, 사실 우리의 터전을 이루어온 대다수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주어진 삶과 사랑하는 타인을 지키기 위해 고통의 순간순간을 소리 없는 눈물로 버텨낸다. 이때 소리 내지 않음은 자칫 힘없고 유약한 수용처럼 보이지만, 역경의 무게와 어둠을 기꺼이 감내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차라리 단단하고 뜨겁다. 이 무명의 눈물들이야말로 진정 우리 사회를 추동해온 동력이며, 『소리 없이 울다 간 사람』은 근현대사의 뒤꼍에 남아 있는 눈물 자국을 가만히 쓸어보고 기억하고 되짚어보려는 문학적 시도다.
‘소리 없이 울다 간’ 존재들을 조명하는 시인에게 “차단된 삶의 여로이고, 단절된 역사의 현장이며, 잊혀가는 오래된 정감의 고향이자, 채울 수 없는 결핍과 그리움의 진원지”(『슬픔의 뼈대』 해설)인 북방은 특히나 유의미한 공간이다. 이에 『지도에 없는 집』(2010)에서부터 꾸준하게 이어져온, 시원과 궁극을 찾으려는 그의 북방 여정은 이번 시집에서도 계속된다. 연해주, 북만 등을 폭넓게 아우르는 곽효환의 시편들은 거대한 북방의 원형을 차근히 완성해나가며, 그동안 시인이 계획하고 꾸려온 “고되고 길었던 여정”의 끝 또한 “마침내 저 너머에 보이는 듯하”다. 그러나 묵묵한 울음과 식지 않는 슬픔이 존재하는 한 그는 “오래지 않아 주섬주섬/다시 여장을 꾸릴 것”(‘시인의 말’)이다. 사람과 사랑만이 몸을 기댈 수 있는 기적이기에.
멀리는 만주와 시베리아를 넘는 북방 공간이나 베트남 등 남방 공간까지, 가까이는 그의 오랜 근무처 인근이었던 광화문이나 청계천까지 오감을 열어놓은 시인의 발걸음은 넓고 깊게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걷다가 때때로 ‘시대의 정거장’이나 ‘시대의 강가’에 머물며 서성거리고 귀 기울인다. 그렇게 귀 기울이다 보면 그 찻길과 물길의 내력에 관련되었던 사람들의 안부가 궁금해지는 것은 차라리 자연스럽다. 그래서 시인은 안부를 물어야겠다고 말한다. 소극적 수용 단계를 넘어서 적극적 회통과 그것을 위한 다가서기의 의지적 발화다. 그러다 보면 사연 많은 말들을 채록하게 되고 이런저런 소문들을 접하게 되는데, 그것들을 가로지르면 사람살이의 다채로운 풍경첩을 마련하게 된다. 그렇게 마련한 ‘사람-풍경’을 독자에게 전해주어야겠다는 것, 이것이 바로 시인 곽효환의 시적 의지이고, 그 결실이 바로 이 시집이다.
-우찬제, 해설 「사람-풍경의 고현학」에서
소리 없이 울다 간 사람 - 문학과지성 시인선 591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