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레토릭’은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이해를 위한 원전
기원전 384~322년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책을 썼다. 그는 레토릭(변론법)을 “어떤 경우에도 각각의 사례에 적용 가능한 설득 방법을 창출해 내는 능력”이라 정의하고, 플라톤이 말한 ‘경험에 의한 능숙함’이라는 종래의 변론법도 그 성공의 원인을 관찰 방법화해 ‘레토릭’을 기술로 성립시켰다. 바로 이 책이 ‘변론법’ 또는 ‘수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그리스 변론법의 정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설득 방법은 세 개 항의 요소로 요약된다. 논의 내용의 진실성과 논리적 타당성, 남자나 여자가 신뢰할 수 있는 인품임을 청중에게 인식시켜 주는 화자의 성공적인 노력, 청중과 일치하는 미래 지향적이고 실천 가능한 견해를 수용하도록 화자가 청중을 깨우칠 수 있는 정서 등이다. 즉, ‘로고스(Logos)’, ‘에토스(Ethos)’, ‘파토스(Pathos)’다. 현대 레토릭 학자들은 그가 말한 정의가 다소 확대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세 개 항목의 설득 방법을 참조해 그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분야가 단지 ‘수사학’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변론가, 웅변가, 연설가 등의 교재로 오랫동안 각광 받아 온 원전이 바로 『레토릭』이란 점에서 볼 때 사실상 ‘변론법’의 의미가 보다 더 강하다고 역자는 말한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수사학’으로 알려져 온 ‘레토릭’을 ‘설득의 변론 기술’로 부제를 달았음을 밝혔다. ‘변론법’이라 이름 붙이는 편이 합리적이고 타당하기 때문이다. 번역 과정 중 넓고 깊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탐구에 그저 감탄이 절로 나왔고,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떻게 이 책을 썼을까?’ 하는 감동의 소회를 역자는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관심 있는 학계와 교육계는 물론
법조계⸱정계⸱종교계 인사들이 참고해야 할 고전 필독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은 고대 또는 중세 때보다 현대에 와서 더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화법, 작문,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대부분 교수가 이를 세미나 주제로 선택한다. 그 주제는 본질적 부분을 구성함은 물론 스피치 행위의 기본적 통찰력을 제공하며, 또 소통에 대해 토론의 범위와 용어 체계를 확립시켜 준다. 그것은 그들이 일상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게 수업 내용을 조직하고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공중 연설에 대한 레토릭의 기능을 크게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최근의 저자들이 한 것보다 더 폭넓은 업적을 남겼다. 이 점에 대해 현대의 독자들은 놀라고 큰 관심을 기울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 철학, 윤리학, 정치, 문학 등의 이슈에 관해 진술했다.
이 책은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논자, 2권은 청자 및 청중, 3권은 언론 등이다. 특히 제2권에는 인간 심리학에 대한 설명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로 보아 모든 화자는 청자들의 마인드를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해야 할 것을 하는 이유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레토릭』 제2권을 ‘상생하는 우리 일상 해석의 첫 번째 체계’라고 일컬었다.
21세기에 와서 레토릭 연구는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새로운 각광을 받고 있다. 국어교육을 전공하고 우리나라에서 초기 화법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했을 뿐 아니라, 국제스피치학회 회원이며 1988년 한국화법학회를 창립한 전영우 교수가 이를 번역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다. 그리스 변론법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충실히 해석해 낸 책이다.
기원전 384~322년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책을 썼다. 그는 레토릭(변론법)을 “어떤 경우에도 각각의 사례에 적용 가능한 설득 방법을 창출해 내는 능력”이라 정의하고, 플라톤이 말한 ‘경험에 의한 능숙함’이라는 종래의 변론법도 그 성공의 원인을 관찰 방법화해 ‘레토릭’을 기술로 성립시켰다. 바로 이 책이 ‘변론법’ 또는 ‘수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그리스 변론법의 정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설득 방법은 세 개 항의 요소로 요약된다. 논의 내용의 진실성과 논리적 타당성, 남자나 여자가 신뢰할 수 있는 인품임을 청중에게 인식시켜 주는 화자의 성공적인 노력, 청중과 일치하는 미래 지향적이고 실천 가능한 견해를 수용하도록 화자가 청중을 깨우칠 수 있는 정서 등이다. 즉, ‘로고스(Logos)’, ‘에토스(Ethos)’, ‘파토스(Pathos)’다. 현대 레토릭 학자들은 그가 말한 정의가 다소 확대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세 개 항목의 설득 방법을 참조해 그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분야가 단지 ‘수사학’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변론가, 웅변가, 연설가 등의 교재로 오랫동안 각광 받아 온 원전이 바로 『레토릭』이란 점에서 볼 때 사실상 ‘변론법’의 의미가 보다 더 강하다고 역자는 말한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수사학’으로 알려져 온 ‘레토릭’을 ‘설득의 변론 기술’로 부제를 달았음을 밝혔다. ‘변론법’이라 이름 붙이는 편이 합리적이고 타당하기 때문이다. 번역 과정 중 넓고 깊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탐구에 그저 감탄이 절로 나왔고,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떻게 이 책을 썼을까?’ 하는 감동의 소회를 역자는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관심 있는 학계와 교육계는 물론
법조계⸱정계⸱종교계 인사들이 참고해야 할 고전 필독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은 고대 또는 중세 때보다 현대에 와서 더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화법, 작문,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대부분 교수가 이를 세미나 주제로 선택한다. 그 주제는 본질적 부분을 구성함은 물론 스피치 행위의 기본적 통찰력을 제공하며, 또 소통에 대해 토론의 범위와 용어 체계를 확립시켜 준다. 그것은 그들이 일상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게 수업 내용을 조직하고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공중 연설에 대한 레토릭의 기능을 크게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최근의 저자들이 한 것보다 더 폭넓은 업적을 남겼다. 이 점에 대해 현대의 독자들은 놀라고 큰 관심을 기울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 철학, 윤리학, 정치, 문학 등의 이슈에 관해 진술했다.
이 책은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논자, 2권은 청자 및 청중, 3권은 언론 등이다. 특히 제2권에는 인간 심리학에 대한 설명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로 보아 모든 화자는 청자들의 마인드를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해야 할 것을 하는 이유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레토릭』 제2권을 ‘상생하는 우리 일상 해석의 첫 번째 체계’라고 일컬었다.
21세기에 와서 레토릭 연구는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새로운 각광을 받고 있다. 국어교육을 전공하고 우리나라에서 초기 화법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했을 뿐 아니라, 국제스피치학회 회원이며 1988년 한국화법학회를 창립한 전영우 교수가 이를 번역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다. 그리스 변론법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충실히 해석해 낸 책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 설득의 변론 기술 - 대원동서문화총서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