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

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

$16.00
Description
매매방, 21세기 ‘투자 인류’가 잭팟을 꿈꾸는 곳!
‘문송’한 중년 남성들에 관한 인류학적 보고서

SNS를 들썩이게 만든 화제의 논문
우리가 주식투자에 대해 말하지 않았던 실패의 서사
◆ “2020년대 한국 사회를 자연지형으로 형상화하면, 사방으로 낭떠러지가 있는 고원 지대 아닐까 생각한다. 한번 밖으로 굴러 떨어지면 크게 다쳐서 다시 위로 올라오기 어려운. 늘 추락을 염려하며 살아야 하는. 우리는 이미 ‘치킨집’이라는 유명한 비탈을 안다. 이제 이 책은 더 위험하고 가파르지만 잘 보이지 않아 얘기되지 않았던 또 다른 급경사 지대를 소개한다. 한 용감한 인류학 연구자가 몸으로 부딪혀 그곳을 탐사하고 근사한 보고서를 들고 돌아왔다. 개인전업투자자. 50대 대졸 인문계 출신 남성이 주로 희생되는 지형이다.” -장강명(소설가)

◆ “사회과학서를 이렇게 몰입해서 읽게 되는 경험은 흔치 않다. 저자 자신의 위치와 입장, 관점이 툭툭 드러나는 부분은 매우 솔직하게 쓰여 연구자의 시선과 변화를 따라가며 읽는 묘미가 있다. 금융투자가 젊은 세대와 엮이는 세대주의 담론이 팽배한 시기에, 40~50대 투자자를 다각도에서 관찰하여 이 문제를 역사화하면서도, 최근의 청년 투자자 이슈에 대해서도 설득력 있는 관찰을 제공한다.”
-김선기 (『청년팔이 사회』 저자)


비트코인, 주식, 선물옵션… 대학생연합 주식동아리는 흔한 풍경이 된 지 오래되었고 존버, 손절 등의 주식 용어는 일상어로 편입, 확대되어 그 기원을 궁금해하는 자가 없을 정도다.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 디지털화로 인해 누구나 쉽게 주식을 사고 팔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된 지금은 주식하는 사람보다 주식 안 하는 사람을 찾는 것이 더 어려운 세상이기도 하다. 바야흐로 900만 개인주식투자자의 시대. 주식은 더 이상 소수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는 때로 경제라는 대우주 안에서 주식이라는 소우주에 기거하는 투자 인류로 정의되기도 하는 것이다.

개인투자자는 매일같이 기관, 외국인, 개인투자자들을 마주하며 주식과 파생상품을 매매, 치열하게 수익을 ‘다투는’ 투쟁의 장에 몸담고 살아간다. 그러나 이 치열한 장의 대중화에도 불구하고 주식에 대한 우리의 질문은 기껏해야 한 가지로 수렴된다. “그래서 요즘 무슨 종목이 좋대?” 한 가지가 더 있긴 하다. “그래서 얼마 벌었는데?” 주식의 세계에서 개인투자자는 한 명의 인간이기에 앞서 수익률의 꼬리표로 먼저 인식된다. 청색과 적색만이 존재하는 극단적 이분법의 영역에서 개인투자자는 너무나도 쉽게 수익률이라는 숫자로 환원된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개인투자자에 대한 우리의 질문은 한없이 빈약하고 더없이 초라하다.

『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 (이하 ‘개미는 왜’)는 성공 신화로 가득한 개인투자자 서사에 균열을 내는 다른 목소리다. 인류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저자가 서울의 한 매매방에 입실, 그곳에서 만난 개인전업투자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쓴 생생한 기록물이자 독창적인 보고서의 제목은 누구나 궁금해하지만 아무도 묻지 않았던 질문이다. 개인전업투자자들, 그들은 왜 손실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선결해야 할 질문들은 다음과 같았다. 어떤 배경을 가진 자들이 개인전업투자자, 속칭 개미가 되는가. 개미들은 어떻게 돈을 잃어 가며 그들은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멈추지 못한 채 끝내 필패의 질서에 포섭되는가. 매매방 입실자의 책상에 붙여진 매매원칙 십계명, 투자자 명심보감, 인터뷰에 응한 사람들의 생생한 경험담, 주식에 대한 각종 통계 자료와 온라인에서 유행하는 밈 등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에 차례로 응답해 준다.

그러나 이 책은 개인투자자의 실패를 개인 차원으로만 바라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재맥락화함으로써 투자하는 인간 본연의 인지 심리적 경향과 더불어 투자를 할 만한 것으로 재생성하는 사회문화적 구조, 이를 통해 개미 집단이 내면화하고 있는 주식투자에 대한 관념과 믿음을 정면으로, 또한 총체적으로 바라본다. 주식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치열하고 복잡하며 공허하고 모순적인 욕망의 사슬에 대한 신중한 관찰과 명민한 분석은 오늘날 금융의 시대가 만든 인간 초상을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을 선사한다. 동시에 주식에 대해 우리 사회가 내면화한 명제들의 진위를 날카롭게 점검할 수 있는 근거들 또한 제공한다. 2020년대 한국 사회의 가장 솔직한 욕망과 좌절의 서사가 지금, 펼쳐진다.

저자

김수현

저자:김수현
1994년대전에서태어났다.동국대학교불교학과재학중캐나다오타와대학교교환학생으로파견되어수강한종교인류학수업에매료되어서울대학교인류학과대학원에진학했다.2019년「개인투자자는왜실패에도불구하고계속투자를하는가?-서울매매방개인전업투자자의꿈과금융시장간파」로석사학위를받았다.현재서울대학교간호학과에재학중이다.

목차

들어가며7
등장인물소개26
이책에나오는주식용어32
서론:개인투자자는왜실패에도불구하고계속투자하는가?36

1장“작게여러번따서,한방에날린다!”:실패하는개인투자3단계61

1첫판에서맛보는달콤한‘돈맛’초심자의행운56
2편향이만든성공의신기루와자금투입60
“다잘될거야.”:과신의편향61
“답은정해져있고,넌대답만하면돼”:확증의편향68
3‘존버’의길에들어서다:울며‘물타기’72
“물타기기법의함정”:몰입상승의편향72
“손절은남에게맡겨야하는이유”:처분효과79
4심리가만드는필패의구조84

2장생계를위한꿈,주식이라는희망103
1개인전업투자자의사회경제적특성106
2‘개인전업투자자’꿈의탄생113
우리사주제도와IMF외환위기113
개인전업투자꿈꾸기119
나만의‘투자철학’만들기132
3‘문송’아버지의유일한선택지144
4‘경제적자유’의신기루162

3장:개미의매매방사용설명서179
1조기은퇴중년남성의‘자기만의방’182
2주위의부정적이목,관계의단절188
3로알매매방의흥망성쇠199
등장과전성기199
쇠퇴의원인:장기박스권과파생상품시장규제203
4일상의변천212
활발한소통과위안의공간(2007~2014)213
긴장과갈등의공간(2015~현재)226

4장:간파와믿음245
1금융시장에대한간파248
“10년에한두차례하늘문이열린다!”248
해피엔딩은없다259
7할의성공률도망할수있다264
‘작전’은어디에나있다266

2개미의대응전략278
작전세력의역이용278
금욕주의가치관의내면화284
매매원칙의수립:마음다스리기289
3투자는마약이다293
실패는희망의어머니:고통을은폐하는언어294
투자의중독성:황폐화되는삶301

에필로그319
부록_개인투자자,경제인류학을만나다341

출판사 서평

■개미의희로애락
주식투자는보이지않는인간의믿음과관념을비춰주는거울이다.동시에뜻한바가언제나마음처럼되지만은않음을보여준다는점에서인간의불완전성을가장드라마틱하게드러내는장르이기도하다.이책을통해저자는주식투자하는한인간의투자동기와꿈,믿음,일상,계획과실천의일치와어긋남,그리고그로부터파생되는희로애락에대해묻고귀기울이며의미를곱씹어보는일이무엇보다중요한일이라고주장한다.그를위해저자는매매방에입실한개인투자자들과의심층면담을통해개인투자자가주식투자를하며경험하게되는투자의단맛과쓴맛을사실적으로전달한다.투자의기본이라고할수있는손절매의원칙들을줄줄이꿰고있으면서도왜실천하지못해손실을거듭하는걸까.십여년동안매매방을운영한관리자는어찌하여거두절미하고투자를하지말아야할것으로간주하는걸까.확증편향,몰입상승,과신편향등‘개미’들이실패하는이유에대한인지,심리학적관점은어디에서도들어볼수없는개인투자자의진짜마음과그러한마음을바라보는관점과이해의틀을제공한다.

■대한민국주식사(史),우리이웃의주식사(私)
주식에성공한이야기는많다.그러나주식에실패한이야기는좀처럼찾아보기힘들다.이책은주식의빛이아니라주식의그림자를통해성공서사로가득한주식에균형잡힌담론의몰꼬를트고자한다.어디에서도들을수없었던개인의주식사(私)를바탕으로하는이책은개인전업투자자대부분이속해있는대졸인문계출신의중년남성,이른바‘문송’한중년남성의은퇴이후에대한한편의보고서이기도하다.매매방은‘자기만의방’으로기능하고주식은비교적쉽게도전할수있는생계수단으로파악된다.한편한국에서개인투자가본격화하기시작한역사를거슬러올라가는이책은개인주식투자를용이하게한사회문화적배경을살펴보는대한민국주식사(史)이기도하다.한국사회에서개인주식투자가본격화한사회경제적역사와개인투자자들의생애사가교차하는가운데주식의거시사와미시사가결합한다.

■‘경제적자유’를향한신념과희망의연원
『개미는왜』의주면담자는40대에서60대에이르는남성이지만저자는최근의급증한청년투자자들에대한분석도빼놓지않는다.‘손절매’를철칙으로삼는중년세대의투자관과‘존버’를기본으로하는청년세대의투자관에서비롯되는세대별인식차이를포함,주식투자를둘러싼변화의풍경을통해현대인의꿈인‘경제적자유’를향한신념과희망의연원을추적한다.더불어‘실패는성공의어머니’라거나‘수업료’등고통을성공에수반되는필수과정으로여기는언어의속임수에서도투자를계속되게만드는동력을찾는다.한국사회의금융경제풍속도를재치있게통찰함으로써일상에숨겨진투자권하는사회의측면을분석하는과정은사회적관점으로주식을바라본다.코로나종식을원하면서도내가산코로나진단키트주가는떨어지지않기를바라는모순은공동체에어떤영향을미칠까.자본의수단으로서만이아니라공동체의균열을가져오는모순의매질로서의주식을통해주식을바라보는다양한관점을제공한다.