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 - 문학과지성 시인선 606

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 - 문학과지성 시인선 606

$12.00
Description
“그때 알았을까,
어쩌면
내 몸은 삼십 년을 뚫어놓은 구멍이라는 것을”

평범해서 결코 당연하지 않은 미래
그 우연 속에 사랑하는 ‘우리’가 있어서
먼바다의 파도를 타고 오늘로 돌아온 시인
신용목 일곱번째 시집 출간


슬픔에 적극적으로 침잠함으로써 서정과 사회를 연결해온 시인 신용목의 일곱번째 시집 『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가 문학과지성 시인선 606번으로 출간되었다. 전작 『비에 도착하는 사람들은 모두 제시간에 온다』(문학동네, 2021) 이후 3년 만에 묶는 시집으로, 마흔한 편의 시가 총 여덟 부로 나뉘어 실려 있다. 첫 시집 『그 바람을 다 걸어야 한다』(문학과지성사, 2004)가 세상에 나온 지 꼬박 20년이 흐른 지금, 시인은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며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열아홉의 내가
자신의 미래를 보고 싶어서
삼십 년을 살았다

내 미래는 이런 거였구나, 이제 다 보았는데
돌아가서
알려주고 싶은데, 여전히 계속되는 시속 한 시간의 시간 여행을 이제 멈추고
돌아가서
알려주면, 열아홉의 나
자신 앞에 놓인 삼십 년의 시간을 살아보겠다 말할까
아니면
살지 않겠다 말할까
-「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 부분

미래는 아직 도래하지 않았으나 언젠가는 맞닥뜨려야 하는 순간이므로 늘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러나 미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단 하나, 그저 주어진 당장을 살아가기. 얼핏 시시하고 쉬운 길처럼 보이지만, 일상의 평범이 곧 평온은 아니다. 현재를 살아 미래로 가는 일은 “울음소리”와 “닿지 않는 분노”(「목항」)를, “나를 키운 모든 욕망”과 “나를 죽인 모든 것”(「오월에서 사월로 무지개가」)을 끊임없이 통과하는 일이다. 그 한가운데에서 “어금니가 다 상해버”릴 정도로 꽉 입을 다물어 “몸속의 아이들을 침묵 속에 가두”(「포인트 니모」)어야 하는, “내 속의 아이가 깨지 않기를/그래서 울지 않기를/바”라야 하는 일이다. 그렇게 살아남은 미래의 ‘나’는 이제 과거의 ‘나’가 보고자 했던 미래가, 즉 ‘나’의 현재가 지난한 과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안다. 이토록 우연히 미래에 놓인 생존자로서, 열아홉의 마음을 품은 채 30년을 지나온 시인은 의문을 던진다. 과거로 돌아가 그 시절의 ‘나’에게 앞으로의 시간이 어떠한지 일러주면, 그는 “살아보겠다 말할까/아니면/살지 않겠다 말할까”(「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
대답의 내용이 어떻든 ‘나’는 제 앞에 펼쳐져 있는 시간을 살아내야 한다. “미래에 대해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도”(「우금치」), “미래는 이런 거였구나, 이제 다 보”(「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고 난 뒤 삶에 자신이 없어지더라도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아침”(「가로」)은 어김없이 찾아오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미래는 결국 망”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삶을 이어가야 하는 “내 몸은/뾰족하게 깎은 인생으로//시간을 뚫어놓은 구멍”이다. 다만 이 구멍은 결손이나 상흔이라기보다는, 시간이 드나드는 통로에 가까울 것이다. 그리고 “회오리치는 사랑”이 기운차게 그 내벽을 “붉은 피로 돌”(「우연한 미래에 우리가 있어서」)며 몸을 한껏 열어젖혀 헤집을 것이다. 그렇게 사랑으로 “파헤쳐진 몸은 내 것이어도 나만의 것은 아니”(「독주회」)다. 우연한 미래에 있는 것은 ‘나’가 아닌 “사랑 안에서만 믿을 수 있는 우리”(「수요일의 주인」)다.
저자

신용목

저자:신용목
2000년작가세계신인상을통해작품활동을시작했다.시집『그바람을다걸어야한다』『바람의백만번째어금니』『아무날의도시』『누군가가누군가를부르면내가돌아보았다』『나의끝거창』『비에도착하는사람들은모두제시간에온다』등이있다.

목차


시인의말

0부하루를더사는일은한명의사라진나를두명의사라진나로만드는일이다
봄학기|눈사람에게공장을돌리게하자|시계탑

1부열아홉의내가자신의미래를보고싶어서삼십년을살았다
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

2부음악을모르는것처럼피아노는흰색과검은색을가졌을뿐인데
독주회|수요일의주인|작사가|연애|화전|토키영화|여성안심귀갓길|러시아워|공평한사랑|분실물보관소|외시경

3부할인마트간판에불이켜지는시간이면나는냉동육과가족을구분할수없습니다
미래중독

4부이제내려가요밥먹을때잖아요
무지개비|잠만자겠습니다|가로|대여된잠|델몬트유리병|북해어|침묵을본뜬것처럼|유례|공가|하루|옥상의조건

5부우리가미래에대해아는것이아무것도없어도내일이오는것처럼
목항|부여라는곳|목격자|오월에서사월로무지개가|광주|백제수업|우금치|저자|농공단지|연무일

6부평생같은말을반복하는앵무새도늙어죽겠지
마모|퇴식구|앵무새둥지

7부제몸속의아이들을침묵속에가두느라어금니가상해버린마법사
포인트니모

발문

슬픔과돌?·?송종원

출판사 서평

열아홉의내가
자신의미래를보고싶어서
삼십년을살았다

내미래는이런거였구나,이제다보았는데
돌아가서
알려주고싶은데,여전히계속되는시속한시간의시간여행을이제멈추고
돌아가서
알려주면,열아홉의나
자신앞에놓인삼십년의시간을살아보겠다말할까
아니면
살지않겠다말할까
―「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부분

미래는아직도래하지않았으나언젠가는맞닥뜨려야하는순간이므로늘궁금증을자아낸다.그러나미래를알수있는방법은단하나,그저주어진당장을살아가기.얼핏시시하고쉬운길처럼보이지만,일상의평범이곧평온은아니다.현재를살아미래로가는일은“울음소리”와“닿지않는분노”(「목항」)를,“나를키운모든욕망”과“나를죽인모든것”(「오월에서사월로무지개가」)을끊임없이통과하는일이다.그한가운데에서“어금니가다상해버”릴정도로꽉입을다물어“몸속의아이들을침묵속에가두”(「포인트니모」)어야하는,“내속의아이가깨지않기를/그래서울지않기를/바”라야하는일이다.그렇게살아남은미래의‘나’는이제과거의‘나’가보고자했던미래가,즉‘나’의현재가지난한과거로이루어져있음을안다.이토록우연히미래에놓인생존자로서,열아홉의마음을품은채30년을지나온시인은의문을던진다.과거로돌아가그시절의‘나’에게앞으로의시간이어떠한지일러주면,그는“살아보겠다말할까/아니면/살지않겠다말할까”(「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

대답의내용이어떻든‘나’는제앞에펼쳐져있는시간을살아내야한다.“미래에?대해?아는?것이아무것도?없어도”(「우금치」),“미래는이런거였구나,이제다보”(「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고난뒤삶에자신이없어지더라도“영원히벗어날수없는아침”(「가로」)은어김없이찾아오게마련이기때문이다.“미래는결국망”한다는것을알면서도삶을이어가야하는“내몸은/뾰족하게깎은인생으로//시간을뚫어놓은구멍”이다.다만이구멍은결손이나상흔이라기보다는,시간이드나드는통로에가까울것이다.그리고“회오리치는사랑”이기운차게그내벽을“붉은피로돌”(「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며몸을한껏열어젖혀헤집을것이다.그렇게사랑으로“파헤쳐진몸은내것이어도나만의것은아니”(「독주회」)다.우연한미래에있는것은‘나’가아닌“사랑안에서만믿을수있는우리”(「수요일의주인」)다.

“나의조상은몽상가가아니라
노동자였습니다”
꿈이란잠바깥에있는것
부단히움직여만들어야하는것

이제고백하자.나는죽은사람이살던집에서죽은사람이쓰던물건을쓰는사람.
내가잠들었을때,내가사는집에서내가쓰던물건을쓰는사람이있는것처럼.나는죽은사람의인생속에서죽은사람의몸을쓰며사는사람.
하지만

이건악몽이고,악몽은잠속에있어야하는데

나는한번도잠들지않았습니다.
―「미래중독」부분

시집의중간께인3부에자리한「미래중독」은열개의이미지가이어져흐르는장시로,이번시집의중요한키워드인‘미래’에대해긴호흡으로이야기하고있다.충실하게“세수를하고밥을먹고출근을하고/긴그림자를이끌고집으로돌아오”는나날을통해서만미래에다다를수있으므로,미래에중독되는일은곧“하루하루살아가는일에중독”됨이나다름없다.
실현되지않은시간과맞닿아있다는점에서‘미래’는‘꿈’으로치환될수있다.이때꿈은”죽은자들의삶을보여”줌으로써“현재는어디에도없”(「우연한미래에우리가있어서」)다는사실을환기한다.“나는죽은사람이살던집에서죽은사람이쓰던물건을쓰는사람”이고“죽은사람의인생속에서죽은사람의몸을쓰며사는사람”(「미래중독」)임을,즉현재가미래의재료이자과거의구성체임을감각할때,꿈은잠바깥에놓여“잠에서깨고난뒤에도깨지않는”(「앵무새둥지」)다.
그러므로꿈은“잠들지않”을때가능한일이다.“누군가여보시게,그냥잠들어도괜찮네어깨를두드”려도잠밖으로나와깬채로만들어야하는지금여기의몫이다.“꿈속의내가꿈밖의나에게건넬수있는유일한것”(「미래중독」)인몸으로직접만들어야하는제조품이다.몽상가가아닌노동자로서우리는“누군가의혀끝에서밥을먹고잠을자고어느날꿈을꾸며미래라는공산품을만”(뒤표지글)든다.

“사실빛은돌이었고
사실빛이통과할때마다매번유리는깨진다”
부서짐으로써만닿을수있는돌의바닥
그곳에서빛나는미지의내일

작고거친돌하나가있어

나는훔친다
그순간,나를가져버린것을내가가져가는전능을보여준다

나는
창을닦는다부싯돌을부시듯행성의모서리가반짝인다
불을켠다부싯돌을던지듯
어둠이쓰러진바닥에서연신매운눈을비비며,불을부는사람의빨간눈을
보고싶어서

주워온돌을창가에놓는다
―「여성안심귀갓길」 부분

이번시집의발문을쓴문학평론가송종원이짚고있듯,‘돌’은신용목의작품세계에서‘불’‘재’등과함께구심점을이루며“단단한구원의이미지”를불러일으킨다.이돌은한군데에가만히놓여있는대신“내달리다쓰러”(「토키영화」)지고“마음먹고던”(「북해어」)져지는등이리저리움직이며세계와부딪는다.“생각의조각들”이“사방으로터져나”(「미래중독」)가듯,“너의말속에서”‘너’가“매번깨”지듯,돌은“쿵,어둠속으로떨어”져“오직깨지면서자신의바닥을고백”(「토키영화」)한다.

미래는
공중에숨어있던포물선을잠시보여주고떨어지는돌멩이의유일한바닥,
그곳에쓰러져있다
―「포인트니모」 부분

‘돌’은“몸에서잠을꺼내”고“잠에서꿈을꺼내뭉쳐놓은것”(「광주」)이므로,그것이고백한밑바닥에는미래가있을것이다.미지의영역에뉘어있는진짜미래,아무도닿지못하는먼바다복판의지점‘포인트니모(PointNemo)’가그곳에있을것이다.산산이부서지며‘발화(發話)’를시작한돌은이내제“유일한바닥”에서‘발화(發火)’하며빛이된다.돌이었을때유리(琉璃)를“와장창”“깨뜨”렸던것처럼,빛은“통과할때마다매번”(「여성안심귀갓길」)유리(遊離)를깨뜨리며“슬픔을빼앗”(「광주」)는다.“바닥에던져진별빛”은그렇게가장낮은곳에서“서로의슬픔을끌고”(「우금치」)바다로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