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마음이 무거울 때 나를 그 무거움에서 헤어나게 하는 것은
자연과 시이다”
자연과 시이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시인 정현종이 담아낸 삶에 대한 ‘음미’의 흔적
여기 실려 있는 글들에서, 많이 부족한 대로, 삶에 대한 무슨 ‘음미’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면 얼마나 다행이랴.
-‘책머리에’에서
정현종 시인이 2003년에 펴낸 산문집 『날아라 버스야』가 2015년 개정판을 거쳐 2024년, 문학과지성사에서 30여 년 만에 “빛-언어 깃-언어”라는 새로운 제목의 두번째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경쾌하고 밝은 제목에 걸맞은 느낌의 표지로 2015년 새 옷을 입은 지 9년 만에 제목도 표지도 전혀 다른 책인 듯 완전히 탈바꿈하여 다시 한번 독자들을 찾아온 『빛-언어 깃-언어』의 특별함은 무엇보다 바뀐 제목에서부터 시작된다.
‘빛-언어 깃-언어’는 책의 3부 제목이기도 한데, 수록된 글의 제목으로 부의 제목을 붙인 1부· 2부와 달리 ‘빛-언어 깃-언어’는 3부의 「시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이라는 글에서 한 번 등장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 한 번의 언급 은 강렬하게 책의 중심을 관통한다. 이것이 바로 60년에 달하는 시간 동안 시인으로 살고 있는 정현종의 시론이 담긴 말이기 때문이다.
‘빛-언어 깃-언어’는 정현종 시인의 시론으로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열쇠라 할 수 있다. 2022년 출간한 열한번째 시집 『어디선가 눈물은 발원하여』(문학과지성사)에 수록된 산문 「시를 찾아서」에 이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다. ‘스튜디오 바이블’에서 진행한 온라인 강연을 정리한 이 글의 마지막 챕터 소제목도 ‘빛-언어, 깃-언어’이다.
“여명의 빛이 만물을 드러내 보여주듯이, 시적 언어는 사물의 의미와 가치, 그 존재 속에 내장되어 있는 깊이와 넓이를 드러내 보여”준다고 여기는 시인에게 ‘빛-언어’는 시적 언어와 같은 말이다. 정현종 시인에게 “시적 상상 활동 속에서 시간과 공간은 무한에 이어”지고 “시적 시간은 항상 태초”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인은 “‘가벼움’에 대한 느낌과 관념을” 새들을 통해서 얻는다고 밝히고 있다. 한데 “예술이 우리를 짓누르는 지상의 짐에서 해방한다든지, 삶을 견디게 해준다든지 하는” 바슐라르나 니체 등 “인류의 뛰어난 정신들이 한 이야기”가 곧 “마음이 가벼워지며 힘을 얻는다는 것”이므로, 시가 ‘깃-언어’라는 의미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버스마저 날아가게 하는, 깃처럼 가벼운 시의 힘. 전혀 다른 듯했던 이전 제목 “날아라 버스야”와 “빛-언어 깃-언어”는 어쩌면 같은 말이기도 할 것이다.
시인 정현종이 담아낸 삶에 대한 ‘음미’의 흔적
여기 실려 있는 글들에서, 많이 부족한 대로, 삶에 대한 무슨 ‘음미’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면 얼마나 다행이랴.
-‘책머리에’에서
정현종 시인이 2003년에 펴낸 산문집 『날아라 버스야』가 2015년 개정판을 거쳐 2024년, 문학과지성사에서 30여 년 만에 “빛-언어 깃-언어”라는 새로운 제목의 두번째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경쾌하고 밝은 제목에 걸맞은 느낌의 표지로 2015년 새 옷을 입은 지 9년 만에 제목도 표지도 전혀 다른 책인 듯 완전히 탈바꿈하여 다시 한번 독자들을 찾아온 『빛-언어 깃-언어』의 특별함은 무엇보다 바뀐 제목에서부터 시작된다.
‘빛-언어 깃-언어’는 책의 3부 제목이기도 한데, 수록된 글의 제목으로 부의 제목을 붙인 1부· 2부와 달리 ‘빛-언어 깃-언어’는 3부의 「시에 대한 몇 가지 생각」이라는 글에서 한 번 등장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 한 번의 언급 은 강렬하게 책의 중심을 관통한다. 이것이 바로 60년에 달하는 시간 동안 시인으로 살고 있는 정현종의 시론이 담긴 말이기 때문이다.
‘빛-언어 깃-언어’는 정현종 시인의 시론으로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열쇠라 할 수 있다. 2022년 출간한 열한번째 시집 『어디선가 눈물은 발원하여』(문학과지성사)에 수록된 산문 「시를 찾아서」에 이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다. ‘스튜디오 바이블’에서 진행한 온라인 강연을 정리한 이 글의 마지막 챕터 소제목도 ‘빛-언어, 깃-언어’이다.
“여명의 빛이 만물을 드러내 보여주듯이, 시적 언어는 사물의 의미와 가치, 그 존재 속에 내장되어 있는 깊이와 넓이를 드러내 보여”준다고 여기는 시인에게 ‘빛-언어’는 시적 언어와 같은 말이다. 정현종 시인에게 “시적 상상 활동 속에서 시간과 공간은 무한에 이어”지고 “시적 시간은 항상 태초”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인은 “‘가벼움’에 대한 느낌과 관념을” 새들을 통해서 얻는다고 밝히고 있다. 한데 “예술이 우리를 짓누르는 지상의 짐에서 해방한다든지, 삶을 견디게 해준다든지 하는” 바슐라르나 니체 등 “인류의 뛰어난 정신들이 한 이야기”가 곧 “마음이 가벼워지며 힘을 얻는다는 것”이므로, 시가 ‘깃-언어’라는 의미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버스마저 날아가게 하는, 깃처럼 가벼운 시의 힘. 전혀 다른 듯했던 이전 제목 “날아라 버스야”와 “빛-언어 깃-언어”는 어쩌면 같은 말이기도 할 것이다.
빛-언어 깃-언어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