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권 중산층 :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

특권 중산층 :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

$20.00
Description
도약이냐 추락이냐,
욕망과 불안을 떠안은
한국의 중간계층은 어떻게 분열되는가
중산층이 사라지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인구의 70%에 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여겼지만, 2010년대에 이르면 그 규모는 20~40%로 크게 하락한다. 경제적ㆍ사회적 불평등이 날로 심각해지며 한국사회는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저소득층으로 분열되었다. 사회 전체의 부는 소수집단에 집중되었고, 이러한 양극화는 중산층 밖에서뿐 아니라 중산층 내에서도 발생했다. 한국의 중간계층은 소수의 부유한 상류 중산층과 다수의 일반 중산층으로 나뉘게 되었다.

IMF 구제금융 이후 경제적 양극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특권 중산층’의 계급적 특징을 분석한 『특권 중산층: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이 출간되었다. 미국 하와이대 사회학과 명예교수이자 동아시아 노동연구의 선구자로 주목받아온 저자 구해근이 오늘날 한국 중산층 계급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리며, 한국사회의 계급동학을 주도하며 부상한 신흥 상류 중산층을 ‘특권 중산층’이라 명명한다. 저자는 특권 중산층이 지닌 계급세습에 대한 욕망과 근본적인 불안을 분석하고, 이들의 계급적 행위가 사회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도 있게 파헤친다. 이 책은 2022년 7월 미국에서 발간된 Privilege and Anxiety: The Korean Middle Class in the Global Era(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를 수정ㆍ보완한 것으로, 한국의 현실을 더욱 면밀히 반영해 국내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구해근이 눈여겨본 특권 중산층은 한국의 중간계층뿐 아니라 한국사회 전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특권 중산층』을 따라 읽다보면 오늘날 극심한 경제적ㆍ사회적 불평등과 불안정한 중산층의 지위, 그리고 기울어진 계급 구조가 그 어느 때보다 명확히 그려질 것이다.
저자

구해근

미국하와이대학사회학과명예교수.서울대학교사회학과를졸업하고중앙일보사회부기자를거쳐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에서석사과정을수료,미국노스웨스턴대학에서사회학석·박사학위를취득했다.하와이대학교수로오래재직하며한국과유럽여러대학의초빙교수를역임했다.한국의산업화과정에서잉태된문제를사회학적으로조명하는연구를계속해오고있다.“StrongStateandContentious...

목차

책머리에

서론중산층은사라지는가
1장한국중산층의형성과와해
2장불평등구조의변화
3장특권중산층의등장
4장강남스타일계급형성
5장명품,웰빙,계급구별짓기
6장교육계급투쟁
7장글로벌교육전략
결론특권과불안

후기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한국사회의계급동학을주도하는
‘특권중산층’의등장!

중산층은누구인가?중산층이라는계층에하나의공통된정의를내리기는어렵다.OECD와한국정부는중산층을중위소득의50%에서150%사이에속하는사람들로규정하고있지만,이에따라추정하는중산층규모와개개인이느끼는‘체감중산층’규모는매우다르다.OECD방식으로중산층을정의하면한국의중산층규모는전체인구의65%정도인데비해(2015년기준),실제로‘나는중산층이다’라고생각하는사람들은그에크게미치지못하는수준인40%대(2019년기준),조사방식에따라20%대까지추락한다(2013년기준).

객관적기준과주관적기준에따른중산층규모에이렇게큰차이가나는까닭은무엇일까?저자구해근은이에대한답을찾기위해한국의불평등구조와중산층이라는계층의분열을들여다본다.경제적불평등과중산층의위기는21세기거의모든선진자본주의국가에서공통적으로나타나는현상이지만,특히한국은IMF구제금융사태이후극심한경제적양극화로중산층이와해되기시작했다(1장「한국중산층의형성과와해」).이러한가운데신자유주의와세계화체제로변모하는과정에서중간계층내에서도일종의양극화현상이나타났으며,중산층내에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특권적기회를누리는소수의상류부유층이형성되었다(2장「불평등구조의변화」,3장「특권중산층의등장」).저자는한국사회의계급동학을주도하며부상한신흥상류중산층을‘특권중산층’이라명명하며,이계층의내부구성과성격,그리고질적변화에시선을집중한다.

신흥상류중산층의계급구별짓기
과시적소비,주거지분리,그리고교육경쟁

특권중산층은경제적측면에서뿐아니라사회적?문화적으로도대다수중산층과는다른계급적특성을보인다.과거하나의중간계층으로여겨지던이들이상류부유층과일반중산층으로분열되면서신상류층은그들만의계급을구별짓기위한시도를해왔다.구해근은상류중산층의계급문화가두드러지는소비,주거,교육세분야를들여다보며이들이어떻게한국의계급지형과사회문화를바꾸었는지분석한다.

소수의부유한특권중산층의계급구별짓기가가장가시적으로드러나는분야는소비행위이다.부유중산층은일반중산층과계급적차별을두기위해과시적인소비를하며신분경쟁을이어나갔다(5장「명품,웰빙,계급구별짓기」).특히이들이강남에몰려살게되면서주거지가계층적으로분리되었고,자연스레‘강남스타일’계층문화가발달했다(4장「강남스타일계급형성」).이러한소비형태와생활모습은중산층의새로운기준이,그러나일반중산층이따라잡기에는턱없이높은기준이되었다.교육분야에서의계급경쟁은더욱치열하다.저자는특권중산층이지닌계급적불안을분석하며,교육이이러한불안을달래고자식에게계급을세습하기위한주요한수단이되었음을지적한다(6장「교육계급투쟁」,7장「글로벌교육전략」).

세계적인사회학자구해근이바라본
한국의불평등한계급구조

저자구해근은산업화과정에서잉태된문제를사회학적시각으로조망하는연구를지속하며동아시아노동연구의선구자이자세계적인사회학자로주목받아왔다.2003년미국사회학회가‘아시아부문최우수저서’로선정한『한국노동계급의형성』(신광영옮김,창비2002,원제KoreanWorkers:TheCultureandPoliticsofClassFormation)이한국노동자계급의형성과그계급문화를분석한저서였다면,20년만에선보이는국내저서『특권중산층』에서는그의학문적관심이옮겨간중산층과신흥중간계급에주목한다.

중산층이내부로균열되면서다양한사회적?문화적변화가뒤따랐으며,이러한변화는새로운형태의불평등과계급경쟁으로나타났다.그간중간계층에대한연구는중산층의몰락과쇠태에집중되어온경향이있다.저자는한국의중간계층을정확히이해하는것,즉중산층의위기나하향분해에만주목하는것이아니라상층지대에서발생하는계급구별짓기와새로운형태의계급투쟁을주의깊게관찰하는것이오늘날사회현상을이해하는데중요하다고주장하며,한국상류층의계층문화에대한숙고가시급함을따끔하게지적한다.예리하고면밀한분석을바탕으로한『특권중산층』이한국사회의구조적불평등에대한사회적논의와자각의초석이되어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