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현실의 비밀을 품은 문학이 우리에게 도착할 때,
느리고 찬찬한 문학의 방식으로 현실을 검산할 때,
비로소 풀이되고 기입되는 세계의 진실
현실을 딛고 선 문학을 마주하고 다시 문학으로 현실을 디뎌 볼 때,
끝없이 이어지는 도돌이표 같은 걸음으로 구축되는 문학적-세계
느리고 찬찬한 문학의 방식으로 현실을 검산할 때,
비로소 풀이되고 기입되는 세계의 진실
현실을 딛고 선 문학을 마주하고 다시 문학으로 현실을 디뎌 볼 때,
끝없이 이어지는 도돌이표 같은 걸음으로 구축되는 문학적-세계
2018년《현대문학》을 통해 비평 활동을 시작한 문학 평론가 조대한의 비평집 『세계의 되풀이』가 민음의 비평 15번으로 출간되었다. 『세계의 되풀이』에 묶인 글들을 쓰는 동안 조대한은 문학잡지 《자음과모음》의 편집위원으로 잡지를 기획하고, 비평그룹 ‘요즘비평포럼’에 함께하며 동시대에 탄생하고 향유하는 문학의 경향과 지형을 파악하며, 가장 성실한 현장 비평가로서 활동했다. 조대한이 발견해 낸 담론과 키워드는 동시대의 작가와 독자가 첨예하게 고민하고 중요한 만큼 끈질기게 다뤘던 이 세계의 문제점들이다. 그는 발표된 시와 소설을 누구보다 빠르게 일별하고 갈무리하며 그 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거나 독특하게 두드러지는 문학적 키워드를 재발견하고 되돌아본다. 질병, 재난, 여성, 비인간, 미래 등 세계로부터 포착되어 문학의 세계에서 다시 한번 그려진 유구하고 시대 징후적인 현상들을 정교하게 뜯어 보고 나란히 놓아 본다. 조대한의 깊은 관찰 아래 세계의 규칙과 불균형, 문학의 아름다움과 개성은 긴밀한 관계가 되어 우리로 하여금 문학과 현실 양쪽을 이해시키는 일말의 진실로 작용한다.
비평집의 수록 원고에 대한 소개와 비평가의 태도 혹은 문학적 주제를 안내하는 ‘서문’에서 조대한은 자신의 문학론을 말하기 위해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을 소환한다. 비평가 피에르 바야르가 고안해 낸 개념인 ‘예상 표절’을 설명하며 웹소설의 줄거리와 캐릭터를 예로 든 것이다. 세계와 자신과 문학, 그 삼각형이 주고받은 되풀이, 혹은 읽기와 쓰기라는 형태의 되새김질과 그 중요성을 말하기 위해서다. 책을 펴면 처음으로 마주하는 서문에서 선택한 텍스트에서 알 수 있듯, 조대한은 세계를 이해하는 텍스트와 콘텐츠를 향유하는 데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경계가 없다. 그는 문화를 경유한 호기심으로 세계를 본다. 발표되는 소설과 시부터 웹소설, 드라마, 만화영화, 음악까지 문화 전반에 대한 호기심이 그를 이끈다. 각 장르는 고유한 영토를 지니면서도 서로의 영토를 받아들이거나 반사시키며 세계를 반영한다. 세계를 반영한 텍스트들이 또다시 세계에 기입된다. 조대한은 그 무수한 영향력 사이에서 문학의 속도로 그것들을 다시 읽고, 다시 쓴다. 한 편의 글로 재탄생하는 삶과 독서 감각을 곱씹으며.
1부의 글들은 젠더와 성차, 동물과 타자, 재난과 미래, 주체와 인칭 등의 논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세계를 되짚듯 탄생하는 작품들 중 눈에 밟히는 연결고리를 찾다 보면 세계의 불합리한 조건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조대한은 말한다. 2부의 글들은 김수영, 서정주, 윤동주, 이상 등 현재로부터 시간의 격차가 비교적 큰 작가들의 텍스트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현장 비평의 장보다는 아카데미에서 익숙하게 만나게 되는 작가와 작품들이지만 시간을 이기고 여전히 읽히는 남은 작가들을 다시 한번 중요하다고 독해하게 만드는 것 역시 끊임없는 문학에의 되풀이이자 비평가의 역할일 것이다. 과거의 텍스트들이지만 새로운 인식의 지반과 나란히 겹쳐 읽으면 여전한 현재성을 지니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3부부터 5부까지는 작가론, 혹은 작품론에 가까운 글들이거나 단행본 또는 수상 작품집의 해설에 실렸던 원고들이다. 조대한은 서문에서 자신의 글쓰기의 시작은 순수하고 치열한 작품에의 매혹이었다고 밝힌다. “좋아하는 작가의 글을 읽은 감상”에 대해 “친구들과 종일 그 작품에 대해 떠들던” 원형에 가까운 즐거움, 동경의 마음으로 쓰인 글들이 담겼다.
조대한이 가장 힘껏 애정을 드러내는 순간 역시 한 작가에 대한 작품론을 쓸 때다. 황인찬과 이규리, 유수연과 박상수, 한여진과 이은규의 시집에 더한 비평에는 조대한의 그런 특기이자 장기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작가가 한 시절을 고스란히 담아 펴낸 작품집에 그는 다감한 애호의 마음을 숨기지 않고 드러낸다. 조대한은 시인이 구축하고 싶던 시적 세계를 놓치지 않고 따라가 보고, 작품이 마련한 정서의 공간 안에서 충분히 시간을 보낸 뒤 자신이 느낀 만족감의 촉감과 양감과 질감을 비평의 언어로 정리하고자 한다. 각기 다른 작품으로부터 받은 각기 다른 만족감을 다시 작품의 개성에 맞게 복원하기. 그것이 아마도 조대한이 비평을 쓰는 작업의 과정이며 삶을 되짚는 방식이 아닐까 싶다. 문학이 주는 감각은 삶의 감각을 재편성하고, 조대한은 글이 모습을 바꾸면 삶을 되살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믿음은 무겁고 오래 간다. 그의 글이 조금씩 오래 나아가는 것과 닮았다. 그러니까 그의 글은 삶과 닮았다. 자신이 사는 방식을 쓰는 방식으로 매번 되짚어 보는 느린 걸음을 지닌 평론가가 미덥지 않기는 어려울 것이다.
비평집의 수록 원고에 대한 소개와 비평가의 태도 혹은 문학적 주제를 안내하는 ‘서문’에서 조대한은 자신의 문학론을 말하기 위해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을 소환한다. 비평가 피에르 바야르가 고안해 낸 개념인 ‘예상 표절’을 설명하며 웹소설의 줄거리와 캐릭터를 예로 든 것이다. 세계와 자신과 문학, 그 삼각형이 주고받은 되풀이, 혹은 읽기와 쓰기라는 형태의 되새김질과 그 중요성을 말하기 위해서다. 책을 펴면 처음으로 마주하는 서문에서 선택한 텍스트에서 알 수 있듯, 조대한은 세계를 이해하는 텍스트와 콘텐츠를 향유하는 데 누구보다 부지런하고 경계가 없다. 그는 문화를 경유한 호기심으로 세계를 본다. 발표되는 소설과 시부터 웹소설, 드라마, 만화영화, 음악까지 문화 전반에 대한 호기심이 그를 이끈다. 각 장르는 고유한 영토를 지니면서도 서로의 영토를 받아들이거나 반사시키며 세계를 반영한다. 세계를 반영한 텍스트들이 또다시 세계에 기입된다. 조대한은 그 무수한 영향력 사이에서 문학의 속도로 그것들을 다시 읽고, 다시 쓴다. 한 편의 글로 재탄생하는 삶과 독서 감각을 곱씹으며.
1부의 글들은 젠더와 성차, 동물과 타자, 재난과 미래, 주체와 인칭 등의 논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세계를 되짚듯 탄생하는 작품들 중 눈에 밟히는 연결고리를 찾다 보면 세계의 불합리한 조건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조대한은 말한다. 2부의 글들은 김수영, 서정주, 윤동주, 이상 등 현재로부터 시간의 격차가 비교적 큰 작가들의 텍스트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현장 비평의 장보다는 아카데미에서 익숙하게 만나게 되는 작가와 작품들이지만 시간을 이기고 여전히 읽히는 남은 작가들을 다시 한번 중요하다고 독해하게 만드는 것 역시 끊임없는 문학에의 되풀이이자 비평가의 역할일 것이다. 과거의 텍스트들이지만 새로운 인식의 지반과 나란히 겹쳐 읽으면 여전한 현재성을 지니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3부부터 5부까지는 작가론, 혹은 작품론에 가까운 글들이거나 단행본 또는 수상 작품집의 해설에 실렸던 원고들이다. 조대한은 서문에서 자신의 글쓰기의 시작은 순수하고 치열한 작품에의 매혹이었다고 밝힌다. “좋아하는 작가의 글을 읽은 감상”에 대해 “친구들과 종일 그 작품에 대해 떠들던” 원형에 가까운 즐거움, 동경의 마음으로 쓰인 글들이 담겼다.
조대한이 가장 힘껏 애정을 드러내는 순간 역시 한 작가에 대한 작품론을 쓸 때다. 황인찬과 이규리, 유수연과 박상수, 한여진과 이은규의 시집에 더한 비평에는 조대한의 그런 특기이자 장기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작가가 한 시절을 고스란히 담아 펴낸 작품집에 그는 다감한 애호의 마음을 숨기지 않고 드러낸다. 조대한은 시인이 구축하고 싶던 시적 세계를 놓치지 않고 따라가 보고, 작품이 마련한 정서의 공간 안에서 충분히 시간을 보낸 뒤 자신이 느낀 만족감의 촉감과 양감과 질감을 비평의 언어로 정리하고자 한다. 각기 다른 작품으로부터 받은 각기 다른 만족감을 다시 작품의 개성에 맞게 복원하기. 그것이 아마도 조대한이 비평을 쓰는 작업의 과정이며 삶을 되짚는 방식이 아닐까 싶다. 문학이 주는 감각은 삶의 감각을 재편성하고, 조대한은 글이 모습을 바꾸면 삶을 되살 수 있다고 믿는다. 그 믿음은 무겁고 오래 간다. 그의 글이 조금씩 오래 나아가는 것과 닮았다. 그러니까 그의 글은 삶과 닮았다. 자신이 사는 방식을 쓰는 방식으로 매번 되짚어 보는 느린 걸음을 지닌 평론가가 미덥지 않기는 어려울 것이다.
세계의 되풀이 : 문학으로 되감아 보는 세계의 작동 방식 - 민음의 비평 15 (양장)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